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사명 청동북
보이기
![]() | |
![]() | |
종목 | 보물 (구)제2008호 (2018년 11월 27일 지정) |
---|---|
수량 | 1구 |
시대 | 고려시대 |
소유 | 이**(삼성문화재단) |
위치 |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55길 60-16 |
좌표 | 북위 37° 32′ 17″ 동경 126° 59′ 54″ / 북위 37.53806° 동경 126.99833°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경선사명 청동북(景禪寺銘 金鼓)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려시대의 금고이다. 2018년 11월 27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008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
[편집]사찰의 일상적 불교 의례에서 사용된 불교의식구(佛敎儀式具)의 한 종류인 청동북[金鼓]으로서, 측면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무인년(戊寅年)'인 1218년(고려 고종 5)경 무관 6명이 발원해 경선사(景禪寺)에 봉안하기 위해 만든 작품임을 알 수 있다. 표면에 4개의 굵고 가는 동심원을 둘렀고 중앙 당좌구(撞座區)에는 연꽃 씨를 새겼고, 그 주위를 16개의 연화문으로 돌려 장식했다. 그리고 북의 가장 바깥쪽 테두리에는 구름문양의 여의두문(如意頭文)을 새겨 전체적으로 매우 화려하고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갖추었다.[1]
이 청동북의 가장 큰 문화재적 의의는 고려시대 청동북 중 측면에 공명구가 뚫려 있는 사례 중 시기적으로 가장 앞선 작품이라는 점이다. 지금까지 고려 청동북은 뒷면이 뚫려 있는 반자형(飯子形)이 주로 알려져 왔기 때문에 측면에 공명구가 마련된 '경선사명 청동북'은 13세기 청동북 중 기년명이 있는 보기 드문 사례이자 독특한 제작기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고려 금속공예품 연구에 있어서도 의미가 크다.[1]
각주
[편집]- ↑ 가 나 다 문화재청고시제2018-165호(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제19387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8. 11. 27. / 127 페이지 / 746.7KB
참고 자료
[편집]- 경선사명 청동북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