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륵의 10곡 사팔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팔혜(沙八兮)는 악사(樂師) 성열현(省熱縣) 사람 우륵(于勒)의 12곡 가운데 제10곡명으로 유희적인 농악(農樂)과 관련한 향가이다.


사팔혜(沙八兮) 곡명의 원전사료[편집]


사팔혜(沙八兮) 곡명의 지명설[편집]

  • 사팔혜(沙八兮)는 지금의 경남(慶南) 합천군(陜川郡) 초계(草溪)지역으로 비정한다.[2][3]
  • 사팔혜(沙八兮)는 말송보화(末松保和)·양주동(梁柱東)·김동일(金東旭)·전중준명(田中俊明)은 합천군(陜川郡) 초계(草溪)[4]로 비정했다.
  • 사팔혜(沙八兮)는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지방의 옛 지명으로 밝혀진 이 곡은 우륵이 초계지방에서 불리던 민요 같은 노래를 가야금곡으로 편곡한 것으로 추정된다.[5]


사팔혜(沙八兮) 곡명의 지명과 분석[편집]

  • 사팔혜(沙八兮)는 신라 진흥왕우륵이 지은 가얏고 12곡의 하나.[6]라고 지명은 기록하지 않았다.
  • 팔계현(八谿縣)은 본래 초팔혜현(草八兮縣)인데 경덕왕(景德王)이 개명하였다. 지금은 초계현(草谿縣)이다.[7][8]
  • 삼국사기》에, 번다하고 또 음란우륵12곡명은 5곡으로 과감히 축소하여[9][10] 신라의 대악(大樂)으로 발전한 것이므로 우륵12곡명국명으로 판단할 수 없다.
  • 양주동(梁柱東)은 사팔혜(沙八兮)로 비정했으나 풀 초(草)자와 사(沙)자는 음사적으로 부합하지 않은데, 다만 8혜(八兮)에서 유추한 것으로 보인다.
  • 신라의 《처용가(處容歌)》8구체 가운데 5구 ‘2혜은오하어질고(二兮隱吾下於叱古)’, 6구 ‘2혜은수지하언고(二兮隱誰支下焉古)’에서 5구를 ‘둘흔2 내해엇고’, 6구는 ‘둘흔2 뉘해언고’라고 해독하였다.
  • 우륵의 12곡 가운데 열번째 곡명 사팔혜(沙八兮)는 농악대의 숫자를 상징한 유희 향가로 유추한다.[11]


각주[편집]

  1. 《三國史記 卷第三十二 雜志 第一 樂》
  2. 정구복 외, 《역주 삼국사기》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71쪽
  3.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데이터베이스》
  4. 金泰植《加耶聯盟史
  5. 송방송《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1》
  6. 李熙昇《국어대사전》(2000)
  7. 《三國史記 卷第三十四 雜志 第三 地理一 新羅》
  8.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데이터베이스》八谿縣 本 草八兮縣 景徳王 攺名今 草谿縣
  9. 三國史記 卷第三十二 雜志 第一 樂》此繁且淫不可以為雅正遂約為五曲
  10.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데이터베이스
  11. 《청풍 성열현인 악성 우륵의 사료집성》(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