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의 원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백:문단에 의거하여, '개요' 또는 이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문단 제거, 내용 수정 및 출처 추가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암]]은 [[돌연변이]]로 인해 통제되지 않은 세포 분열이 발생해 [[종양]]을 형성하면서 발병한다. 산발성 (비가족성) 암은 기본적으로 DNA 손상과 [[유전체 (생명과학)|유전체]]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발생하며,<ref>{{Cite journal |last=Basu |first=Ashis K |date=23 March 2018 |title=DNA Damage, Mutagenesis and Cancer |journal=Int. J. Mol. Sci. |type=Review |volume=19 |issue=4 |pages=970 |doi=10.3390/ijms19040970 |pmc=5979367 |pmid=29570697|doi-access=free }}</ref><ref>{{cite journal |display-authors=6 |vauthors=Ferguson LR, Chen H, Collins AR, Connell M, Damia G, Dasgupta S, Malhotra M, Meeker AK, Amedei A, Amin A, Ashraf SS, Aquilano K, Azmi AS, Bhakta D, Bilsland A, Boosani CS, Chen S, Ciriolo MR, Fujii H, Guha G, Halicka D, Helferich WG, Keith WN, Mohammed SI, Niccolai E, Yang X, Honoki K, Parslow VR, Prakash S, Rezazadeh S, Shackelford RE, Sidransky D, Tran PT, Yang ES, Maxwell CA |date=December 2015 |title=Genomic instability in human cancer: Molecular insights and opportunities for therapeutic attack and prevention through diet and nutrition |journal=Seminars in Cancer Biology<!-- article for journal not in encyclopedia 11Feb23 --> |type=Review |publisher=Elsevier |volume=35 Suppl |issue=Suppl |pages=S5–S24 |doi=10.1016/j.semcancer.2015.03.005 |pmc=4600419 |pmid=25869442 }}</ref> 일부 돌연변이가 유전되며 발생하는 암도 있다.<ref name="Expert09">{{cite journal |vauthors=Roukos DH |date=April 2009 |title=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how predictable is a person's cancer risk? |url=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586/era.09.12 |journal=Expert Review of Anticancer Therapy |type=Editorial |volume=9 |issue=4 |pages=389–92 |doi=10.1586/era.09.12 |pmid=19374592 |s2cid=24746283|doi-access=free }}{{Open access}}</ref> 암 대부분은 환경적, 생활적, 행동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ref name="WCR2014">{{cite book|title=World Cancer Report 2014|date=2014|publisher=World Health Organization|isbn=978-9283204299|veditors=Stewart BW, Wild CP|pages=16–54|chapter=Cancer etiology}}</ref> 인간은 보통 암이 전염되지 않지만, [[종양바이러스]]나 [[발암균]]의 감염으로 인해 암이 발병할 수 있다. 암 연구에서 사용하는 '환경'이라는 용어는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신체 바깥의 모든 요소를 가리키는데,.<ref name="Environment-NIH">{{cite book|title=Cancer and the Environment: What you Need to Know, What You Can Do| date=2003| publisher=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location=NIH Publication No. 03-2039 |quote=Cancer develops over several years and has many causes. Several factor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bod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ancer. In this context, scientists refer to everything outside the body that interacts with humans as 'environmental'.}}</ref> 이는 즉 태양빛이나 대기 오염 등 환경적 요인에 더해, 생활 방식이나 행동 습관 등까지 포함한다..<ref name="isbn0-387-78192-7">{{cite book |chapter-url=https://archive.org/details/cancermortalitym0000mant/page/118/mode/1up |title=Cancer mortality and morbidity patterns from the U. S. population: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vauthors=Manton KG, Akushevich I, Kravchenko J |publisher=Springer |year=2009 |isbn=978-0-387-78192-1 |location=Berlin |page=118 |chapter=3 Cancer Risk Factors (3.2 Environmental Cancer Risk Factors) |quote=The term ''environment'' refers not only to air, water, and soil but also to substances and conditions at home and at the workplace, including diet, smoking, alcohol, drugs, exposure to chemicals, sunlight, ionizing radiation, electromagnetic fields, infectious agents, etc. Lifestyle, economic and behavioral factors are all aspects of our environment. |chapter-url-access=registration |via=Open Library}}</ref>
'''암의 원인'''은 [[암]]과 같은 질병이 일어나는 원인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 설명 ==
[[암]]은 제어되지 않은 세포 성장과 종양 형성으로 이어지는 유전적 변화에 의해 발생한다. 산발성(비가족성) 암의 기본 원인은 DNA 손상과 게놈 불안정성에 기인한다. 소수의 암은 유전적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한다. 대부분의 암은 환경, 생활 방식 또는 행동 노출과 관련이 있다. 암은 온코바이러스와 암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인간에게는 전염성이 없다. 암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환경"이라는 용어는 인간과 상호 작용하는 신체 외부의 모든 것을 의미한다. 환경은 생물물리학적 환경(예: 대기 오염 또는 햇빛과 같은 요인에 대한 노출)에 국한되지 않고 생활 방식 및 행동 요인도 포함한다.


