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리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Yjs5497 bot (토론 | 기여)님의 2013년 12월 15일 (일) 14:34 판 (→‎생애: n번째→n 번째. 수사는 단어이고, 단어와 단어사이는 띄어 쓴다: 한글 맞춤법 제 2항 using AWB)
임정 요인들과 함께. (뒷줄 왼쪽 첫 번째)

차이석(車利錫, 1881년 ~ 1945년 9월)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일명은 서입환(徐立煥)이고 호는 동암(東巖)이다. 평안북도 선천군 출신.

생애

1881년 7월 27일 평안북도 선천군에서 차시헌(車始軒)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 한학을 배웠으나 신학문에 뜻을 두어, 1900년에 숭실중학교에 입학하였으며, 1904년 5월 정규과정 첫 졸업생이 되었다. 졸업 후에 1907년 도산 안창호가 설립한 대성학교 교사로 부임하였다. 이후 안창호와 양기탁 등이 주도하여 조직한 비밀결사 신민회에 가입하여, 평양지회에서로 활동하였다. 1911년 105인 사건으로 투옥되었다. 3·1 운동 운동 이후 독립당 간부로 활동하였다. 192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신문 편집국장을 역임했으며, 1922년 시사책진회와 흥사단 원동위원부에 참여하였다. 1932년 임시정부 국무위원 등을 역임했다.

1943년 5월 중경에서 열린 '재중 한인대회'에서. 사진 왼 쪽이 우사 김규식. 두 번째 줄 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차리석
맨 앞줄 좌로부터 (박찬익, 조완구, 김구, 이시영, 차이석
두 번째 줄 맨 왼쪽 성주식, 오른쪽 김붕준
맨 뒷줄 왼쪽부터 조성환, 조소앙, 이청천, 이범석, 이름 미상


김구 등과 함께, 1935년 한국국민당의 창당에 참가했다.

1935년 10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비서실장에 선출되었다.[1] 1939년 10월 25일 임시정부 국무위원에 선출되었다. 1940년 9월 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비서부장에 선출되었고, 1944년 4월 다시 임시정부 국무위원겸 비서부장에 재선되었다.

1945년 8월 쓰촨성에서 광복 소식을 접하였으나 병원에 입원하였다. 9월 9일 환국 직전 사망하였다. 사망하기 직전 광복이 되었는데 왜 귀국하지 못하고 죽어야 하느냐며 병상에서 애통해했다 한다.

사후 평가

차이석 선생은 해외 혁명운동자 가운데 특히 강력한 정신력을 소유하시기로 유명하시었다. 탁월한 사무처리의 기능이나 병 중에서도 최후의 일각까지 맡으신 사명을 완수하신 강한 책임감은 한국독립운동에 피가 되고 살이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 1948년 사회장 당시 이시영, 김구 의 추모담 중에서[2]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1962년에 독립장이 서훈되었고, 1995년 9월의 이 달의 독립 운동가에 선정되었다.

기타

늦도록 슬하에 자녀가 없던 그는 임시정부 주석 김구의 중매로 30대의 과부 홍매영과 재혼하였다. 홍매영은 전남편과의 사이에서 딸이 있었으며, 이때 차리석은 60대였다.

함께 보기

주석

  1. 하련생, 《선월》 (하련생 지음, 강영매 번역, 범우사, 2007) 521페이지
  2. “한국의 독립운동가”. 

틀:1995년-이 달의 독립 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