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수 (국악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Jtm71 (토론 | 기여)님의 2013년 10월 5일 (토) 22:37 판
김기수
기본 정보
출생1917년 11월 22일
한성부
사망1986년 10월 21일(1986-10-21)(68세)
대한민국
성별남성
직업작곡가,교육인
장르한국 전통음악

김기수(金琪洙, 일본식 이름:光山哲三, 1917년 11월 22일 ~ 1986년 10월 21일)는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대금 연주자이자 신국악 작곡의 선두자이다. 아호는 죽헌(竹軒), 또는 순한국어로 풀어서 '대마루'라고도 한다.

생애

한성부 출생이다. 일제 강점기조선 왕실 관리를 위해 설치된 이왕직 소속 아악부의 아악부원양성소에서 국악을 공부하였고,[1] 이왕직아악부에서 아악수와 아악사를 맡았다.[2] 1941년 획기적인 창작 국악곡으로 꼽히는 〈세우영(細雨影)〉을 작곡했으며, 광복 후에는 대한민국 국악계의 토대를 닦았다. 흔히 창작국악과 국악작곡의 개척자로 불린다.[3]

1951년부터는 국립국악원에서 국악사, 장악과장, 악사장으로 일했다. 1964년에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1971년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의 예능보유자로 인정받았다.[2] 1973년 국립국악원 원장에 임명되었고 국립국악고등학교 교장을 역임하며 국악에 대한 저서를 다수 저술하여 국악계의 대부격으로 활동했다. 국립국악원에 그의 호를 딴 '죽헌실'이라는 전시실이 따로 마련되어 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도 지냈다.

평가

독주곡·관현악곡·무용음악·의식음악 등 수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많은 전통 음악 악보를 채보했다. 또한 많은 교재와 국악입문서를 발간해 국악 교육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악기를 개량하고 복원하는 등 한국 전통 악기의 개량 사업에도 심혈을 기울였다.[2]

친일 논란

성악곡 《황화만년지곡(皇化萬年之曲)》 등 친일 국악곡을 작곡하여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음악인 부문에 포함되었다. 일본 건국 2600주년을 기념하여 일본 천황을 칭송하는 내용의 《황화만년지곡》은 이능화의 시에 곡을 붙인 것이다. 김기수는 이 명단에 수록된 음악인 가운데 친일자료의 편수는 많지 않으나 친일행위의 정도가 노골적이라고 평가된 경우이다.[4]

주석

  1. 이왕직아악부는 광복 후 설립된 국립국악원의 전신이다.
  2. 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가/정악의 명인/김기수, 《글로벌 세계 대백과》
  3. 전지영. “창작국악은 발전하고 있는가”. 컬처뉴스. 
  4. 강문영. “황국신민 맹세한 인물이 한국음악의 거목 - [친일음악편] 홍난파, 현제명, 김성태, 남인수 등 24명”. 컬처뉴스.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25) (도움말)

같이 보기

참고자료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