전 세계적으로 암에 의해 사망한 사람의 3분의 1 이상은 특정 환경적 요소에 대한 노출을 줄임으로서 암 발병을 피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ref>{{cite journal |vauthors=Doll R, Peto R |date=June 1981 |title=The causes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url=https://academic.oup.com/jnci/article-abstract/66/6/1192/1076736 |journal=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volume=66 |issue=6 |pages=1191–308 |doi=10.1093/jnci/66.6.1192 |pmid=7017215 |url-access=subscription}}</ref><ref>{{Cite journal |vauthors=Whiteman DC, Wilson LF |date=October 2016 |title=The fractions of cancer attributable to modifiable factors: A global review |url=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1877782116300844 |journal=Cancer Epidemiology<!-- article not in encyclopedia as of 11Feb23 --> |type=Review |publisher=Elsevier |volume=44 |pages=203–221 |doi=10.1016/j.canep.2016.06.013 |issn=1877-783X |pmid=27460784 |url-access=subscription |via=ScienceDirect}}</ref> 암으로 인한 사망에 기여하는 대표적인 환경적 요소로는 특정한 화학적 및 물리적 요소와의 접촉(이 중 [[담배]]가 25~30% 가량을 차지함), 환경적 요소의 [[오염]], 비만(30~35%), 감염(15~20%), [[방사선]](약 10%)이 있다.<ref name="Enviro2008">{{cite journal |vauthors=Anand P, Kunnumakkara AB, Kunnumakara AB, Sundaram C, Harikumar KB, Tharakan ST, Lai OS, Sung B, Aggarwal BB |date=September 2008 |title=Cancer is a preventable disease that requires major lifestyle changes |journal=Pharmaceutical Research |type=Expert review |volume=25 |issue=9 |pages=2097–116 |doi=10.1007/s11095-008-9661-9 |pmc=2515569 |pmid=18626751}}</ref> 이 요소들은 세포 내 [[유전자]]의 기능을 바꿔, 암의 발병에 일부 기여하는데,<ref name="WCR2014Bio">{{cite book|title=World Cancer Report 2014.|date=2014|publisher=World Health Organization|isbn=978-9283204299|pages=Chapter 1.1}}</ref> 보통 암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이러한 유전자 변화가 여럿 일어나야 한다.<ref name="WCR2014Bio" /> 또한, 암의 발병 요인 중 노화도 중요한 요소로 보는데, 이는 세포의 변화가 나이를 먹으면서 누적되어 최종적으로 암으로 나타난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ref name="WHO2014">{{cite web|url=https://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297/en/|title=Cancer Fact sheet N°297|date=February 2014|website=World Health Organization|access-date=10 June 2014}}</ref>
전 세계 암 사망의 3분의 1 이상(미국의 경우 약 75-80%)은 알려진 요인에 대한 노출을 줄임으로써 잠재적으로 피할 수 있다. 암 [[사망]]에 기여하는 일반적인 환경 요인에는 다양한 화학적 및 물리적 인자(담배 사용이 암 사망의 25~30%를 차지함), 환경 오염 물질, 식습관 및 비만(30~35%), 감염(15~20%), 방사선(이온화 및 비이온화 모두, 최대 10%)에 대한 노출이 포함된다. 이러한 인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세포 내 유전자의 기능을 변경함으로써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암이 발생하기 전에 그러한 많은 유전적 변화가 필요하다. 노화는 특정 암 발병에 대한 위험 요소를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측면으로 반복적으로 그리고 일관되게 간주되었다. 암 발생과 관련된 많은 분자 및 세포 변화는 노화 과정에서 축적되어 결국 암으로 나타난다.


