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radite/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재무관리(財務管理, financial management)

개요[편집]

재무관리란 기업에 자금을 조달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기업의 가치를 증대시키는 것에 관련된 이론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목적[편집]

개요와 같이 재무관리는 기업에 자금을 조달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기업의 가치를 증대시키는 것에 관련된 이론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에 따라서 재무관리의 목표는 기존 주식의 주당 현재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이다.[1]

경영학 내에서 비전공자에게 비슷한 이미지인 회계와 착각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회계와 구체적으로 다른 점이 있다면 회계는 과거의 수치, 장부화된 돈을 만지는 것이라면 재무는 현재의 돈을 미래의 돈을 위해 쓰고, 미래의 돈을 현재에 따지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략적인 재무의 설계를 위해서는 기업 내부에 어느 정도의 자금이 현재 융통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회계적인 정보와는 떨어질 수 없는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재무관리에서 대부분의 현재에 대한 분석은 정확한 미래예측을 위한 것이다. 이는 현실의 벽에 부딪히는 일이기 때문에 학문 내의 이론들에는 상당한 가정이 전제되어 있다. 그 중 몇 가지 자주 쓰이는 가정을 예로 들자면

  • 완전한 시장[2]
  • 이자율의 변동 없음
  • 대출이자율과 차입이자율의 차이 없음
  • 차익거래의 기회가 존재하지 않음

등이 있다.

분류[편집]

재무관리는 경영학에 포함되어 있는 학문의 한 분야로 넓게 본다면 기업의 가치에 대해서 따지는 기업재무 (corporate finance)와 파생상품, 옵션, 보험 등의 수익과 위험에 대해서 판단하는 금융 공학 (financial engineering)으로 나뉜다. 여기에 최근에는 수학적인 틀에서 벗어나 통계적인 추세와 패턴, 심리학 등을 통해 현실 주식시장을 연구하려고 하는 행동 재무(Behavioral Finance)가 추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재무관리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은 기업재무에 관련된 학문인 경우다. 금융 공학과 행동 재무는 기업재무에서 배울 수 있는 재무 지식 외에 통계학, 수학적, 경제적 지식등 기타 전공수준의 지식들을 요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3] 그렇지만 세 영역의 이론 모두가 서로의 학문에 상호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기에 온전히 분리해내는 것은 쉽지 않다.

내용[편집]

학문이 다루는 실질적인 분야를 살펴본다면 화폐의 시간가치와 기업의 주식과 채권의 발행, 기업의 미래 자본예측과 각종 금융상품의 가격결정 방법, 그리고 기업의 제반 경영 활동과 관련되어서 기업의 재무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행위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일련의 활동들을 재무관리에서는 기업의 이해관계자들로 크게 투자자[4]의 입장과 내부 관리자(경영자, 주로 CFO : Chief Finanacial Officer)의 입장에서의 관점으로 나누어 바라볼 수 있다.

주주[편집]

주주들은 투자자이며 동시에 기업의 수익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입장이다. 이론적으로 기업의 미래 배당(=현금흐름)을 총 할인한 것이 현재 주가이기 때문이다. 또한 언제든지 자신이 가진 주식을 시장에서 매도하고 이익을 챙기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둘 모두의 관점을 가지게 된다. 일반적인 주주의 목표는 수익의 극대화로 보고 있으며, 위험의 최소화는 위험에 따른 프리미엄만 제대로 지불된다면 관심의 대상이 아니다.

효율적인 시장에서의 효율적인 주주들은 자신이 가진 정보를 최대한 활용해서 수익을 내고자 할 것이고, 이에 따라 낼 수 있는 수익은 0에 수렴할 것이다. 이러한 주주의 활동에 따라 주가는 시장과 기업 내부의 정보를 온전히 담고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주식의 가치에 대해서 구하는 것이 재무의 첫걸음이 된다.

