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개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성개념(構成槪念, construct)은 과학적 연구방법이나 논리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조작적으로 만들어 낸 개념을 지칭한다. 직접 측정할 수는 없으나 측정할 수 있는 현상을 유발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구성개념에는 의식, 욕구, 지각, 자아, 동기 따위의 개념이 있다. 전통적인 텍스트(text)에 기반한 심리검사이외에도 기술의 발달로 현대에는 유전자에대한 DNA 마이크로어레이fMRI 등의 뇌 스캔등 물리적 현상을 제시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조작적 정의라는 용어도 있다. 조작적 정의와 비교해서 구성개념은 유사한 면도 있지만 차이점도 있다.

타당도[편집]

구성 유효성 또는 구성개념 타당도(Construct validity)는 "테스트가 주장하는 것 또는 측정하고자하는 것을 측정하는 정도"이다.[1][2][3][4] 전형적인 검사 타당도의 모델에서 구성의 유효성은 세가지 주요 요소 중 하나이다.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및 기준타당도(criterion validity)와 함께 유효성 증거의 유형으로 제시된다.[5][6] 현대의 타당성 이론은 다른 모든 유형의 타당성 증거를 가정하여 타당성 조사의 주요 맥락으로 구성개념 타당도를 정의하고있다.[7][8]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Kelley, Truman Lee (1927). 《Interpretation of educational measurements》. New York: World Book. 
  2. Brown, J. D. (1996). 《Testing in language program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Regents. 
  3. Cronbach, L. J.; Meehl, P.E. (1955). “Construct Validity in Psychological Tests”. 《Psychological Bulletin》 52 (4): 281–302. doi:10.1037/h0040957. hdl:11299/184279. PMID 13245896. 
  4. Polit DF Beck CT (2012). Nursing Research: Generating and Assessing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9th ed. Philadelphia, USA: Wolters Klower Health,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 Guion, R. M. (1980). “On trinitarian doctrines of validity”. 《Professional Psychology11 (3): 385–398. doi:10.1037/0735-7028.11.3.385. 
  6. Brown, J. D. (1996). 《Testing in language program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Regents. 
  7. Messick, S. (1995). “Validity of psychological assessment: Validation of inferences from persons' responses and performances as scientific inquiry into score meaning”. 《American Psychologist》 50 (9): 741–749. doi:10.1037/0003-066x.50.9.741. 
  8. Schotte, C. K. W.; Maes, M.; Cluydts, R.; De Doncker, D.; Cosyns, P. (1997). “Construct validity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a depressive populat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46 (2): 115–125. doi:10.1016/s0165-0327(97)000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