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티옥세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보티옥세틴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1-[2-(2,4-Dimethyl-phenylsulfanyl)-phenyl]piperazin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508233-74-7
ATC 코드 N06AX26
PubChem 9966051
드러그뱅크 DB09068
ChemSpider 8141643
화학적 성질
화학식 C18H22N2S 
분자량 298.45 g/mol (브롬화수소산염으로서 379.36)
SMILES eMolecules & PubChem
유의어 Lu AA21004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75% (7-11시간에 최대치)
단백질 결합 98%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 주로 CYP2D6
생물학적 반감기 66시간
배출 소변으로 59%, 대변으로 26%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유럽 의약청:바로가기미국 식품의약국: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C(미국)
법적 상태
  • In general: ℞ (Prescription only)
투여 방법 경구 (필름 코팅된 알약)

보티옥세틴 (상품명 트린텔릭스, 브린텔릭스) 은 덴마크 룬드벡다케다 약품공업이 합작으로 개발한 다중 기전의 비전형적 항우울제 (세로토닌 변조 및 자극제)이므로, 국내 업체인 명인제약의 '보세틴정'이라는 제네릭 의약품으로 2023년에 허가받은 바 있다.

사용[편집]

보티옥세틴은 직접적인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조절을 비롯한 세로토닌 수송체를 억제하는 두 가지 작용 기전을 갖고 있으므로, 불안 장애를 동반한 주요우울장애 치료를 위해 널리 사용되며, 초기용량 및 권장용량은 1일 1회 10 mg이나 환자의 반응에 따라 1일 최대 20 mg까지 증량하거나 최소 5 mg까지 감량할 수 있다.[1][2][3]

부작용[편집]

성기능 장애를 비롯한 체중 증가,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하는 등의 일반적인 부작용 비율이 현저히 낮다.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구역감, 구토, 설사, 입마름, 변비, 어지러움이 있다. 높은 농도의 사용이나 다른 약물과 병용 투약시 세로토닌 증후군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약물학적 성질[편집]

보티옥세틴의 작용 기전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으나, 세로토닌(5-HT) 수송체 억제, 5-HT3, 5-HT7, 5-HT1D 수용체 길항, 5-HT1B 수용체 부분 효능, 5-HT1A 수용체 효능 작용을 함으로써, 세로토닌뿐만 아니라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히스타민, 아세틸콜린, GABA, 글루타메이트 등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의 농도 변화를 야기시켜 항우울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4]

보티옥세틴의 pKa 값은 9.1 (± 0.1)와 3.0 (± 0.2)이다.[5]

약력학[편집]

보티옥세틴은 다중 기전의 세로토닌 변조 및 자극제로, 다음과 같은 약력학적 작용을 한다.[6]

표적 친화도 기능적 활성 작용
Ki (nM) IC50 / EC50 (nM) IA (%)
SERT* 1.6 5.4 억제
NET* 113 억제
5-HT1A* 15 200 96 효현
5-HT1B* 33 120 55 부분 효현
5-HT1D* 54 370 길항
5-HT3* 3.7 12 길항
5-HT7* 19 450 길항
β1 46[7]

*사람 아형

각주[편집]

  1. Connolly, KR; Thase, ME (2016). “Vortioxetine: a New Treatment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Expert opinion on pharmacotherapy》 17 (3): 421–31. doi:10.1517/14656566.2016.1133588. PMID 26679430. The authors suggest that vortioxetine is currently a good second-line antidepressant option and shows promise, pending additional long-term data, to become a first-line antidepressant option. 
  2. Köhler S, Cierpinsky K, Kronenberg G, Adli M. The serotonergic system in the neurobiology of depression: Relevance for novel antidepressants. J Psychopharmacol. 2016 Jan;30(1):13-22. doi 10.1177/0269881115609072 PMID 26464458
  3. Kelliny M, Croarkin PE, Moore KM, Bobo WV. Profile of vortioxetine in the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 overview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literature. Ther Clin Risk Manag. 2015 Aug 12;11:1193-212. doi 10.2147/TCRM.S55313 PMID 26316764 Free full text 보관됨 2018-04-29 - 웨이백 머신
  4. Sanchez, Connie; Asin, Karen E.; Artigas, Francesc (2015년 1월). “Vortioxetine, a novel antidepressant with multimodal activity: Review of preclinical and clinical data”. 《Pharmacology & Therapeutics》 145: 43–57. doi:10.1016/j.pharmthera.2014.07.001. ISSN 0163-7258. 
  5. “Australian Public Assessment Report for vortioxetine hydrobromide” (PDF). 11쪽. 2017년 8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5일에 확인함. 
  6. Stahl, Stephen M. 《Stahl's Essential Psychopharmacology: Neuroscientific Basis and Practical Applications》 4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07686465. 
  7. Bang-Andersen B, Ruhland T, Jørgensen M, 외. (May 2011). “Discovery of 1-[2-(2,4-dimethylphenylsulfanyl)phenyl]piperazine (Lu AA21004): a novel multimodal compound for the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54 (9): 3206–21. doi:10.1021/jm101459g. PMID 21486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