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탈장: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LR072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24번째 줄: 24번째 줄:
'''탈장'''(脫腸, hernia) 또는 '''내장 탈출증'''(內臟脫出症)은 [[창자]]와 같은 인체의 장기가 제 위치에 있지 않고 다른 곳으로 빠져 나가는 것이다.<ref name=NEJM15/> 탈장은 다양한 형태로 일어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것은 복부에서 일어나는 탈장이다.<ref name=NIHDef/> 특히 서혜부로 배안의 장기가 빠져나가는 경우가 많다.<ref name=NIHDef/> 서혜부에서 일어나는 탈장 중 가장 흔한 것은 [[샅굴탈장]]이나, [[넙다리탈장]]이 발생하기도 한다.<ref name=NEJM15/> 다른 종류의 탈장으로는 [[틈새탈장]], [[절개창탈장]], [[배꼽탈장]] 등이 있다.<ref name=NIHDef>{{cite web|title=Hernia|url=https://www.nlm.nih.gov/medlineplus/hernia.html|work = MedlinePlus | publisher =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access-date=12 March 2015|date=9 August 2014|url-status=liv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316215214/http://www.nlm.nih.gov/medlineplus/hernia.html|archive-date=16 March 2015}}</ref> 전체 서혜부 탈장 환자의 66%에서 증상이 나타나는데, 하복부의 통증이나 불편감이 특히 기침을 하거나 운동, 배뇨, 배변을 할 때 느껴질 수 있다.<ref name=NEJM15/> 낮 동안에는 통증이 심해졌다가 누우면 완화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ref name=NEJM15/> 탈장된 부위가 불룩 튀어나올 수 있는데, 몸을 굽히면 더 크게 튀어나온다.<ref name=NEJM15/> 서혜부의 탈장은 몸의 왼쪽보다 오른쪽에서 자주 발생한다.<ref name=NEJM15/> 탈장 시 창자 일부로 가는 혈액 공급이 막히면서 [[장교액]]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그 부위에 심각한 통증과 [[압통]]을 유발한다.<ref name=NEJM15/> 틈새탈장은 종종 [[속쓰림]]을 일으키나 [[흉통]]이나 식사 중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ref name=BMJ2014>{{cite journal | vauthors = Roman S, Kahrilas PJ | title =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iatus hernia | journal = BMJ | volume = 349 | pages = g6154 | date = October 2014 | pmid = 25341679 | doi = 10.1136/bmj.g6154 | s2cid = 7141090 }}</ref>
'''탈장'''(脫腸, hernia) 또는 '''내장 탈출증'''(內臟脫出症)은 [[창자]]와 같은 인체의 장기가 제 위치에 있지 않고 다른 곳으로 빠져 나가는 것이다.<ref name=NEJM15/> 탈장은 다양한 형태로 일어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것은 복부에서 일어나는 탈장이다.<ref name=NIHDef/> 특히 서혜부로 배안의 장기가 빠져나가는 경우가 많다.<ref name=NIHDef/> 서혜부에서 일어나는 탈장 중 가장 흔한 것은 [[샅굴탈장]]이나, [[넙다리탈장]]이 발생하기도 한다.<ref name=NEJM15/> 다른 종류의 탈장으로는 [[틈새탈장]], [[절개창탈장]], [[배꼽탈장]] 등이 있다.<ref name=NIHDef>{{cite web|title=Hernia|url=https://www.nlm.nih.gov/medlineplus/hernia.html|work = MedlinePlus | publisher =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access-date=12 March 2015|date=9 August 2014|url-status=liv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316215214/http://www.nlm.nih.gov/medlineplus/hernia.html|archive-date=16 March 2015}}</ref> 전체 서혜부 탈장 환자의 66%에서 증상이 나타나는데, 하복부의 통증이나 불편감이 특히 기침을 하거나 운동, 배뇨, 배변을 할 때 느껴질 수 있다.<ref name=NEJM15/> 낮 동안에는 통증이 심해졌다가 누우면 완화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ref name=NEJM15/> 탈장된 부위가 불룩 튀어나올 수 있는데, 몸을 굽히면 더 크게 튀어나온다.<ref name=NEJM15/> 서혜부의 탈장은 몸의 왼쪽보다 오른쪽에서 자주 발생한다.<ref name=NEJM15/> 탈장 시 창자 일부로 가는 혈액 공급이 막히면서 [[장교액]]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그 부위에 심각한 통증과 [[압통]]을 유발한다.<ref name=NEJM15/> 틈새탈장은 종종 [[속쓰림]]을 일으키나 [[흉통]]이나 식사 중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ref name=BMJ2014>{{cite journal | vauthors = Roman S, Kahrilas PJ | title =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iatus hernia | journal = BMJ | volume = 349 | pages = g6154 | date = October 2014 | pmid = 25341679 | doi = 10.1136/bmj.g6154 | s2cid = 7141090 }}</ref>


