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총행복지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민총행복지수

국민총행복지수(영어: Gross National Happiness, GNH)는 부탄에서 1970년대에 만들어낸 행복 개념이다. 점차 관심이 높아져 2007년 4월, OECD는 국민총행복을 목적에 따라 평균행복(Average Happiness), 행복수명(Happy Life Years), 행복불평등(Inequality of Happiness), 불평등조정행복(Inequality-Adjusted Happiness)의 4개의 세부 행복지수로 구분하고 각 국가의 GNH 정도를 측정하였다.[1]

국민총행복지수의 영어 낱말 "Gross National Happiness"라는 용어는 1972년 파이낸셜 타임즈의 영국의 기자가 봄베이 공항에서의 인터뷰 중에 만들어진 단어로, 당시 부탄의 왕 지미 싱게 왕축은 "국민총행복지수가 국내총생산보다 더 중요하다."고 언급했다.."[2][3][4]

각주[편집]

  1. 국민총행복지수, GNH를 아시나요? 한국은 68위 "행복하지 않아"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민경자.《한경닷컴》.2011-09-26.
  2. Dorji, Tashi (2012년 6월 15일). “The story of a king, a poor country, and a rich idea”. Business Bhutan. 2019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일에 확인함. 
  3. Dorji, Tashi (2012년 6월 15일). “The story of a king, a poor country, and a rich idea”. Business Bhutan. 2019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일에 확인함. 
  4. “FAQ on GNH” (PDF). 2018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