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필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필원
徐必遠
출생1614년
사망1671년
성별남성
국적조선
본관부여(扶餘)
별칭자 재이(載邇)
호 육곡(六谷)
시호 정의(貞毅)
학력1648년 정시 문과 급제
경력충청도 관찰사
한성부판윤
형조 판서
병조 판서
직업문관
부모서운기(徐雲驥)
이택민(李澤民)의 딸
배우자전주 이씨 이성간(李成幹)의 딸
자녀서경조(徐敬祖)
친척증조부 서익(徐益)

서필원(徐必遠, 1614년 ~ 1671년)은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부여(扶餘). 자는 재이(載邇), 호는 육곡(六谷). 시호는 정의(貞毅)이다.[1]

생애[편집]

만죽헌(萬竹軒) 서익(徐益)의 증손이다. 1633년(인조 11년) 진사시에 급제하여 1643년 창릉참봉·사옹원봉사가 되었다. 1648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관을 거쳐 예문관검열과 설서(說書)를 역임하였고, 통훈대부(通訓大夫) 행 사간원 정언 겸 춘추관 기사관(行司諫院正言兼春秋館記事官)으로 《인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2]

1654년(효종 5) 홍문관부수찬, 사간원헌납,[3] 이조좌랑,[4] 평안도어사를 역임하였다.

1656년 수찬, 사헌부지평, 홍문관교리, 이조정랑 등을 지내고, 충청도관찰사가 되었을 때 서원의 폐단을 보고하고 그 개혁을 청하였다.[5]

1657년 대사간,[6] 1658년 승지를 거쳐 전라감사가 되어서 대동법(大同法) 시행에 찬동하여 전남도대동사목(全南道大同事目)을 반포하였다.

현종 초에 병조참의·승지·대사성·예조참의·이조참의 등을 거쳐, 1663년(현종 4) 대사간·승지·병조참의를 역임하였다. 이듬해 함경도관찰사가 되어 목면 재배를 권장하고 구휼 사업에 힘쓰기도 하였다.[7] 특히 육진혁막제조(六鎭革瘼諸條)를 올려 그 지방의 폐단을 개혁하는 데 앞장섰다.

1665년 강화유수를 역임하고, 1668년 자헌대부에 승진하여 형조 판서가 되었다.[8] 1671년 병조판서에 이르렀다.[9] 시호는 정의(貞毅)이다.[10][11]

저서[편집]

  • 《육곡유고(六谷遺稿)》

각주[편집]

  1. 서필원 -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인조실록 1권, 편수관 명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 효종실록 12권, 효종 5년 4월 18일 정축 2번째기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효종실록 13권, 효종 5년 10월 30일 병술 2번째기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 효종실록 18권, 효종 8년 6월 21일 임진 3번째기사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6. 효종실록 19권, 효종 8년 12월 4일 임신 1번째기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7. “현종실록 7권, 현종 5년 1월 29일 임진 4번째기사”. 2016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8. “현종실록 15권, 현종 9년 11월 11일 병오 4번째기사”. 2016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9. “현종실록 19권, 현종 12년 6월 14일 계사 3번째기사”. 2016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0. “영조실록 79권, 영조 29년 4월 23일 무신 2번째기사”. 2016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1. 서필원이 죽기 직전에 영의정에는 허적이, 좌의정에는 정치화가, 우의정에는 송시열이 앉아있었고 이조판서에는 김수항이, 호조판서에는 김수흥이, 예조판서에는 정지화가, 병조판서에는 서필원이, 형조판서에는 민희가, 공조판서에는 박장원이 앉아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