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비술나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Chobot (토론 | 기여)님의 2013년 3월 17일 (일) 01:38 판 (봇:인터위키 링크 1 개가 위키데이터Q1079824 항목으로 옮겨짐. 이동 완료.)
비술나무
경복궁에 사는 비술나무
경복궁에 사는 비술나무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장미군
목: 장미목
과: 느릅나무과
속: 느릅나무속
종: 비술나무
학명
Ulmus pumila
L. 1753

학명이명

Ulmus manshurica

비술나무는 장미목 느릅나무과의 나무이다. 학명은 Ulmus pumila이다.

생태

겨울에 잎이 지는 큰키나무다. 투르키스탄, 동부 시베리아, 몽골, 티베트, 북부 중국, 인도의 북부 카슈미르, 한국 원산이다. 아시아, 북아메리카에서 많이 심어 기르고, 많지는 않지만 남부 유럽에서도 심는다. 키는 10~20m 정도까지 자라며 한반도에서는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색이며 세로로 깊게 갈라진다. 잎은 길이 7cm 정도이고 어긋나며 앞뒤에 털이 없다. 타원 또는 피침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홑톱니나 겹톱니가 있다. 꽃은 3월에 잎보다 먼저 묵은 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모여 핀다. 5월에 여무는 열매는 시과이며 털이 없고, 길이는 12~13mm인데 너비가 길이보다 길다.

사진

참고 자료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