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징병제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23년 2월)

중립적 관점[편집]

징병제도를 대해서 긍정적인 기술이며,중립적인 관점에서 의문이 있다.

북한이 적화통일할 가능성은 거의 없고,군사기술이 고도화한 현대,국민의 부담이 큰 징병제도를 존속시킬 뜻은 적다.

특히 한동란 경우에는 체재선택이 윈인이며,사회주의로부터 자본주의를 지킬 의무는 국민에는 없다.

권력자 사이로 멋대로 싸우면 된다.

위에 IP주소로 쓰신 분의 글은 중립적 관점에 어긋나는 내용입니다. 징병제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얘기일 분이죠. 그리고 맞춤법, 문법 모두 엉망이네요. --WaffenSS 2006년 6월 16일 (금) 02:10 (KST)답변


유럽연합 관련 기술을 삭제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유럽 지역의 집단안보를 제공하는 조직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이지 유럽연합(EU)이 아니기 때문에 적절치 않은 기술이라고 판단됩니다. 또한 기존 본문의 설명과는 달리 NATO는 서유럽이 유사시에 미국의 군사력을 끌어들여 안보보장을 받기 위한 도구라는 점도 감안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현 시점에서 한국의 제도권 전문가 중에 모병제를 징병제에 대한 진지한 대안으로 주장하는 사람은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에 그 관련 서술도 현황을 반영해 조금 수정했습니다. -- sonnet 2007년 7월 5일 (목) 00:14 (KST)답변

징병제의 장점과 단점에 참고자료와 출처는 충분합니다.[편집]

참고자료는 모병제 추진 국민연대의 홈페이지로 가면 잔뜩 있습니다. 개인적인 마초이즘에 의한 편집은 금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모병제추진 국민연대면 징병제를 반대하는 집단인데 어떻게 해서 객관성이 확보된다고 할수 있을까요? --Hiseob (토론) 2009년 5월 13일 (수) 04:42 (KST) ]답변

영문 자료에 관해[편집]

전에 제가 쓴 징병제 장단점을 수정하신 분이 '영문 자료를 날조하여 그걸 한국어로 옮겼다'며 코멘트를 남겨주셨는데, 저는 그 영문자료를 날조한 것이 아니라 원래 있던 것을 옮겼을 뿐입니다. 저도 자유주의자로서 징병제에 (원론적으로는) 반대하는 입장이지만, 다른 쪽의 주장도 적어볼 필요가 있기에(중립성 유지?) 제가 그렇게 썼었을 뿐입니다.Finefir2001 (토론) 2009년 8월 8일 (토) 12:50 (KST)답변

"앞으로의 한국의 병역제도 전망 " 부분[편집]

"앞으로의 한국의 병역제도 전망 "문단 부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출처없이 특정 편집자의 개인적인 분석을 하고 있어 독자연구 금지 정책에 위반되고 있습니다. 이에 독자연구틀을 삽입하였습니다. 즉, 한국의 병역 제도에 대한 권위있는 출처에 의한 전망을 사실로 다루어 서술한 것이 아니라, 그 문단을 보시면, 자료를 바탕으로 편집자 고유의 사상과 분석적 판단을 동원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서술을 하고 있어 위키백과의 서술 방식에 상치되고 있습니다. --hun99 (토론) 2010년 2월 25일 (목) 19:25 (KST)답변

해당 문단을 삭제했으면 좋겠습니다. --iTurtle (토론) 2010년 2월 26일 (금) 18:51 (KST)답변

독자연구라는 근거를 대시기 바랍니다.[편집]

명확한 근거도 없이 독자연구로 몰아붙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독자연구라는 근거가 고작 장점3줄 단점 40줄이라구요? 이건 말도 안되는 것입니다. 근거가 없다든가 사실과 맞지 않다든가 이런 이유가 아닌 분량상의 문제로 인하여 독자연구라고 치부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일단 독자연구 틀은 제거하고 hun99님은 지속적인 문서훼손으로 위백 사관신청 들어가겠습니다.

그리고 글에 대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징병제를 나쁘게 봐서 기분나쁘다면 징병제의 장점에 대해 더 많이 서술하는 방법을 택해야지, 자기 망름에 안든다고 중립성과 독자연구(특히 출처가 모두 있음에도 독자연구로 매도하는 것)로 매도하는 것은 문서훼손 및 중립적 시각 위배라는 점 알아두시기 바랍니다.118.36.192.170 (토론) 2010년 2월 27일 (토) 16:46 (KST)답변

