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우 슬립: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자열 변경 (}}) 은 → }})은 )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파일:Subduction_boundary_and_asperity.png|섬네일|250x250픽셀|[[해구]] 부근의 [[판 경계]]의 단면도. 슬로우 슬립은 대부분의 경우, 그림에서 노란색 영역에서 발생한다.]]
[[파일:Subduction_boundary_and_asperity.png|섬네일|250px|[[해구]] 부근의 [[판 경계]]의 단면도. 슬로우 슬립은 대부분의 경우 그림에서 노란색 영역인 6번 전이영역에서 발생한다.]]

'''슬로우 슬립'''({{Lang|en|Slow Slip}})은 [[지진학]]의 용어로 보통 지진에 의한 [[플레이트]]의 미끄럼(슬립) 보다 훨씬 느린 속도에서 발생하는 미끄럼 현상이다.<ref>{{뉴스 인용|url=http://www3.nhk.or.jp/news/html/20130528/t10014909331000.html|title=地震予測の最新研究 スロースリップとは|date=2013-05-28|newspaper=NHKニュース|publisher=日本放送協会|archiveurl=https://megalodon.jp/2013-0529-0844-13/www3.nhk.or.jp/news/html/20130528/t10014909331000.html|archivedate=2013-05-29|accessdate=2013-05-29}}</ref><ref>{{웹 인용|url=https://www.jishin.go.jp/resource/terms/tm_slow_slip/|제목=スロースリップ (ゆっくりすべり) 地震本部|확인날짜=2021-05-27}}</ref> [[해구]] 등의 섭입 영역에서 흔히 볼 수있는 현상이다. 1개의 판에 존재하는 단층면에서도 발생한다.
'''슬로우 슬립'''({{Lang|en|Slow Slip}})<ref>{{Cite web|url=https://www.asahi.com/amp/articles/ASN1H6KCVN1GULBJ014.html|title=海底「ゆっくりすべり」観測成功 南海トラフ解明に一助|accessdate=2020年1月16日|publisher=朝日新聞デジタル}}</ref><ref>{{Cite web|title=第3部応用編 ゆっくり地震-1 Webテキスト測地学|url=http://www.geod.jpn.org/web-text/part3_2005/kawasaki/kawasaki-1.html|website=www.geod.jpn.org|accessdate=2021-10-14|publisher=日本測地学会}}</ref>은 [[지진학]]에서 일반적인 [[지진]]의 미끄러짐(슬립)보다 훨씬 느린 속도로 발생하는 미끄러짐 현상을 말한다.<ref>{{Cite news |title=地震予測の最新研究 スロースリップとは |url=http://www3.nhk.or.jp/news/html/20130528/t10014909331000.html |date=2013-05-28 |newspaper=NHKニュース |publisher=日本放送協会 |accessdate=2013-05-29 |archiveurl=https://megalodon.jp/2013-0529-0844-13/www3.nhk.or.jp/news/html/20130528/t10014909331000.html |archivedate=2013-05-29}}</ref> '''느린 지진'''(Slow earthquake)<ref name=":1">{{Cite web|url=https://www.eri.u-tokyo.ac.jp/project/sloweq/project-overview/|title=新学術領域研究スロー地震学「領域概要」|accessdate=2021年10月7日|publisher=新学術領域研究スロー地震学}}</ref><ref>{{PDFlink|[https://cais.gsi.go.jp/YOCHIREN/report/kaihou84/12_12.pdf 地震予知連絡会会報第84巻 12-12 東海地域の割れ残りと長期スローイベントとの関係] 地震予知連絡会}}</ref><ref>{{Cite web|url=https://natgeo.nikkeibp.co.jp/atcl/news/21/060100267/|title=史上最長、32年間続いた「ゆっくり地震」を解明|accessdate=2021年10月7日|publisher=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日本版サイト}}</ref>이나 '''여린 지진'''<ref>[https://www.hazardlab.jp/know/glossary/%E3%81%AC%E3%82%8B%E3%81%AC%E3%82%8B%E5%9C%B0%E9%9C%87 防災用語集>ぬるぬる地震とは] ハザードラボ{{リンク切れ|date=2022年2月}}</ref>이라고도 부른다. [[해구]] 등 [[섭입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ref name=":43">{{Cite web|url=https://www.jishin.go.jp/resource/column/column_18aut_p08/|title=地震調査研究の最前線 気になる地震スロースリップ|accessdate=2021年10月8日|publisher=政府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ref> 또한 하나의 판 안에 있는 단층면에서도 볼 수 있다.<ref name=":47" />

