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수 (국악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기수
기본 정보
출생1917년 11월 22일
일제강점기 경성부
사망1986년 10월 21일(1986-10-21)(68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별남성
직업작곡가,교육인
장르한국 전통음악
활동 시기1938년 ~ 1986년

김기수(金琪洙, 일본식 이름:光山哲三, 1917년 11월 22일 ~ 1986년 10월 21일)는 일제강점기, 대한민국대금 연주자이자 신국악 작곡의 선두자이다. 아호는 죽헌(竹軒), 또는 순한국어로 풀어서 '대마루'라고도 한다.

생애[편집]

경성부 출생이다. 일제강점기조선 왕실 관리를 위해 설치된 이왕직 아악부의 아악부원양성소에서 국악을 공부하였고,[1] 이왕직아악부에서 아악수와 아악사를 맡았다.[2] 1941년 획기적인 창작 국악곡으로 꼽히는 〈세우영(細雨影)〉을 작곡했으며, 광복 후에는 대한민국 국악계의 토대를 닦았다. 흔히 창작국악과 국악작곡의 개척자로 불린다.[3]

1951년부터는 국립국악원에서 국악사, 장악과장, 악사장으로 일했다. 1964년에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1971년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의 예능보유자로 인정받았다.[2] 1973년 국립국악원 원장에 임명되었고 국립국악고등학교 교장을 역임하며 국악에 대한 저서를 다수 저술하여 국악계의 대부격으로 활동했다. 국립국악원에 그의 호를 딴 '죽헌실'이라는 전시실이 따로 마련되어 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도 지냈다.

평가[편집]

독주곡·관현악곡·무용음악·의식음악 등 수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많은 전통 음악 악보를 채보했다. 또한 많은 교재와 국악입문서를 발간해 국악 교육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악기를 개량하고 복원하는 등 한국 전통 악기의 개량 사업에도 심혈을 기울였다.[2]

친일 논란[편집]

성악곡 《황화만년지곡(皇化萬年之曲)》 등 친일 국악곡을 작곡하여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음악인 부문에 포함되었다. 일본 건국 2600주년을 기념하여 일본 천황을 칭송하는 내용의 《황화만년지곡》은 이능화의 시에 곡을 붙인 것이다. 김기수는 이 명단에 수록된 음악인 가운데 친일자료의 편수는 많지 않으나 친일행위의 정도가 노골적이라고 평가된 경우이다.[4]

각주[편집]

  1. 이왕직아악부는 광복 후 설립된 국립국악원의 전신이다.
  2. 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가/정악의 명인/김기수, 《글로벌 세계 대백과》
  3. 전지영 (2006년 11월 22일). “창작국악은 발전하고 있는가”. 컬처뉴스. 
  4. 강문영 (2005년 9월 5일). “황국신민 맹세한 인물이 한국음악의 거목 [친일음악편] 홍난파, 현제명, 김성태, 남인수 등 24명”. 컬처뉴스. 

같이 보기[편집]

참고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