== 유전학 ==
== 유전학적 원인 ==
{{본문|암 증후군}}
{{본문|암 증후군}}
[[파일:Familial_Adenomatous_Polyposes_colon_-2.jpg|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Familial_Adenomatous_Polyposes_colon_-2.jpg|섬네일|가족성 선종성 용종증이 있는 개인의 결장 내에 다수의 결장 폴립이 있는 경우]]
[[파일:Familial_Adenomatous_Polyposes_colon_-2.jpg|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Familial_Adenomatous_Polyposes_colon_-2.jpg|섬네일|[[가족성 샘종 폴립증]]이 있는 사람의 [[결장]] 내에 대장 용종 다수가 있는 모습.]]
유전성 종양은 확인된 것만 50종류 이상이 있지만, 인류 전체의 0.3% 미만만이 종양과 관련된 돌연변이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체 암 발병 사례의 3~10% 미만을 차지한다.<ref name="Expert09" /> 암 대부분은 유전되지 않으며, [[유전성 암 증후군|유전성 암]]은 유전된 돌연변이 유전자로 인해 발병한다. 암 증후군은 유전자 이상을 말하며, 해당 돌연변이 유전자를 받은 사람은 암이 조기 발병하거나, 암의 발달이 더 쉬워진다. 암 증후군이 있는 사람의 암 발병률 자체는 일반 사람보다 높지만, 경우에 따라 발병률의 증가율은 다르며, 일부는 암의 발병률이 증가하기는 하지만 암 자체가 매우 드물게 발생하기도 한다.
50가지 이상의 확인 가능한 유전성 종양이 있지만, 인구의 0.3% 미만이 종양 관련 유전적 돌연변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종양 사례의 3~10% 미만이다.<ref name="Expert09">{{저널 인용|title=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how predictable is a person's cancer risk?|journal=[[Expert Review of Anticancer Therapy]]|url=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586/era.09.12|date=April 2009|volume=9|issue=4|pages=389–92|type=Editorial|doi=10.1586/era.09.12|pmid=19374592|vauthors=Roukos DH|s2cid=24746283|doi-access=free}}{{Open access}}</ref> 대부분의 암은 유전되지 않는다 ("산발성 암"). 유전성 종양은 주로 유전된 유전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암 증후군 또는 가족성 암 증후군은 하나 이상의 유전적 돌연변이로 인해 영향을 받은 개인에서 종양이 발생하기 쉬우며, 또한 이러한 종양의 조기 발병을 유발할 수도 있는 유전 질환이다. 암 증후군이 있으면 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지만, 그 위험도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질병 중 일부의 경우 암은 주요 특징이 아니며 드문 결과이다.


암 증후군 사례의 대부분은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종양 억제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나타난다. 다른 일반적인 돌연변이는 DNA 복구 유전자, 종양 유전자 및 혈관 생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기능을 바꾼다.<ref>{{저널 인용|title=Mechanisms of inherited cancer susceptibility|journal=Journal of Zhejiang University Science B|date=January 2008|volume=9|issue=1|pages=1–4|doi=10.1631/jzus.B073001|pmc=2170461|pmid=18196605|vauthors=Hodgson S}}</ref> [[BRCA1]] BRCA2 유전자의 특정 유전적 돌연변이는 [[유방암]] [[난소암]] 발병 위험이 75% 이상이다.<ref name="Expert09" /> [[대장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유전성 유전 질환에는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는 결장암 사례의 5% 미만을 나타낸다.<ref name="WHO_2014">{{서적 인용|title=World Cancer Report 2014|year=2014|publisher=World Health Organization|pages=Chapter 5.5|isbn=978-9283204299}}</ref> 많은 경우, 유전자 검사는 세대를 거쳐 전달되는 돌연변이 유전자나 염색체를 식별하는 사용될 수 있다.


