글리제 436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글리제 436
관측 정보
별자리 사자자리
적경(α) 11h 42m 11.0941s[1]
적위(δ) +26° 42′ 23.652″[1]
겉보기등급(m) + 9.54[2]
절대등급(M) + 10.63[2]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97.73 ± 2.27 밀리초각[1]
거리 33.4 ± 0.8 광년(10.2 ± 0.2 파섹)
성질
광도 0.019 L
분광형 M2.5 V (적색 왜성)[2]
추가 사항
질량 0.38±0.05 M[3]
표면온도 3,318 [3]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글리제 436사자자리에 있는, 지구에서 33광년 떨어져 있는 적색 왜성이다. 2004년 기준으로 적어도 한 개의 외계 행성이 이 별 주위를 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확인되지 않은 암석 행성 한 개가 더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항성[편집]

항성 모형에 의하면 글리제 436의 반지름은 태양의 47퍼센트 정도이며, 표면 온도는 3318 켈빈이다.[3] 글리제 436은 태양보다 수십억 년 정도 더 늙은 것으로 보이며, 중원소 함량(헬륨-4보다 더 질량이 큰 물질들의 함량)은 태양의 44퍼센트 수준에 불과하다.[4] 공전 속도는 초당 3킬로미터 수준이며 채층의 자기장 활동은 미약한 수준이다.[2]

이 항성은 은하좌표U=+44, V=-20, W=+20 km/s의 값을 보이는, ‘늙은원반종족’의 일원이다.[2]

행성계[편집]

글리제 436 주위에는 확인된 외계 행성 1개가 있으며, 글리제 436 b라는 명칭이 있다.

글리제 436 b의 공전주기는 2.6 지구일이며 지구에서 바라보았을 때 어머니 항성의 원반 위를 지나가는 것처럼 보인다. 질량은 지구의 22.2배이며 지름은 약 55,000 킬로미터인데, 이는 질량이나 반지름 모두 태양계의 얼음 가스행성인 천왕성, 해왕성과 흡사하다. 일반적으로 도플러 효과로는 행성의 정확한 질량을 잴 수 없다. 값이 대상 천체의 정확한 질량이지만(여기서 m은 행성의 실제 질량이며 i궤도경사각 - 해당 행성의 공전면과 지구 관찰자의 시선이 이루는 각도 - 이다) 공식에 있는 변수 값은 보통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글리제 436 b와 같은 경우는 궤도경사각을 알고 있기 때문에 실제 질량을 구할 수 있다. 436 b는 뜨거운 얼음층 위에 수소헬륨층이 덮여 있는 ‘뜨거운 해왕성’일 것으로 생각된다.[5]

두 번째 행성[편집]

2008년 "글리제 436 c"로 명명된 두 번째 행성이 발견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글리제 436 c의 공전주기 5.2일에 궤도장반경은 0.045 천문단위였다.[6] 글리제 436 c의 질량은 지구의 5배에 반지름은 지구의 1.5배 정도로 여겨졌다.[7] 언론매체에서는 이 행성의 발표 공표 당시 ‘가장 작은 행성’으로 불렀으나, 실제로는 1992년 발견된, 펄사 PSR B1257+12 주위를 도는 행성 세 개보다도 큰 질량을 갖고 있다. 크기를 고려하면 c는 암석 행성이다.[8] 2008년 4월 스페인 천문학자들은 글리제 436 b의 궤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글리제 436 c의 존재를 공표하였다.[7] 이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b의 통과시간은 변하지 않음을 알아냈으며, 이는 글리제 436 행성계에 대한 대부분의 가정을 배제시키는 결과였다. 따라서 글리제 436 c의 존재여부는 불투명한 것으로 간주되었으며,[9] c의 발견 사실은 2008년 보스턴에서 열린 통과행성 콘퍼런스(Transiting Planets conference)에서 완전히 철회되었다.[10]

참고 문헌[편집]

  1. “LHS 310”.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2. R. Paul, Butler; Vogt, Steven S.; Marcy, Geoffrey W.; Fischer, Debra A.; Wright, Jason T.; Henry, Gregory W.; Laughlin, Greg; Lissauer, Jack J. (2004). “A Neptune-Mass Planet Orbiting the Nearby M Dwarf GJ 436” (abstract). 《The Astrophysical Journal》 617 (1): 580–588. doi:10.1086/425173. 200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3. H. M., Johnson; Wright, C. D. (1983). “Predicted infrared brightness of stars within 25 parsecs of the sun” (abstract).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53: 643–711. doi:10.1086/190905. 200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see page 673.
  4. Jacob L., Bean; Benedict, G. Fritz; Endl, Michael (2006). “Metallicities of M Dwarf Planet Hosts from Spectral Synthesis” (abstract). 《The Astrophysical Journal》 653 (1): L65–L68. doi:10.1086/510527. 200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중원소 함량 수치는 다음 계산을 통해 나온 것이다. 또는 44%
  5. Gillon, M.; Pont, F.; Demory, B.-O.; Mallmann, F.; Mayor, M.; Mazeh, T.; Queloz, D.; Shporer, A.; Udry, S.; Vuissoz, C. (2007). “Detection of transits of the nearby hot Neptune GJ 436 b”.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2 (2): L13–L16. doi:10.1051/0004-6361:20077799. 
  6. Ribas, I.; Font-Ribera, S.; Beaulieu, J. P. (2008). 《A ~5 ME Super-Earth Orbiting GJ 436?: The Power of Near-Grazing Transits》. arXiv:0801.3230 [astro-ph]. 
  7. Reuters
  8. “New Super-Earth is Smallest Yet”. 《Space.com》. 2008년 4월 10일에 확인함. 
  9. Alonso, R.; Barbieri, M.; Rabus, M.; Deeg, H. J.; Belmonte, J. A.;Almenara J. M. (2008). 《Limits to the planet candidate GJ 436c》. arXiv:0804.3030 [astro-ph]. 
  10. Schneider, J. “Notes for star GJ 436”. 《The Extrasolar Planets Encyclopaedia》. 2008년 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5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