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전사의 항아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사의 항아리
항아리 겉면 그림을 확대한 모습

전사의 항아리(영어: Warrior vase)는 독일 고고학자 하인리히 슐리만미케네 아크로폴리스에서 발견한 미케네 도기 작품으로 현재 아테네 국립고고학박물관에 소장된 대표작 중 하나이다.[1] 기원전 12세기에 제작된 이 작품은 그리스 청동기 후기의 도기 가운데서도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2]

상세[편집]

항아리의 정확한 용도는 포도주를 식수로 희석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라테르 (krater)라고 부른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술을 희석시켜 마시는 것이 문명인의 바람직한 습관이라 믿었다. 발견 당시 모든 조각이 다 발견되지는 못한 상태로 복원되었는데, 그 겉면에 군인들의 그림이 새겨져 있어 전사의 항아리라는 명칭이 붙었다. 각 군인들은 짧은 키톤흉갑, 투구, 정강이받이를 착용한 상태이며, 창으로 무장하고 방패를 들고 있다.

과거에는 황소머리 손잡이가 달려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의 제작연대를 기원전 7세기 초로 추정하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었다. 제작연대가 기원전 12세기로 조정된 지금도 황소머리 손잡이나 인물의 형태 등이 기원전 8세기의 도기에서 발견되는 특징과 유사성이 있다는 점은 인정되고 있는데 두 연대간의 시차가 500년이나 된다는 점에서 의문점을 남기고 있다.[1]

전사의 항아리는 미케네 궁전이 조성되던 시대 이후의 미케네 전사가 어떤 모습이었는지에 관한 단서도 제공하고 있다. 전사들이 들고 다니는 배낭을 보면 전투를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해야 했음을 드러내고 있다. 다른 면에는 고슴도치 모양의 투구를 쓴 전사들도 그려져 있으며, 들고 있는 창의 길이도 당대에 묘사된 일반 창보다 짧다. 양면의 전사 모두 방패, 흉갑, 정강이받이는 똑같이 장비하고 있다.[3] 따라서 어떤 특정 인물들을 묘사한 것이 아니라, 군복을 입은 군대 자체를 묘사한 것이라는 설도 존재한다.[4]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The Warrior Vase
  2. Early Late Helladic III C.
  3. Cartwright, Mark. "Mycenaean Pottery". World History Encyclopedia. Retrieved 6 October 2015.
  4. Brouwers, Jos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