암 증후군 대부분은 세포 분열을 조절하는 [[종양억제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나타나며, 외에 [[DNA 수선]] 유전자, [[암유전자]], [[혈관신생]]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일어나기도 한다.<ref>{{저널 인용|title=Mechanisms of inherited cancer susceptibility|journal=Journal of Zhejiang University Science B|date=January 2008|volume=9|issue=1|pages=1–4|doi=10.1631/jzus.B073001|pmc=2170461|pmid=18196605|vauthors=Hodgson S}}</ref> [[BRCA1]] [[BRCA2]] 유전자에 나타나는 특정 돌연변이는 [[유방암]] [[난소암]] 발병률을 75% 이상 높이며,<ref name="Expert09" /> [[가족성 샘종 폴립증]]이나 [[유전성 비폴립 대장암]]을 일으키는 유전자는 [[대장암]]을 일으키는데, 이는 전체 대장암 발병 사례의 5% 미만이다.<ref name="WHO_2014">{{서적 인용|title=World Cancer Report 2014|year=2014|publisher=World Health Organization|pages=Chapter 5.5|isbn=978-9283204299}}</ref> 대부분 암을 일으키는 유전자는 [[유전자 검사]]를 통해 찾아낼 수 있다.
유전자 돌연변이는 돌연변이가 나타나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생식세포 또는 체세포로 분류된다(생식계열 세포에는 난자와 정자가 포함되며 체세포는 신체를 구성하는 세포다). 생식세포 돌연변이는 여러 세대에 걸쳐 전달되며 종양 위험을 증가시킨다.{{출처|date=October 2019}}


=== 암 증후군 목록 ===
== 각주 ==
* [[모세혈관확장성운동실조증]]
* [[블룸 증후군]]
* [[BRCA1]] 및 [[BRCA2]]
* [[판코니 빈혈]]
* [[가족성 샘종 폴립증]]
* [[유전성 유방암-난소암 증후군]]
* [[유전성 비폴립 대장암]]
* [[리프라우메니 증후군]]
* [[모반모양 기저세포암종증후군]]
* [[본히펠-린다우병]]
* [[베르너 증후군]]
* [[색소성 건피증]]


