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현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금현성(金峴城)은 충북 제천시 덕산면 신현리, 한수면 덕곡리, 한수면 탄지리 접경지역에 걸쳐 있는 성곽이다.

위치[편집]

금현성(金峴城)은 충북 제천시 덕산면 신현리, 한수면 덕곡리, 한수면 탄지리 접경지역에 걸친 북형산(北兄山) 또는 와룡산(臥龍山)에 소재하며, 좌표는 N36 55.707 E128 06.704이다. 이 성안에 고산사(高山寺)가 있다. 금현성은 백제의 성곽으로 신라 진흥왕이 공취하여 남한강 하류지역과 상류지역에 고구려10군을 점령할 수 있는 전초기지를 구축할 수 있었다.


백제 7성 금현성 전경
백제 7성 금현성 표지석과 성축
백제 7성 금현성 표지석 전면
백제 금현성 토축
백제 금현성 등계 석축 수직홈
백제 금현성 협축
금현성 광천

소재지와 전적사료[편집]

  • 백제의 금현성(金峴城)[1]은 미상으로 분류되어 지리적인 위치의 학설은 충북 진천군 진천읍으로 비정,[2] 충남 연기군 전의 로 비정[3]하고 있지만, 삼국항쟁의 전적과 지리적으로 불합리하며 성곽의 명칭을 명확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다.
  • 백제의 금현성(金峴城)과 관련 전적사료는 이사부(異斯夫) 열전에, 진흥왕 11년(550)에, 백제고구려도살성(道薩城)을 쳐서 빼앗자 고구려백제의 금현성(金峴城)을 함락시켰다. 진흥왕은 두 나라 병사가 피로에 지친 틈을 타서 이사부에게 병사를 내어 그것을 공격하도록 명령하였다. 두 성을 빼앗아 증축하고 갑사(甲士)가 머무르게 주둔하여 지켰다. 이때 고구려에서 병사를 보내 와서 금현성(金峴城)을 공격하였지만, 이기지 못하고 돌아갔다. 이사부가 그것을 추격하여 대승하였다.[4]라는 사료에서 백제의 금현성(金峴城)과 고구려의 도살성(道薩城)을 신라가 공취하여 죽령(竹嶺) 이북 지역의 고구려의 강역 10군[5]청풍강 하류 한성(漢城) 지역을 점령할 수 있었다.

명칭 유래[편집]

  • 백제의 금현성(金峴城)은 쇠(金)와 관련한 성곽의 명칭으로 금곡산(金谷山)은 청풍군 서쪽 26리에 있다.[10]라는 사료에 실린 금곡산(金谷山)[11]을 도식하여 지금의 와룡산월형산이 금현성의 소재지로 고증된다.
  • 금곡산(金谷山)에 쇠가 났다는 쇠시리재는 한수면 덕곡리 골안 남쪽에서 탄지리로 가는 고개[12]는 성곽의 진입로의 고갯길에 금현(金峴)과 일체성을 보여주므로 금현성(金峴城)으로 고증된다.
  • 신라 진흥왕이 550년 고구려의 도살성(道薩城)과 백제의 금현성(金峴城)을 공취하면서 남한강 유역에서 영토를 확고히 수비하기 위해서는 단양 적성(赤城)에서 고구려의 세력을 봉쇄하기 위하여 지금의 중앙고속도로와 단양 상류지역에 고구려10군(郡)을 공취한 것이다.[13]

백제의 금현성[편집]

  • 금현성(金峴城)은 고로봉형산성(栲栳峰形山城)으로 산능선을 에워싼 석축과 토축으로 자연성벽을 포함하여 온 둘레는 약 2.75km에 이른다. 성안에 식수가 풍족하며, 1950년 한국동란 때 최후의 격전지였다.
  • 금현성(金峴城)은 지리적으로 단양 도살성(道薩城)에서 서쪽으로 모녀현(毛女峴)을 넘어 성천(城川)과 광천(廣川)이 합수머리 금곡산(金谷山)에 웅거하면서 배후에 청풍강(淸風江)과 연접하여 성안에서 농성(籠城)하면서 한강하류의 진격로를 공수(攻守)하였다.
  • 금현성(金峴城)은 신라 이사부(異斯夫)가 추격전에서 고구려 군사를 대패한 광천에 금곡마을에 살패(殺敗)의 지명이 전승한다.

550년 신라 공취후 전적[15][편집]

  • 신라 진흥왕이 550년에 한강유역에서 고구려의 도살성과 백제의 금현성을 공취한 이후 554년에 관산성(管山城)의 전적에 의거 금현성을 충북 진천의 내륙지방과 충남 연기의 비정은 지리적으로 위치가 격리되어 부적합하므로 개입할 수 없다.
연 도 주 요 전 적
진흥왕 11년(550) 고구려의 도살성(道薩城)과 백제의 금현성(金峴城) 이찬 이사부(異斯夫) 공격 두 성을 공취
진흥왕 12년(551) 3월 낭성 하림궁 우륵(于勒) 가야금 탄주
진흥왕 12년(551) 거칠부(居柒夫) 고구려의 10군 공취
진흥왕 15년(554) 관산성(管山城) 각우 우덕(于德)과 이찬 탐지(耽知) 방어 불리 신주(神州) 군주 무력(武力) 주병(州兵)과 고전,

비장 3년산군(三年山郡) 고간(高干) 도도(都刀) 급히 적공격 백제왕(百濟王) 죽임

진흥왕 16년(555) 정월 완산주(完山州) 비사벌(比斯伐) 설치
진흥왕 16년(555) 10월 북한산(北漢山) 순행
진흥왕 18년(557) 국원(國原)에 소경(小京) 설치
진흥왕 19년(558) 신라 귀척 자제 6부의 호민(豪民) 국원소경(國原小京)에 옮김
진흥왕 23년(562) 9월 가야 반란 異斯夫 토평
진흥왕 26년(565) 아손 춘부(春賦) 국원(國原)에 가서 지키게 함

각주[편집]

  1. 삼국사기》三國有名未詳地分 金峴城
  2. 민덕식《高句麗 道西縣城考》(1983)
  3. 이병도《국역 삼국사기》(1977)
  4. 三國史記 卷第四十四 列傳 第四 異斯夫 》眞興王 在位十一年大寳元年百濟拔髙句麗道薩城 髙句麗䧟百濟金峴城主 乘兩國兵疲命 異斯夫出兵擊之取二城増築留申士 戍之時髙句麗遣兵來攻金峴城不克而還 異斯夫追擊之大勝.
  5. 신채호《조상상고사》에 10군의 비정은 지금의 죽령에서 북쪽으로 제천(堤川), 원주(原州), 횡성(橫城), 지평(砥平), 홍천(洪川), 가평(加平), 춘천(春川), 낭천(狼川) 순위로 점령한 것으로 보았다.
  6. 三國史記 卷第四 新羅本紀 第四
  7. 청풍 성열현인 악성 우륵의 사료집성》(2013)
  8. 제천군지》(1969)
  9. 제천의 옛성터2》(2000)
  10. 신증동국여지승람》청풍군 산천
  11. 대동여지도
  12. 제천시지》(2004)
  13. 충북지방 성곽의 보존 및 활용방안》(2013)
  14. 충북지방 성곽의 보존 및 활용방안》(2013)
  15. 삼국사기

참고 자료[편집]

  • 「한중일 국가기원과 그 역사」, 진흥왕의 전략, 김성호, 김상한 저, 맑은소리(2008년, 188~201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