특히 여기서 느린 지진은 같은 [[지진 규모|규모]]의 일반적인 지진에 비해 [[단층]]이 매우 천천히 미끄러지는 현상을 한데 묶어 말한다.<ref name=":0">{{PDFlink|[https://cais.gsi.go.jp/YOCHIREN/activity/213/image213/033.pdf 南海トラフで発生しているスロー地震について] 地震予知連絡会}}</ref> 여기서 느린 지진에는 [[저주파 지진]], 저주파 미소진동, 초저주파 지진, 단기적 슬로우 슬립, 장기적 슬로우 슬립 등 다양한 시간대를 두고 일어나는 느린 단층 미끄러짐 현상을 말한다.<ref name=":0" /> 여기서 저주파 지진은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가 구축한 [[고감도 지진관측망]]에서 처음으로 관측해서 발견했다.<ref name=":2">{{Cite journal|和書|author=小原一成 |title=断層帯の物質科学と地震の発生過程 深部低周波微動の時系列的特徴―トリガー現象と周期性―:トリガー現象と周期性 |journal=地學雜誌 |issn=0022-135X |publisher=東京地学協会 |year=2003 |volume=112 |issue=6 |pages=837-849 |naid=130000794624 |doi=10.5026/jgeography.112.6_837 |url=https://doi.org/10.5026/jgeography.112.6_837}}</ref><ref name=":27">{{PDFlink|[https://cais.gsi.go.jp/YOCHIREN/history/2-3-13_ss-dlft.pdf 短期的スロースリップ・深部低周波微動] 地震予知連絡会}}</ref>

저주파 미소진동(low-frequency tremor)은 영어로 tectonic tremor, 혹은 non-volcanic tremor라고도 불리며<ref name=":22">{{Cite journal|last=Idehara|first=Koki|last2=Yabe|first2=Suguru|last3=Ide|first3=Satoshi|date=2014-07-07|title=Regional and global variations in the temporal clustering of tectonic tremor activity|url=https://doi.org/10.1186/1880-5981-66-66|journal=Earth, Planets and Space|volume=66|issue=1|pages=66|doi=10.1186/1880-5981-66-66|issn=1880-5981}}</ref><ref name=":28" /> 각각 구조성 미동 혹은 비화산성 미동이라 불린다.<ref name=":44">{{Cite journal2|last=K|first=TODD Erin|last2=Y|first2=SCHWARTZ Susan |date=2016 |title=Tectonic tremor along the northern Hikurangi Margin, New Zealand, between 2010 and 2015 / 2010年から2015年までの間でのニュージーランド,北部ヒクランギ縁辺に沿った構造性微動 |url=https://doi.org/10.1002/2016JB013480 |journal=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volume=121 |issue=12 |pages=8706-8719 |language=en |issn=2169-9313 |doi=10.1002/2016JB013480 |publisher=Wiley Online Library}}</ref><ref>{{PDFlink|[https://cais.gsi.go.jp/YOCHIREN/report/kaihou82/12_09.pdf 地震予知連絡会会報第82巻 12-9 球潮汐と同期して起こる深部非火山性微動] 地震予知連絡会}}</ref> 슬로우 슬립은 약어로 SSE(Slow Slip Event)라고 부르기도 한다.<ref>{{PDFlink|[http://www.bosai.go.jp/activity_general/pdf/k_news159.pdf 防災科研ニュース No.169(2009年秋号)特集:地震研究最前線] 防災科学技術研究所}}</ref>

느린 지진과 비교하여 보통의 지진을 "빠른 지진"(Fast earthquake)라고 부르기도 한다.<ref>{{Cite web |title=領域概要 – Slow-to-Fast地震学|令和3〜7年度 文部科学省 科学研究費助成事業 学術変革領域研究(A) |url=https://slow-to-fast-eq.org/project-overview/ |website=slow-to-fast-eq.org |access-date=2022-09-19}}</ref>

== 원인과 특성 ==

== 같이 보기 ==
* [[해일지진]]
* [[정상 미끄러짐]]
* [[크리프 단층]]
* [[지진전조현상]]
* [[저주파 지진]]
* [[프리슬립]]
* [[여효변동]]


== 각주 ==
== 각주 ==
{{각주}}
{{각주}}

{{지진 이론}}
{{지진 이론}}
{{토막글|지구과학}}
{{토막글|지구과학}}

[[분류:지진학]]
[[분류:지진학]]

2023년 4월 3일 (월) 13:45 판

해구 부근의 판 경계의 단면도. 슬로우 슬립은 대부분의 경우 그림에서 노란색 영역인 6번 전이영역에서 발생한다.