== 물리적 및 화학적 요인 ==
# Roukos DH (April 2009).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how predictable is a person's cancer risk?". Expert Review of Anticancer Therapy (Editorial). 9 (4): 389–92. doi:10.1586/era.09.12. <nowiki>PMID 19374592</nowiki>. S2CID 24746283.open access
{{참고|발암물질}}
# Hodgson S (January 2008). "Mechanisms of inherited cancer susceptibility". Journal of Zhejiang University Science B. 9 (1): 1–4. doi:10.1631/jzus.B073001. PMC 2170461. <nowiki>PMID 18196605</nowiki>.
특정 물질들은 암의 발병과 연관이 있는데, 이를 흔히 [[발암물질]]이라고 부른다. 방사선을 제외한 대표적인 발암물질은 [[석면]], [[다이옥신]] 일부, [[담배]] 연기가 있다. 보통 인공적으로 합성한 화학 물질과 암을 연관시키기 쉽지만, 자연적인 물질에서도 충분히 암이 발병할 수 있다.<ref>{{Cite journal|date=2000-01-17|title=Paracelsus to parascience: the environmental cancer distraction|journal=Mutation Research/Fundamental and Molecular Mechanisms of Mutagenesis|language=en|volume=447|issue=1|pages=3–13|doi=10.1016/S0027-5107(99)00194-3|pmid=10686303|issn=0027-5107|last1=Ames|first1=Bruce N.|last2=Gold|first2=Lois Swirsky}}</ref> [[미국]]을 기준으로 매년 암 발병자 4만 명과 암 사망자 2만 명 가량이 직업과 연관된 발병으로 추정하고 있으며,<ref>{{cite web|url=https://www.cdc.gov/niosh/topics/cancer/|title=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ccupational Cancer|publisher=United State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access-date=13 October 2007}}</ref> 세계적으로 매년 20만 명 가량이 직업과 관련되어 발병한 암으로 인해 사망한다.<ref name="WHO_occup" /> 업무 환경에서 [[벤젠]] 흡입으로 인한 [[백혈병]] 발병이나, [[석면]] 및 담배 연기 흡입으로 인한 폐암 및 [[중피종]] 발병 위험에 노출된 인구는 수백만 명에 달하며,<ref name="WHO_occup">{{cite press release|title=WHO calls for prevention of cancer through healthy workplaces|date=27 April 2007|publisher=World Health Organization|url=https://www.who.int/mediacentre/news/notes/2007/np19/en/index.html|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70501165935/http://www.who.int/mediacentre/news/notes/2007/np19/en/index.html|url-status=dead|archive-date=May 1, 2007|access-date=13 October 2007}}</ref> 직업과 관련된 암 발병은 전체 암 발병의 2~20% 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ref name="pmid18055160">{{cite journal | vauthors = Irigaray P, Newby JA, Clapp R, Hardell L, Howard V, Montagnier L, Epstein S, Belpomme D | title = Lifestyle-related factors and environmental agents causing cancer: an overview | journal =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 volume = 61 | issue = 10 | pages = 640–58 | date = December 2007 | pmid = 18055160 | doi = 10.1016/j.biopha.2007.10.006 }}</ref> 직업과 관련된 암으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는 대부분 [[선진국]]에서 나타나며,<ref name="WHO_occup" /> 폐암,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과 업무 스트레스 사이에는 큰 관련이 없음이 밝혀져 있다.<ref name="pmid23393080">{{cite journal | vauthors = Heikkilä K, Nyberg ST, Theorell T, Fransson EI, Alfredsson L, Bjorner JB, Bonenfant S, Borritz M, Bouillon K, Burr H, Dragano N, Geuskens GA, Goldberg M, Hamer M, Hooftman WE, Houtman IL, Joensuu M, Knutsson A, Koskenvuo M, Koskinen A, Kouvonen A, Madsen IE, Magnusson Hanson LL, Marmot MG, Nielsen ML, Nordin M, Oksanen T, Pentti J, Salo P, Rugulies R, Steptoe A, Suominen S, Vahtera J, Virtanen M, Väänänen A, Westerholm P, Westerlund H, Zins M, Ferrie JE, Singh-Manoux A, Batty GD, Kivimäki M | display-authors = 6 | title = Work stress and risk of cancer: meta-analysis of 5700 incident cancer events in 116,000 European men and women | journal = BMJ | volume = 346 | pages = f165 | date = February 2013 | pmid = 23393080 | pmc = 3567204 | doi = 10.1136/bmj.f165 }}</ref>
#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pp. Chapter 5.5. <nowiki>ISBN 978-9283204299</nowiki>.

== 각주 ==
{{각주}}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3년 9월 5일 (화) 00:37 판

돌연변이로 인해 통제되지 않은 세포 분열이 발생해 종양을 형성하면서 발병한다. 산발성 (비가족성) 암은 기본적으로 DNA 손상과 유전체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발생하며,[1][2] 일부 돌연변이가 유전되며 발생하는 암도 있다.[3] 암 대부분은 환경적, 생활적, 행동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4] 인간은 보통 암이 전염되지 않지만, 종양바이러스발암균의 감염으로 인해 암이 발병할 수 있다. 암 연구에서 사용하는 '환경'이라는 용어는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신체 바깥의 모든 요소를 가리키는데,.[5] 이는 즉 태양빛이나 대기 오염 등 환경적 요인에 더해, 생활 방식이나 행동 습관 등까지 포함한다..[6]

