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성 암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elicobacter pylori

감염성 암원은 암을 일으키는 감염성 물질들을 의미한다. 감염으로 인한 의 발생비율은 16.1%에 달한다.[1] 특히 자궁경부암의 80%, 간암의 15~20%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2] 지역마다 비율에 차이가 있어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32.7%,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에서는 3.3%가 감염으로 인해 암에 걸린다.[1]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위암과 관련이 있으며, 마이코박테리아를 비롯해 다른 세균이나 기생충도 암을 일으킬 수 있다.

암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들을 종양바이러스로 분류한다. 여기에는 자궁경부암비인두암을 일으키는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버킷림프종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카포시육종원발삼출림프종을 일으킬 수 있는 KSHV, 간세포암을 일으킬 수 있는 B형 간염바이러스C형 간염바이러스, 성인T세포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사람T세포림프친화바이러스 1형 등이 여기 분류된다. 세균성 감염도 암을 일으킬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시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이다.[3] 기생충 역시 암을 일으킬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방광암을 일으키는 빌하르트 주혈흡충, 간흡충류, 담관암을 일으키는 타이간흡충이 있다.[4]

역학[편집]

미국[편집]

선진국에서 감염성 암은 발병률의 약 30%를 차지하는 담배, 30%를 차지하는 식습관, 15%를 차지하는 비만에 이어 대략 10%의 발병률을 차지하여 네 번째로 가장 흔한 원인이 된다. 미국인의 22.5%가 암에 의해 사망하므로, 결국 전체 사망률의 2%가 감염성 암으로 사망하는 것이다. 이는 미국인 사망률의 2.1%를 유발하는 인플루엔자, 폐렴과 맞먹는 수준이다.[5]

전세계에서[편집]

2015년, 전 세계의 암 환자를 봤을 때 매년 폐암으로 160만명이, 간암으로 74만5000명이, 위암으로 72만3000명이 사망하였다.[6] 이들 중 폐암은 담배연기 등 비감염적인 원인에 기인한다. 그러나 간암과 위암은 주로 감염성 원인에 기인한다. 간암은 B형 간염바이러스C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해 생기는 경우가 많고, 위암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의한 경우가 많다. 전세계적으로 봤을 때 B형 간염바이러스나 C형 간염바이러스에 만성적으로 감염된 사람은 대략 3억 2천 5백만 명으로 조사된다.[7] 또한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감염되었는데, 이들의 1~2%가 위암에 걸린다.[8]

바이러스[편집]

바이러스는 암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들 중 하나이다.[2] B형 간염 환자들 200명 중 1명이 간암에 걸리는데, 아시아에서 발병률이 더 높고 북아메리카에서 더 낮다. C형 간염 환자들 중에서는 45명 중 1명이 간암에 걸린다.[9] 또한 감염성 암의 5.2%는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10]

세균[편집]

암을 일으키는 가장 대표적인 세균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로, 위암을 일으킨다.[11][12] 국가마다 그 수치는 다르나, 비감염 인구는 0.13%만 위암에 걸리는데 비해 감염된 인구는 1~3%가 위암으로 발전한다.[8][13] 헬리코박터균 감염으로 인한 사망률은 2018년 전 세계 암으로 인한 사망률의 3번째에 위치한다.[14]

기생충[편집]

빌하르트 주혈흡충이 일으키는 주혈흡충증방광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15]

각주[편집]

  1. de Martel C, Ferlay J, Franceschi S, Vignat J, Bray F, Forman D, Plummer M (June 2012). “Global burden of cancers attributable to infections in 2008: a review and synthetic analysis”. 《The Lancet. Oncology》 13 (6): 607–15. doi:10.1016/S1470-2045(12)70137-7. PMID 22575588. 
  2. De Paoli P, Carbone A (October 2013). “Carcinogenic viruses and solid cancers without sufficient evidence of causal associ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133 (7): 1517–29. doi:10.1002/ijc.27995. PMID 23280523. 
  3. Pagano JS, Blaser M, Buendia MA, Damania B, Khalili K, Raab-Traub N, Roizman B (December 2004). “Infectious agents and cancer: criteria for a causal relation”. 《Seminars in Cancer Biology》 14 (6): 453–71. doi:10.1016/j.semcancer.2004.06.009. PMID 15489139. 
  4. Samaras V, Rafailidis PI, Mourtzoukou EG, Peppas G, Falagas ME (June 2010). “Chronic bacterial and parasitic infections and cancer: a review”. 《Journal of Infection in Developing Countries》 4 (5): 267–81. doi:10.3855/jidc.819. PMID 20539059. 
  5. “The top 10 leading causes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6. Ferlay J, Soerjomataram I, Dikshit R, Eser S, Mathers C, Rebelo M, 외. (March 2015).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sources, methods and major patterns in GLOBOCAN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136 (5): E359–86. doi:10.1002/ijc.29210. PMID 25220842. 
  7. “WHO | New hepatitis data highlight need for urgent global response”. 
  8. Kusters JG, van Vliet AH, Kuipers EJ (July 2006). “Pathogenesi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19 (3): 449–90. doi:10.1128/CMR.00054-05. PMC 1539101. PMID 16847081. 
  9. Sung MW, Thung SN, Acs G (2000). 〈Hepatitis Viruses〉. Bast RC, Kufe DW, Pollock RE, 외. 《Holland-Frei Cancer Medicine》 5판. Hamilton, Ontario: B.C. Decker. ISBN 1-55009-113-1. 
  10. Parkin DM (June 2006). “The global health burden of infection-associated cancers in the year 2002”.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118 (12): 3030–44. CiteSeerX 10.1.1.623.9022. doi:10.1002/ijc.21731. PMID 16404738. 
  11. Peter S, Beglinger C (2007). “Helicobacter pylori and gastric cancer: the causal relationship”. 《Digestion》 75 (1): 25–35. doi:10.1159/000101564. PMID 17429205. 
  12. Wang C, Yuan Y, Hunt RH (August 2007). “The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early gastric cancer: a meta-analysis”.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02 (8): 1789–98. doi:10.1111/j.1572-0241.2007.01335.x (년 이후로 접속 불가 2020-03-05). PMID 17521398. 
  13. Kuipers EJ. Review article: exploring the link between Helicobacter pylori and gastric cancer.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Mar 1999 Supplement, Vol. 13, p3-11. 9p. DOI: 10.1046/j.1365-2036.1999.00002.x. (open access).
  14. Ferlay J, Colombet M, Soerjomataram I, Mathers C, Parkin DM, Piñeros M, 외. (April 2019). “Estimating the global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2018: GLOBOCAN sources and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144 (8): 1941–1953. doi:10.1002/ijc.31937. PMID 30350310. 
  15. Mustacchi P (2000). 〈Parasites〉. Bast RC, Kufe DW, Pollock RE, Weichselbaum RR, Holland JF, Frei E. 《Holland-Frei Cancer Medicine》 5판. Hamilton, Ontario: B.C. Decker. ISBN 1-55009-113-1. 

참고 문헌[편집]

  • Cornwall, Claudia M. Catching cancer : the quest for its viral and bacterial causes. Lanham: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3.
  • Pelini P (2016). “Tumor and metastases to the lung caused by the bacterium Pseudomonas”. doi:10.6084/M9.FIGSHARE.3382954. 

외부 링크[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감염성 암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