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유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유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인민회의 부의장
임기 1953년 12월 22일~1957년 9월 20일

신상정보
출생일 1914년
출생지 일제강점기 조선 전라남도 보성군
국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당 조선로동당

리유민(李維民, 1914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1]

생애[편집]

전라남도 보성에서 태어난 그는 1932년에 상하이로 망명해 퉁지 대학 독어과에서 수학한 뒤 의열단(義烈團)의 조선혁명간부학교에 입학했다.

이후 중국공산당에 입당하고 1935년 8월 남경(南京)에서 결성된 혁명동지회를 지도했다. 1941년 1월, 태항산(太行山)에서 화북조선청년연합회 결성에 참여하여 조직부장에 취임했으며, 1942년 7월에는 태항산 팔로군(八路軍) 근거지에서 결성된 화북조선독립동맹의 중앙집행위원 겸 조직부장으로 선출되었다. 1944년 초 태항산에서 건립된 적구공작반(敵區工作班) 조직부 책임자가 되었다.

광복 이후에 38선 이북으로 귀국한 뒤 1946년 3월 조선신민당 결성에 참여하고 조직부장이 되었다. 1948년 3월 북조선로동당 제2차 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8월에는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이 되었다.

1950년 10월, 6.25 전쟁박헌영과 함께 베이징을 방문했다. 1953년 12월에 최고인민회의 부의장으로 재직한 데 이어서 1956년 4월에는 조선노동당 제3차 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던 1958년, 연안파 숙청에 연루되어 해임되었다.[2][3]

참고 자료[편집]

각주[편집]

  1. “이유민(李維民, 1914~?) 李瀅來 李瑩來”. laborsbook. 2024년 2월 27일에 확인함. 
  2. “현대사 아리랑]백발백중 조선의용군 총사령 무정 (상)”. Kyunghyang Shinmun. 2008년 11월 11일. 2024년 2월 27일에 확인함. 
  3. Tertitskiy, Fyodor (2017년 9월 19일). “1959: Secret elections in North Korea”. Daily NK. 2021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