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사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사혁(金斯革, ? ~ 1385년)은 고려 말기의 무신이다. 본관은 강릉,시호는 충절(忠節)이다.

공민왕 11년(1361년) 홍건적의 난이 평정되고 개경이 수복된 뒤, 복주(福州, 안동)로 피신했던 왕이 개경으로 돌아가는 길에 8월 13일에 상주를 출발하여 14일에 원암역을 지나 15일에 속리사로 향하였을 때 폭우를 만나 16일에 어가가 다시 원암역으로 돌아와 하루를 머물렀을 때, 왕을 호종하던 신하들이 난리가 끝나고 개경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된 것을 축하하며 연회를 열고 창화시를 짓는데 대장군(大將軍) 김하적(金何赤)이 젓대를 불고 장군(將軍) 김사혁이 아쟁을 탔다고 한다.[1]

12년(1363년) 홍건적으로부터 개경을 수복한 공을 논하여 전 호군(護軍)으로써 한중명(韓仲明), 조군옥(趙君玉) 등과 함께 2등공신이 되었고, 아울러 흥왕사의 난 때에 왕의 피신을 도운 공신들에 대한 녹훈에서도 강복룡(康福龍), 봉인보(奉仁輔) 등과 함께 2등 공신이 되었다.[2]

우왕(禑王) 2년(1376년) 7월 왜구부여를 약탈하고 공주까지 다다랐을 때 공주목사(公州牧使)로써 정현(鼎峴)에서 왜구에 맞서 싸웠으나 패전하였고, 공주가 왜구에 함락되었다.[3]

우왕 6년(1380년) 3월, 왜구가 광주(光州) 및 능성현(綾城縣) · 화순현(和順縣)을 침략하니, 원수(元帥) 최공철(崔公哲) · 김용휘(金用輝) · 이원계(李元桂) · 정지(鄭地) · 오언(吳彦) · 민백훤(閔伯萱) · 왕승보(王承寶) · 도흥(都興) 등과 함께 전라도(全羅道) 방면에서 왜구를 막게 되었다.[4] 5월에 전리판서로써 양광도도순문사로 임명되었다.[4]

7월, 왜구가 서주(西州)를 치고 이어 부여 · 금산 · 운제 · 고산 · 유성 등의 현을 치다가 계룡산으로 들어갔는데, 마침 그곳에는 왜구를 피해서 들어와 있던 부녀자나 아이들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이들은 그만 대부분 왜구에게 살해되거나 포로로 잡혔다. 이때 김사혁이 양강도원수로써 왜구를 쳐서 내쫓았고, 왜구들은 청양 · 신풍 · 홍산 등지를 약탈하고 물러갔다.[4] 8월에 다시금 공주로 쳐들어 온 왜구들을 쳐서 4급을 베었다. 이때 나세(羅世) · 심덕부 · 최무선(崔茂宣) 등이 지휘하는 고려군 전함이 화포를 사용하여 진포(鎭浦)에서 왜구 선단 5백 척을 궤멸시키고 왜구의 포로로 잡혀 있던 334명을 구출하였으며(진포 해전), 김사혁은 살아남아 육지로 도망친 왜구들을 추격하여 임천(林川)에서 46급을 베었다.[4] 이때 살아남아 육지부 내륙으로 달아났던 왜구들은 사근내역 등지를 돌며 약탈을 일삼다 운봉에 이르러 고려의 이성계가 이끄는 고려군에게 궤멸되었다(황산대첩).

우왕 9년(1383년) 8월, 양강도 방면을 침공한 왜구 가운데 2백 기가 괴주(槐州) 장연현(長延縣)을 쳤을 때 김사혁은 왕안덕, 도흥(都興) 등과 함께 3급을 베었다.[5] 이어 왜구 1천여 명이 옥주 · 보령 등의 현을 함락시키고 마침내 개태사까지 쳐들어왔다가 계룡산에 숨었는데, 양광 · 경상도 도체찰사 문달한이 왕안덕 · 도흥 등과 함께 이를 공격하여 왜구가 말을 버리고 산으로 숨자, 공주목사 최유경 · 판관 송자호가 구첩에서 싸우다 송자호는 패하여 죽었고, 김사혁은 문달한 · 왕안덕 · 도흥 · 안경 · 박수년 등과 함께 공주 반룡사에서 왜구와 싸워 8급을 베었으며,[6] 여기서 김사혁은 더 나아가 왜구를 추격하여 목주(木州) 흑참(黑站)에서 20급을 더 베었다.[7]

우왕 11년(1385년) 5월, 왜선 28척이 축산도(丑山島)에 정박하자 고려 조정은 김사혁을 양광도상원수로 삼았다.[7] 10월에 충주병마사(忠州兵馬使) 최운해(崔雲海)가 왜구 6급을 베고 그 무기를 노획하였는데, 이 달에 김사혁은 사망하였다.

각주[편집]

  1. 《고려사》권제40 세가제40 공민왕 11년;《목은문고》권제9 '원암연집창화시서'
  2. 《고려사》권제40 세가제40 공민왕 12년(1363년) 윤3월 15일 을유
  3. 《고려사》 권제133 열전제46 반역 신우;《고려사절요》권제30 신우1
  4. 《고려사》 권제134 열전제47 반역 신우
  5. 《고려사절요》권제32 신우3 우왕 9년(1383년);《고려사》권제126 열전제39 간신 왕안덕
  6. 《고려사절요》권제32 신우3, 우왕 9년(1383년) 8월;《고려사》 권제114 열전제27 제신 문달한
  7. 《고려사》권제135 열전제48 반역 신우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