슬로우 슬립(Slow Slip)[1][2]지진학에서 일반적인 지진의 미끄러짐(슬립)보다 훨씬 느린 속도로 발생하는 미끄러짐 현상을 말한다.[3] 느린 지진(Slow earthquake)[4][5][6]이나 여린 지진[7]이라고도 부른다. 해구섭입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8] 또한 하나의 판 안에 있는 단층면에서도 볼 수 있다.[9]

특히 여기서 느린 지진은 같은 규모의 일반적인 지진에 비해 단층이 매우 천천히 미끄러지는 현상을 한데 묶어 말한다.[10] 여기서 느린 지진에는 저주파 지진, 저주파 미소진동, 초저주파 지진, 단기적 슬로우 슬립, 장기적 슬로우 슬립 등 다양한 시간대를 두고 일어나는 느린 단층 미끄러짐 현상을 말한다.[10] 여기서 저주파 지진은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가 구축한 고감도 지진관측망에서 처음으로 관측해서 발견했다.[11][12]

저주파 미소진동(low-frequency tremor)은 영어로 tectonic tremor, 혹은 non-volcanic tremor라고도 불리며[13][14] 각각 구조성 미동 혹은 비화산성 미동이라 불린다.[15][16] 슬로우 슬립은 약어로 SSE(Slow Slip Event)라고 부르기도 한다.[17]

느린 지진과 비교하여 보통의 지진을 "빠른 지진"(Fast earthquake)라고 부르기도 한다.[18]

원인과 특성

같이 보기

각주

  1. “海底「ゆっくりすべり」観測成功 南海トラフ解明に一助”. 朝日新聞デジタル. 2020年1月16日에 확인함. 
  2. “第3部応用編 ゆっくり地震-1 Webテキスト測地学”. 《www.geod.jpn.org》. 日本測地学会. 2021년 10월 14일에 확인함. 
  3. “地震予測の最新研究 スロースリップとは”. 《NHKニュース》 (日本放送協会). 2013년 5월 28일. 2013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9일에 확인함. 
  4. “新学術領域研究スロー地震学「領域概要」”. 新学術領域研究スロー地震学. 2021年10月7日에 확인함. 
  5. 地震予知連絡会会報第84巻 12-12 東海地域の割れ残りと長期スローイベントとの関係 地震予知連絡会 (PDF)
  6. “史上最長、32年間続いた「ゆっくり地震」を解明”.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日本版サイト. 2021年10月7日에 확인함. 
  7. 防災用語集>ぬるぬる地震とは ハザードラボ틀:リンク切れ
  8. “地震調査研究の最前線 気になる地震スロースリップ”. 政府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21年10月8日에 확인함. 
  9.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47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0. 南海トラフで発生しているスロー地震について 地震予知連絡会 (PDF)
  11. 小原一成 (2003). “断層帯の物質科学と地震の発生過程 深部低周波微動の時系列的特徴―トリガー現象と周期性―:トリガー現象と周期性”. 《地學雜誌》 (東京地学協会) 112 (6): 837–849. doi:10.5026/jgeography.112.6_837. ISSN 0022-135X. NAID 130000794624.  다음 글자 무시됨: ‘和書’ (도움말)
  12. 短期的スロースリップ・深部低周波微動 地震予知連絡会 (PDF)
  13. Idehara, Koki; Yabe, Suguru; Ide, Satoshi (2014년 7월 7일). “Regional and global variations in the temporal clustering of tectonic tremor activity”. 《Earth, Planets and Space》 66 (1): 66. doi:10.1186/1880-5981-66-66. ISSN 1880-5981. 
  14.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28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5. 틀:Cite journal2
  16. 地震予知連絡会会報第82巻 12-9 球潮汐と同期して起こる深部非火山性微動 地震予知連絡会 (PDF)
  17. 防災科研ニュース No.169(2009年秋号)特集:地震研究最前線 防災科学技術研究所 (PDF)
  18. “領域概要 – Slow-to-Fast地震学|令和3〜7年度 文部科学省 科学研究費助成事業 学術変革領域研究(A)”. 《slow-to-fast-eq.org》. 2022년 9월 1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