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만주철도주식회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Ysjbbot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3월 19일 (목) 18:36 판 (→‎참고문헌: Replaced: {{reflist -> {{각주 using AWB)
만철의 상징, 특급 '아시아'호

남만주 철도 주식회사(南滿州鐵道株式會社, 틀:Ja-y, 영어: South Manchuria Railways Corporation) 또는 단순히 만철(滿鐵)은 러일전쟁의 강화 조약인 포츠머스 조약(1905년)에 의하여[1] 일본이 러시아로부터 양도받은 철도 및 부속지를 기반으로 1906년에 설립되어, 1945년에 제2차 세계대전 종전까지 중국 동북지방(만주)에 존재한 일본의 국책회사이다. 철도사업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광업, 제조업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사업을 전개한 복합기업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만주 식민화의 중핵기관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초기엔 다롄(大連), 이후 신징(新京) - 현재의 창춘(長春)에 본사를 두었다. 1945년에 소련에 의해 점령되어 실질적 기능을 상실하였고, 이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에 의해서 해산되었다.

다른 의미로는 만철선(滿鐵線)으로 통칭하는 다롄~창춘~하얼빈 간의 철도 노선(남만주 본선 구간) 및 여기에 부속된 남만주철도 주식회사의 각 지선을 의미하기도 한다.

세계 대공황(1929년~39년)의 여파가 만주에도 세차게 밀려왔다. [2] 만철의 주요 거래품목이었던 대두의 수요가 감소하고 수송량도 급격히 줄어들어 수송운임 수입이 격감했다. [2] 게다가 푸순탄의 판매도 부진했다. [2]당시 중국 본토에서 들어오는 수출 석탄의 가격에 비해 푸순탄의 가격이 비쌌기 때문이다. [2]

한국과의 관계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정부는 3개 지역의 연락 운송을 증진하고, 각 노선 운영의 통일을 기하기 위하여 남만주 철도 주식회사에 조선철도의 운영을 위탁한 적이 있다. 1917년 7월 31일 부로 조선총독부 소유의 전 노선이 만철의 위탁 경영 체제로 운영된 바 있다. 그러나 연락 운송은 그리 원활하지 못하였으며, 만철 역시 조선철도 경영을 통해 충분한 수익을 거두기는커녕 총독부 측의 납입금 부담이 발생하였다. 또한, 총독부측 역시 한반도 통치에 활용하기 위하여 직영 체제로의 전환을 요구하였다. 종사원 문제 등의 여러 문제가 있으나, 근본적으로 만철과 총독부측의 이해가 일치하였기에 큰 지장 없이, 1925년 4월 1일 부로 다시 총독부 산하의 철도국으로 환원되었다.

또한, 남만주철도 주식회사는 초기부터 함경도 북부 지역에 동해로 연결될 수 있는 루트로 지린(吉林)~회령간에 주목하고 있었는데, 이후 만주사변으로 인하여 일본의 만주 통제력이 크게 신장되면서 이 중국측 부설 노선 등의 노선 통합을 통해 신징에서 나진에 이르는 루트를 완성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1933년 10월 1일부터 한반도 내 구간 등 북선선(北鮮線) 구간에 대해 대국적 견지에서 만철에 위탁하도록 하였다. 이후 계약 방식과 위탁 구간의 변동이 있었으나, 함경도 북부의 철도에 대해서는 만철의 영향력이 해방 전까지 유지되고 있었다.[3](함경선함북선 문서를 참조할 것.)

한편, 해방 이후의 차량 면에서도 만철의 영향은 존재하였다. 다롄 인근의 사하구(沙河口) 등에 설치된 만철의 공장으로부터 조달된 차량이 해방 이후에도 운영되었다. 1930년대에 조달된 조차, 유개차, 무개차 중 일부가 만철 산하 또는 관련된 공장에서 조달되었다. 한국전쟁과 이후의 해외 원조, 자체 제작을 통해 이들 화물차량은 1980년대 경에는 대다수가 대체, 폐차되었다.

역대 총재

이름 취임 퇴임
1 고토 신페이 1906.11.13 1908.7.14
2 나카무라 요시코토 1908.12.19 1913.12.18
3 노무라 류타로 1913.11.19 1914.7.15
4 나카무라 유지로 1914.7.15 1917.7.31
5 구니사와 심베이 1917.7.31 1919.4.12
6 노무라 류타로 1919.4.12 1921.5.31
7 하야카와 센키치로 1921.5.31 1922.10.14
8 가와무라 다케지 1922.10.24 1924.6.22
9 야스히로 반이치로 1924.6.22 1927.7.19
10 야마모토 조타로 1927.7.19 1929.8.14
11 센고쿠 미쓰구 1928.8.14 1931.6.13
12 우치다 야스야 1931.6.13 1932.7.6
13 하야시 하로타로 1932.7.26 1935.8.2
14 마쓰오카 요스케 1935.8.2 1939.3.24
15 오무라 다쿠이치 1939.3.24 1943.7.14
16 고히야마 나오토 1943.7.14 1945.4.11
17 야마자키 미토키 1945.5.5 1945.9.30

같이 보기

참고문헌

  1. 이 조약은 다음과 같은 규정을 두었다. : "러시아 정부는 청국 정부의 승인을 얻어 랴오둥 반도(뤼순, 다롄) 조차권, 창춘-뤼순 간의 철도, 그 지선, 그리고 이와 관련된 모든 권리와 특권을 일본에 양도한다."
  2. 고바야시 히데오 저, 임성모 역, 《만철: 일본제국의 싱크탱크》 산처럼(2004) 28쪽 ISBN 8990062098
  3. 철도청(1999), 《한국철도100년사》. 철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