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타졸아마이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새 문서: {{Drugbox | Watchedfields = changed | verifiedrevid = 477238754 | image = Acetazolamide.svg | width = 200 | alt = 아세타졸아마이드의 골격 구조식 | image2 = Acetazolamide 3D ball.png | width2 = 180 | alt2 = 아세타졸아마이드의 공-막대 모형 <!--Clinical data--> | tradename = Diamox, Diacarb, 기타 | Drugs.com = {{drugs.com|monograph|acetazolamide}} | pregnancy_AU = B3 | routes_of_administration = 경구 투여, 정맥 주사 | class = 탄산...
(차이 없음)

2023년 4월 7일 (금) 15:57 판

아세타졸아마이드
아세타졸아마이드의 골격 구조식
아세타졸아마이드의 공-막대 모형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N-(5-Sulfamoyl-1,3,4-thiadiazol-2-yl)acetamid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59-66-5
ATC 코드 S01EC01
PubChem 1986
드러그뱅크 DB00819
ChemSpider 1909
화학적 성질
화학식 C4H6N4O3S2 
분자량 ?
SMILES eMolecules & PubChem
물리적 성질
녹는점 258–259 °C (496–498 °F)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
단백질 결합 70~90%[1]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None[1]
생물학적 반감기 2~4시간[1]
배출 소변 (90%)[1]
처방 주의사항
임부투여안전성 B3(오스트레일리아)
법적 상태
투여 방법 경구 투여, 정맥 주사

아세타졸아마이드(acetazolamide)는 녹내장, 뇌전증, 고산병, 주기마비, 특발성 두개내 고혈압, 심부전 등의 치료와 소변을 알칼리화하는 데에 사용되는 약물이다.[2][3] 개방각 녹내장의 장기간 치료나, 급성 폐쇄각 녹내장의 수술 전에 단기간 치료약으로 사용할 수 있다.[4] 경구정맥 주사로 투여한다.[2] 아세타졸아마이드는 1세대 탄산무수화효소 억제제로, 눈에서 안구액과 오스몰랄농도를 감소시켜 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할 수 있다.[5][6] 디아목스(Diamox)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된다.

참고 문헌

  1. “Diamox Sequels (acetazolamide) dosing, indications, interactions, adverse effects, and more”. 《Medscape Reference》. WebMD. 2014년 4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0일에 확인함. 
  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AHFS2016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3. Smith SV, Friedman DI (September 2017). “The Idi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 Treatment Trial: A Review of the Outcomes”. 《Headache》 57 (8): 1303–1310. doi:10.1111/head.13144. PMID 28758206. S2CID 13909867. 
  4.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WHO2008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5. Scozzafava, Andrea; Supuran, Claudiu T. (2014). “Glaucoma and the applications of carbonic anhydrase inhibitors”. 《Sub-Cellular Biochemistry》 75: 349–359. doi:10.1007/978-94-007-7359-2_17. ISSN 0306-0225. PMID 24146387. 
  6. “Acetazolamide: mechanism of action”. 《www.openanesthesia.org》 (미국 영어).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