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 (1361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Bluemersen (토론 | 기여)님의 2013년 9월 14일 (토) 16:44 판 (clean up using AWB)

정진(鄭津, 1361년 ~ 1427년)은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정치인으로 시호는 희절공(僖節公)이며 조선의 개국공신 정도전의 아들이다. 고려 말에 관직에 올라 사재감령, 전농감령 등을 거쳐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1398년(태조 7년) 아버지 정도전요동 정벌 계획 중 태종 이방원에게 피살되자 수군 병력으로 충군되었으나 조준, 권근 등의 건의로 복직하여 자헌대부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사후 의정부우찬성증직되었으며, 아버지 정도전의 문집인 삼봉집을 최초로 간행하였다. 경기도 출신으로 본관은 봉화.

생애

생애 초기

정진은 1361년 정도전과 경숙택주 경주최씨의 네 아들 중 첫째 아들로 개경(현 경기도 개성)에서 태어났다. 관직에 올라 1382년 낭장(郞將)이 되고 이후 사재감령, 전농감령 등을 지냈다.

공양왕 즉위 후 1391년 정몽주(鄭夢周) 등 온건파가 역성혁명파를 탄핵할때 탄핵을 받고 아버지 정도전과 함께 파직당하고 유배되었다.

조선 건국

1392년 7월 조선왕조가 건국하자 풀려나와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고 공신의 적자로 외직을 자청하여 연안부사(延安府使)가 되었다. 연안부사 재직 시 선정을 베풀어 주민들의 칭송이 자자하였으며 1393년 판사재감사를 지내고, 1396년(태조 5년) 승정원도승지로 승진했다.

이후 외직인 경흥부윤(慶興府尹)·영원주목사 등으로 나갔다가 공조전서형조의 전서를 역임하였다. 원주목사로 재직 중 아버지 정도전삼봉집 초본을 간행하였다.

제1차 왕자의 난과 충군

1398년 중추원부사(中樞院副事)로 있을 때, 이방원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아버지 정도전이 남은, 심효생과 함께 이방원에게 살해당하고 동생 세 명도 살해당하였으나, 그는 태조를 수행하여 삼성재(三聖齋) 방문 길을 수행하여 안변군 석왕사에 체류 중이라 기적적으로 목숨을 구하였다.

정도전의 네 아들 중 유일하게 목숨을 건졌으나 정진은 병력으로 충군(充軍)되어 전라도수군으로 충군 징용되었다.

이후 조준권근 등이 그의 복직을 주청하였고, 이후 1407년 다시 복직하였다. 그 해 좌의정 성석린(成石璘)의 천거로 판나주목판사(判羅州牧事)로 부임했다.

생애 후반

1416년(태종 16년) 인령부윤(仁寧府尹)이 되고, 1417년안동대도호부사가 되었다. 그 뒤 평안도관찰사를 거쳐 세종 즉위후 1419년(세종 1년) 충청도도관찰사로 부임했다.

이후 자헌대부로 승진, 1419년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에 제수되었고, 1420년 성절사가 되어 명나라 연경에 다녀오기도 했다. 1421년 판한성부사로 부임하였고, 1422년까지 판한성부사를 역임하였다.

그 뒤 평안도관찰사를 거쳐 1423년 공조판서가 되었다가, 개성부의 유후(留後)로 부임했다. 1425년 형조판서가 되었다. 형조판서 재임 중 1427년(세종 9년)에 병사하였다. 당시 그의 나이 67세였다.

사후

당시 세종대왕은 각별히 애도의 뜻을 표하여 3일간 조회를 정지하였고, 친히 제문을 지어 내렸다. 바로 (贈) 의정부우찬성(議政府右讚成)에 추증되고 희절(僖節)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사후 경북 영주모현사(慕賢祠)에 배향되었으며, 평택희절사(僖節祠)에 제향되었다.

가족 관계

  • 조부 : 정운경(鄭云敬, 1305 ~ 1366)
  • 조모 : 영천우씨, 산원(散員) 우연(禹淵)의 딸
    • 고모 : 봉화정씨
    • 고모부 : 황유정(1343 ~ ?)
    • 숙부 : 정도존
    • 숙부 : 정도복(鄭道復, 1351 ~ 1435, 호는 일봉(逸峯))
  • 부 : 정도전(鄭道傳, 1337년 ~ 1398년)
  • 모 : 경숙 택주 경주 최씨(慶淑宅主 慶州崔氏) 찬성(贊城) 최습(崔濕)의 딸
    • 동생 : 정영
    • 동생 : 정유
    • 동생 : 정담
  • 부인 :

평가

평소 겸양과 치덕으로 일관하였으며, 겸손하여 사람들의 귀감이 되었다 한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