독자연구라는 것은 이 문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공개 발표되지 않은 사실, 주장, 개념, 진술 또는 이론을 의미합니다 "앞으로 한국의...전망" 부분의 글 내용을 보면 공개 발표되지 않는 편집자의 분석이지 공개발표된 권위있는 출처에 의한 분석을 알리는 글이 아닙니다. " 자신의 연구 성과를 사용하는 것"도 정책에 의해 금지됩니다. 만약 위 분석의 내용이 책, 기사 등의 형태로 나왔다면 위키백과에서 유지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기존에 발표된 징병제 연구 자료들을 위키백과의 편집자가 분석하여 나름의 해석을 내놓은 것도 역시 위 정책 문서를 읽어보면 독자연구금지 정책 위반임을 눈치채셨을 것입니다)--hun99 (토론) 2010년 2월 27일 (토) 17:08 (KST)답변
징병제의 장점을 더 보충하는 방향이 맞지 않느냐? 네,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다만, 징병제의 장점이 위키백과의 협업 정신에 따라 보충되기 전까지는 중립성의 태그는 달려 있어야 합니다. 중립적 시각 정책에 따르면, 어느 한 견해가 어느 한 견해에 비해 진실인양 기술되어서는 안된다고 되었으며 그 분량의 정도도 그 시각의 비중에 맞게 정해져야 한다고 서술되어 있습니다. 징병제의 장점이 단점에 비해서 3줄과 40줄이라는 현저한 양의 격차를 시인할 만큼 가혹할 정도의 비중의 차이가 있어야 한다고 사회통념적으로 보여지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징병제의 장점이 보충되기 전까지는 중립성 태그는 현존해야 하는 것이 현 정책입니다. --hun99 (토론) 2010년 2월 27일 (토) 17:13 (KST)답변
중립적이지 않다고 생각되면 붙일 수 있습니다. 현재 너무 비판적으로만 기술되어있습니다.--누비에크 () 2010년 2월 27일 (토) 17:16 (KST)답변

정리 필요, 독자 연구[편집]

의미있는 글이라고는 생각하지만, 백과사전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판단한 부분을 삭제했습니다.[1] (이전 버전은 남아 있습니다.)

  • 삭제한 부분은 사실을 서술한다기보다는 다른 나라의 사례와 비교하는 등 주관을 가지고 연구하는 레포트 형식의 글이었습니다.
  • 남아있는 부분 또한 그런 글이 많아 다듬어야 합니다.
  • 남아있는 부분도 서술이 아닌 목록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많아 정리가 필요합니다.
  • 징병제를 실시하는 나라가 2차례 나오는 등, 서식 면에서 정리가 필요한 부분도 역시 있습니다.

--Puzzlet Chung (토론) 2010년 4월 6일 (화) 10:22 (KST)답변

cia worldfactbook도 오류가 있습니다. 위키 관련 항목 모두 수정했습니다.[편집]

우리나라가 2014년이 아닌 2016년에야 복무기간이 육군기준 18개월로 되어있습니다. 제반 관련 사항 수정 요청 메일 보냈습니다.

서두의 그림자료는 이 글을 기반으로 고처야 되겠습니다.

(외부 자료, cia worldfactbook, 해당국 언어 위키) 중 제일 빠른 자료를 기준으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물론 객관성을 위하여 충분한 주석과 외부 자료 인용 출처가 있어야겠습니다.

이 글에도 나와있듯이, 모든 국가는, 특히 선진국일 수록 징병제냐 모병제냐를 떠나서 적은 자원 (사회적 비용)으로 최대한의 국방력을 키우는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만, 갈수록 병력규모가 작더라도 모병제로서 첨단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대세일 뿐입니다.

다산 정약용 선생도 군대는 단 하루를 쓰기 위해 10년간 준비해야 하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국방에 있어서 정치 이념과 사회문제에 따른 단편적 주장 일변도로 가서는 안됩니다. 특히 위키에서는요.--218.232.218.69 (토론) 2010년 8월 11일 (수) 17:02 (KST)답변

브라우저 호환 문제[편집]

본 페이지가 IE8에선 제대로 보이는데, 파이어폭스 3.6.3버전과 크롬 7.0.503에서 깨져 보이는군요. 문서를 어떻게 고치면 제대로 나오는지 몰라서 도움을 요청합니다. 175.113.134.44 (토론) 2010년 9월 8일 (수) 23:16 (KST)답변

브라질 징병제 아니고 모병제 국가입니다...[편집]

브라질 징병제 아니고 모병제 국가입니다 수정부탁드립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악마그림자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직접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만, 브라질이 징병제가 아니라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블로그, 개인 홈페이지 등은 일반적으로 제외 / 백:확인 가능)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6일 (월) 12:57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9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징병제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9월 5일 (수) 22:21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1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징병제에서 16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1월 5일 (수) 22:16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3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징병제에서 3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3월 7일 (월) 23:53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8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징병제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8월 9일 (화) 21:43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3년 2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징병제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3년 2월 20일 (월) 06:38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