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머거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일거리 처리/Plus by Kimbugak.
태그: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51번째 줄: 51번째 줄:
}}
}}


'''머거본'''은 [[대한민국]]의 [[견과류]]를 제조하는 회사이다.<ref>주로 만드는 제품은 맥주의 안주거리인 땅콩과 아몬드등을 제조하는 일이며 그외의 [[견과류]]나 [[육포]]를 생산, 판매 하기도 한다.</ref>
'''머거본'''은 [[대한민국]]의 [[견과류]]를 제조하는 회사이다.<ref>주로 만드는 제품은 맥주의 안주거리인 땅콩과 아몬드등을 제조하는 일이며 그외의 견과류나 [[육포]]를 생산, 판매 하기도 한다.</ref>


우성식품<ref>코카콜라사의 [[자회사]]로 코카콜라가 운영하는 한국의 기업 중 하나였다.</ref>에서 만들어진 회사로, 모회사가 1997년에 부도 난 후엔 2004년에 '''우성넥스터어'''<ref>2008년부턴 정식적으로 '머거본'이란 사명을 쓰게 되며 그동안은 이것은 제품의 이름으로만 쓰였으나 이것이 회사의 이름으로도 확산된 사례이다.</ref>로 사명을 변경하기도 했으며 이듬해인 2005년에 모기업이 전자산업<ref>이 시기부턴 완전히 현재의 머거본의 모기업인 우성그룹이 식품을 만드는 사업에서 철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머거본이란 상품의 이름을 공식적으로 쓰게 됐으며 정식으로 회사의 명의로 승격된건 3년뒤인 2008년이 된다.</ref>에 매진하기 위해 흥양산업에 매각되자 사명을 '''(주)머거본'''으로 분사했고 2005년에는 세계식품이 지분의 51%를 인수하여 영도공장까지 인수해 머거본 제품 OEM을 본격적으로 제조하게 된다.
우성식품<ref>코카콜라사의 [[자회사]]로 코카콜라가 운영하는 한국의 기업 중 하나였다.</ref>에서 만들어진 회사로, 모회사가 1997년에 부도 난 후엔 2004년에 '''우성넥스터어'''<ref>2008년부턴 정식적으로 '머거본'이란 사명을 쓰게 되며 그동안은 이것은 제품의 이름으로만 쓰였으나 이것이 회사의 이름으로도 확산된 사례이다.</ref>로 사명을 변경하기도 했으며 이듬해인 2005년에 모기업이 전자산업<ref>이 시기부턴 완전히 현재의 머거본의 모기업인 우성그룹이 식품을 만드는 사업에서 철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머거본이란 상품의 이름을 공식적으로 쓰게 됐으며 정식으로 회사의 명의로 승격된건 3년뒤인 2008년이 된다.</ref>에 매진하기 위해 흥양산업에 매각되자 사명을 '''(주)머거본'''으로 분사했고 2005년에는 세계식품이 지분의 51%를 인수하여 영도공장까지 인수해 머거본 제품 OEM을 본격적으로 제조하게 된다.

2020년 12월 1일 (화) 22:00 판

머거본
본사 소재지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 195번길 10번지
대표자신주식

머거본대한민국견과류를 제조하는 회사이다.[1]

우성식품[2]에서 만들어진 회사로, 모회사가 1997년에 부도 난 후엔 2004년에 우성넥스터어[3]로 사명을 변경하기도 했으며 이듬해인 2005년에 모기업이 전자산업[4]에 매진하기 위해 흥양산업에 매각되자 사명을 (주)머거본으로 분사했고 2005년에는 세계식품이 지분의 51%를 인수하여 영도공장까지 인수해 머거본 제품 OEM을 본격적으로 제조하게 된다.

역사

(주)우성식품은 1985년에 스넥과 식품사업부를 출범하였는데 당시에 유명한 회사인 블루 다이아몬드와 협약하여 당시의 국내에선 거의 보기 드문 안주거리인 아몬드를 수입하여 판매하기 시작하였고 그로부터 1년후인 1986년에 지금의 '머거본'의 전신인 회사가 창립하게 된다. 국내에서는 그동안 찾아볼수가 없었던 아몬드의 고소하고 짭짤하며 담백한 맛에 호감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지며 대중에서 인기를 끌게 되었고[출처 필요] 덕분에 10여년동안은 국내에서 유일한 제대로 된 안주시장을 잠식하게 된다.

1997년에 모기업부도가 났지만 아몬드의 인기는 매우 뜨거웠기에 당시의 아몬드에 대한 제품의 수요는 더욱 급증하였으며 결국 2002년부턴 국내의 블루 다이아몬드에 4개 영업점을 인수하여 사업을 확장하였고 2008년부턴 새로운 상표이자 회사명이 되는 현재의 머거본을 본격적으로 출범시키게 된다.

다만 1990년대 당시에도 블루 다이아몬드의 제품의 중간에도 '머거본'을 상표로 광고하였으나 공식적으로 '머거본'이 법인의 회사가 된 것은 2008년이다.

오랫동안 견과류 안주 산업에 집중하였지만 2010년대인 2011년부턴 육포의 부분도 선보이게 된다. 전통의 견과류 안주 산업은 국내에서 인정받고 있어 현재 편의점의 거의 모든 견과류 안주는 머거본의 상품이 진열되어 있다.[출처 필요]

각주

  1. 주로 만드는 제품은 맥주의 안주거리인 땅콩과 아몬드등을 제조하는 일이며 그외의 견과류나 육포를 생산, 판매 하기도 한다.
  2. 코카콜라사의 자회사로 코카콜라가 운영하는 한국의 기업 중 하나였다.
  3. 2008년부턴 정식적으로 '머거본'이란 사명을 쓰게 되며 그동안은 이것은 제품의 이름으로만 쓰였으나 이것이 회사의 이름으로도 확산된 사례이다.
  4. 이 시기부턴 완전히 현재의 머거본의 모기업인 우성그룹이 식품을 만드는 사업에서 철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머거본이란 상품의 이름을 공식적으로 쓰게 됐으며 정식으로 회사의 명의로 승격된건 3년뒤인 2008년이 된다.

틀:KRX 100 지수 구성 종목 틀:코스피200 지수 구성 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