전 세계적으로 암에 의해 사망한 사람의 3분의 1 이상은 특정 환경적 요소에 대한 노출을 줄임으로서 암 발병을 피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7][8] 암으로 인한 사망에 기여하는 대표적인 환경적 요소로는 특정한 화학적 및 물리적 요소와의 접촉(이 중 담배가 25~30% 가량을 차지함), 환경적 요소의 오염, 비만(30~35%), 감염(15~20%), 방사선(약 10%)이 있다.[9] 이 요소들은 세포 내 유전자의 기능을 바꿔, 암의 발병에 일부 기여하는데,[10] 보통 암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이러한 유전자 변화가 여럿 일어나야 한다.[10] 또한, 암의 발병 요인 중 노화도 중요한 요소로 보는데, 이는 세포의 변화가 나이를 먹으면서 누적되어 최종적으로 암으로 나타난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11]

유전학적 원인

가족성 샘종 폴립증이 있는 사람의 결장 내에 대장 용종 다수가 있는 모습.

유전성 종양은 확인된 것만 50종류 이상이 있지만, 인류 전체의 0.3% 미만만이 종양과 관련된 돌연변이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체 암 발병 사례의 3~10% 미만을 차지한다.[3] 암 대부분은 유전되지 않으며, 유전성 암은 유전된 돌연변이 유전자로 인해 발병한다. 암 증후군은 유전자 이상을 말하며, 해당 돌연변이 유전자를 받은 사람은 암이 조기 발병하거나, 암의 발달이 더 쉬워진다. 암 증후군이 있는 사람의 암 발병률 자체는 일반 사람보다 높지만, 경우에 따라 발병률의 증가율은 다르며, 일부는 암의 발병률이 증가하기는 하지만 암 자체가 매우 드물게 발생하기도 한다.


암 증후군 대부분은 세포 분열을 조절하는 종양억제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나타나며, 그 외에 DNA 수선 유전자, 암유전자, 혈관신생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일어나기도 한다.[12] BRCA1BRCA2 유전자에 나타나는 특정 돌연변이는 유방암난소암의 발병률을 75% 이상 높이며,[3] 가족성 샘종 폴립증이나 유전성 비폴립 대장암을 일으키는 유전자는 대장암을 일으키는데, 이는 전체 대장암 발병 사례의 5% 미만이다.[13] 대부분 암을 일으키는 유전자는 유전자 검사를 통해 찾아낼 수 있다.

암 증후군 목록

물리적 및 화학적 요인

특정 물질들은 암의 발병과 연관이 있는데, 이를 흔히 발암물질이라고 부른다. 방사선을 제외한 대표적인 발암물질은 석면, 다이옥신 일부, 담배 연기가 있다. 보통 인공적으로 합성한 화학 물질과 암을 연관시키기 쉽지만, 자연적인 물질에서도 충분히 암이 발병할 수 있다.[14] 미국을 기준으로 매년 암 발병자 4만 명과 암 사망자 2만 명 가량이 직업과 연관된 발병으로 추정하고 있으며,[15] 세계적으로 매년 20만 명 가량이 직업과 관련되어 발병한 암으로 인해 사망한다.[16] 업무 환경에서 벤젠 흡입으로 인한 백혈병 발병이나, 석면 및 담배 연기 흡입으로 인한 폐암 및 중피종 발병 위험에 노출된 인구는 수백만 명에 달하며,[16] 직업과 관련된 암 발병은 전체 암 발병의 2~20% 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17] 직업과 관련된 암으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는 대부분 선진국에서 나타나며,[16] 폐암,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과 업무 스트레스 사이에는 큰 관련이 없음이 밝혀져 있다.[18]

