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총행복지수
보이기

국민총행복지수(영어: Gross National Happiness, GNH)는 부탄에서 1970년대에 만들어낸 행복 개념이다. 점차 관심이 높아져 2007년 4월, OECD는 국민총행복을 목적에 따라 평균행복(Average Happiness), 행복수명(Happy Life Years), 행복불평등(Inequality of Happiness), 불평등조정행복(Inequality-Adjusted Happiness)의 4개의 세부 행복지수로 구분하고 각 국가의 GNH 정도를 측정하였다.[1]
국민총행복지수의 영어 낱말 "Gross National Happiness"라는 용어는 1972년 파이낸셜 타임즈의 영국의 기자가 봄베이 공항에서의 인터뷰 중에 만들어진 단어로, 당시 부탄의 왕 지미 싱게 왕축은 "국민총행복지수가 국내총생산보다 더 중요하다."고 언급했다.."[2][3][4]
각주
[편집]- ↑ 국민총행복지수, GNH를 아시나요? 한국은 68위 "행복하지 않아" 보관됨 2016-03-04 - 웨이백 머신.민경자.《한경닷컴》.2011-09-26.
- ↑ Dorji, Tashi (2012년 6월 15일). “The story of a king, a poor country, and a rich idea”. Business Bhutan. 2019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일에 확인함.
- ↑ Dorji, Tashi (2012년 6월 15일). “The story of a king, a poor country, and a rich idea”. Business Bhutan. 2019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일에 확인함.
- ↑ “FAQ on GNH” (PDF). 2018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 International Institute of Management – US based GHN research, GNH policy white paper
![]() |
이 글은 사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