채권자[편집]

채권자들은 투자된 원금에 더해서 기업이 약속한 이자만큼만을 받으면 되기 때문에 안정된 수익률만 있다면 그보다 높은 수익률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만 원금을 잃고 싶지는 않기 때문에 기업의 위험을 작게 가져가고 싶어한다. 이 경우 채권자와 주주간의 이해관계의 다툼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채권자가 기업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계약에 의해 한정되어 있으며, 부채를 얼마나 끌어다 쓸 건지는 경영자가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업의 가치에 있어서 부채의 가치 또한 중요한 재무적인 요소이고(특히 레버리지를 얼마나 가져가느냐), 주식보다는 평가모형이 간단한 편이기 때문에 기초부터 시작할 경우 주식의 가치보다는 채권의 가치를 먼저 구하는 편이다.[5]

경영자[편집]

경영자의 임기는 일반적으로 3~5년 정도로, 이 기간 내에 실적을 올려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때문에 큰 위험을 가져가거나 장기적인 수익을 포기하고서라도 단기적인 목표를 노리는 전략을 취할 수도 있으며, 사적으로 회사의 수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행태를 대리인비용이라고 하는데, 이 대리인비용을 막기 위해 최근 도입된 것이 경영자 또한 주주의 포지션을 취하게 하여, 회사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 곧 그의 수익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스톡옵션 제도이다.

관련 과목[6][편집]

  • 재무관리 : 보통 재무 관련의 기초과목의 역할을 맡고 있다. CAPM, WACC등 위험에 따른 기업의 수익률을 평가한다. 이 수익률을 바탕으로 기업의 가치를 파악하고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운다.
  • 경영통계 : 기본적인 통계학에 대한 지식과 연속확률분표와 정규분포, 회귀분석에 대해서 배운다. 보통은 기초과목으로 수강하게 된다.
  • 경영분석 : 재무비율 분석과 현금흐름 분석, 레버리지, 가치평가와 증권분석 등에 대해서 배운다.
  • 재무회계 : 회계원리 다음으로 배우는 회계과목으로, 재무 수준에서 써야 할 회계계정들에 대해서 배운다.
  • 투자론 : 투자자의 입장에서 접근하여 기업의 가치=주가를 어떻게 분석할 것이며, 가치가 변함에 따라 투자자는 어떤 선택을 할 수 있는지, 그와 관련된 이론들을 배운다.
  • 재무전략 : 내부 관리자의 입장에서 기업의 자본비중을 어떻게 할 것인지, 증자 또는 발행, 합병과 인수 등에 의해 가치가 달라지는 것을 평가하고 이를 실행하는 것에 대한 이론들을 배운다.
  • 파생상품론 : 선물, 옵션, 칼라 등을 평가하는 방법과 이에 관련된 이론들을 배우고, 이를 주식이나 채권과 결합하여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방법을 배운다.
  • 보험론 : 파생상품 중 위험을 0으로, 혹은 그에 가깝게 만드는 포트폴리오에 대해 좀 더 면밀히 분석하며, 보험과 관련된 법에 대해서 배우는 경우도 있다.

관련 모형[편집]

  • 배당할인모형
  • 이익평가모형
  • 자산가치모형
  • 주가배수평가모형
  • FCF모형
  • EVA모형
  • RIM모형
  • 블랙-숄즈 모형

관련 이론[편집]

  • 재무의 제 1법칙 : 화폐의 시간가치[7]
  • 재무의 제 2법칙 : 위험프리미엄[8]
  • 투자자의 위험회피적 행동
  • 효율적 시장 가설
  • MM이론

같이 보기[편집]

주석[편집]

  1. Ross Westerfield 외 1인,『Ross의 핵심재무관리』, 정무권 외 2인 옮김, McGraw-Hill Education(2014), 12p.
  2. 사실 아래 가정들은 이 가정 안에 포함된다
  3. 물론 기업재무 또한 통계학, 수학, 경제적 지식을 포함하고 있다.
  4. 주주와 채권자
  5. 그러나 이러한 부채가치를 이론적으로 간단히 구할 수 있는 이유 또한 주식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가정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6. 학부 수준에서 서술한다. 대학교마다 이 과목들의 상세한 이름은 다를 수 있다.
  7. 현재의 x원이 미래의 x원보다 높은 가치를 지닌다
  8. 모든 위험에는 보상이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