각주

  1. Basu, Ashis K (2018년 3월 23일). “DNA Damage, Mutagenesis and Cancer”. 《Int. J. Mol. Sci.》 (Review) 19 (4): 970. doi:10.3390/ijms19040970. PMC 5979367. PMID 29570697. 
  2. Ferguson LR, Chen H, Collins AR, Connell M, Damia G, Dasgupta S, 외. (December 2015). “Genomic instability in human cancer: Molecular insights and opportunities for therapeutic attack and prevention through diet and nutrition”. 《Seminars in Cancer Biology》 (Review) (Elsevier). 35 Suppl (Suppl): S5–S24. doi:10.1016/j.semcancer.2015.03.005. PMC 4600419. PMID 25869442. 
  3. Roukos DH (April 2009).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how predictable is a person's cancer risk?”. 《Expert Review of Anticancer Therapy》 (Editorial) 9 (4): 389–92. doi:10.1586/era.09.12. PMID 19374592. S2CID 24746283. 오픈 액세스로 게시된 글 - 무료로 읽을 수 있습니다
  4. Stewart BW, Wild CP, 편집. (2014). 〈Cancer etiology〉.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16–54쪽. ISBN 978-9283204299. 
  5. 《Cancer and the Environment: What you Need to Know, What You Can Do》. NIH Publication No. 03-2039: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3. Cancer develops over several years and has many causes. Several factor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bod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ancer. In this context, scientists refer to everything outside the body that interacts with humans as 'environmental'. 
  6. Manton KG, Akushevich I, Kravchenko J (2009). 〈3 Cancer Risk Factors (3.2 Environmental Cancer Risk Factors)〉. 《Cancer mortality and morbidity patterns from the U. S. population: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Berlin: Springer. 118쪽. ISBN 978-0-387-78192-1 – Open Library 경유. The term environment refers not only to air, water, and soil but also to substances and conditions at home and at the workplace, including diet, smoking, alcohol, drugs, exposure to chemicals, sunlight, ionizing radiation, electromagnetic fields, infectious agents, etc. Lifestyle, economic and behavioral factors are all aspects of our environment. 
  7. Doll R, Peto R (June 1981). “The causes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66 (6): 1191–308. doi:10.1093/jnci/66.6.1192. PMID 7017215. 
  8. Whiteman DC, Wilson LF (October 2016). “The fractions of cancer attributable to modifiable factors: A global review”. 《Cancer Epidemiology》 (Review) (Elsevier) 44: 203–221. doi:10.1016/j.canep.2016.06.013. ISSN 1877-783X. PMID 27460784 – ScienceDirect 경유. 
  9. Anand P, Kunnumakkara AB, Kunnumakara AB, Sundaram C, Harikumar KB, Tharakan ST, Lai OS, Sung B, Aggarwal BB (September 2008). “Cancer is a preventable disease that requires major lifestyle changes”. 《Pharmaceutical Research》 (Expert review) 25 (9): 2097–116. doi:10.1007/s11095-008-9661-9. PMC 2515569. PMID 18626751. 
  10.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hapter 1.1쪽. ISBN 978-9283204299. 
  11. “Cancer Fact sheet N°297”. 《World Health Organization》. February 2014. 2014년 6월 10일에 확인함. 
  12. Hodgson S (January 2008). “Mechanisms of inherited cancer susceptibility”. 《Journal of Zhejiang University Science B》 9 (1): 1–4. doi:10.1631/jzus.B073001. PMC 2170461. PMID 18196605. 
  13.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hapter 5.5쪽. ISBN 978-9283204299. 
  14. Ames, Bruce N.; Gold, Lois Swirsky (2000년 1월 17일). “Paracelsus to parascience: the environmental cancer distraction”. 《Mutation Research/Fundamental and Molecular Mechanisms of Mutagenesis》 (영어) 447 (1): 3–13. doi:10.1016/S0027-5107(99)00194-3. ISSN 0027-5107. PMID 10686303. 
  15.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ccupational Cancer”. United State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07년 10월 13일에 확인함. 
  16. “WHO calls for prevention of cancer through healthy workplaces” (보도 자료).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년 4월 27일. 2007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13일에 확인함. 
  17. Irigaray P, Newby JA, Clapp R, Hardell L, Howard V, Montagnier L, Epstein S, Belpomme D (December 2007). “Lifestyle-related factors and environmental agents causing cancer: an overview”.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61 (10): 640–58. doi:10.1016/j.biopha.2007.10.006. PMID 18055160. 
  18. Heikkilä K, Nyberg ST, Theorell T, Fransson EI, Alfredsson L, Bjorner JB, 외. (February 2013). “Work stress and risk of cancer: meta-analysis of 5700 incident cancer events in 116,000 European men and women”. 《BMJ》 346: f165. doi:10.1136/bmj.f165. PMC 3567204. PMID 23393080.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