탈장 발생의 [[위험 인자]]로는 [[흡연]],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비만]], [[임신]], [[복막투석]], [[콜라겐 혈관 질환]], 이전에 개복을 통한 [[충수절제술]]을 받은 병력 등이 있다.<ref name=NEJM15/><ref name=Dom2014>{{cite book| vauthors = Domino FJ |title=The 5-minute clinical consult 2014|date=2014|publisher=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location=Philadelphia, Pa.|isbn=9781451188509|page=562|edition=22nd|url=https://books.google.com/books?id=2C2MAwAAQBAJ&pg=PA562|url-status=liv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822165855/https://books.google.com/books?id=2C2MAwAAQBAJ&pg=PA562|archive-date=2017-08-22}}</ref><ref name=BMJ2014/> 탈장에는 [[유전적 소인]] 또한 존재하며<ref name="urlEtiology of Inguinal Hernias: A Comprehensive Review">{{cite journal | vauthors = Öberg S, Andresen K, Rosenberg J | title = Etiology of Inguinal Hernias: A Comprehensive Review | journal = Frontiers in Surgery | volume = 4 | pages = 52 | year = 2017 | pmid = 29018803 | pmc = 5614933 | doi = 10.3389/fsurg.2017.00052 | doi-access = free }}</ref> 특정 가족들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ref name="urlWhole-exome Sequencing Identifies a Potential TTN Mutation in a Multiplex Family With Inguinal Hernia - PubMed">{{cite journal | vauthors = Mihailov E, Nikopensius T, Reigo A, Nikkolo C, Kals M, Aruaas K, Milani L, Seepter H, Metspalu A | display-authors = 6 | title = Whole-exome sequencing identifies a potential TTN mutation in a multiplex family with inguinal hernia | journal = Hernia | volume = 21 | issue = 1 | pages = 95–100 | date = February 2017 | pmid = 27115767 | pmc = 5281683 | doi = 10.1007/s10029-016-1491-9 }}</ref><ref name="urlAssociation of Collagen Type I Alpha 1 Gene Polymorphism With Inguinal Hernia - PubMed">{{cite journal | vauthors = Sezer S, Şimşek N, Celik HT, Erden G, Ozturk G, Düzgün AP, Çoşkun F, Demircan K | display-authors = 6 | title = Association of collagen type I alpha 1 gene polymorphism with inguinal hernia | journal = Hernia | volume = 18 | issue = 4 | pages = 507–12 | date = August 2014 | pmid = 23925543 | doi = 10.1007/s10029-013-1147-y | s2cid = 22999363 }}</ref><ref name="urlGenetic Study of Indirect Inguinal Hernia - PubMed">{{cite journal | vauthors = Gong Y, Shao C, Sun Q, Chen B, Jiang Y, Guo C, Wei J, Guo Y | display-authors = 6 | title = Genetic study of indirect inguinal hernia | journal = Journal of Medical Genetics | volume = 31 | issue = 3 | pages = 187–92 | date = March 1994 | pmid = 8014965 | pmc = 1049739 | doi = 10.1136/jmg.31.3.187 }}</ref><ref name=NEJM15/> 탈장이 일어나기 쉽게 하는 [[돌연변이]]는 (특히 남성에 대하여) 우성으로 유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서혜부의 탈장이 힘든 일과 관련이 있는지는 불명확하다.<ref name=NEJM15/> 증상과 소견을 통해 탈장을 진단할 수 있다.<ref name=NEJM15/> 간혹 [[의학촬영|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진단을 확진하거나 다른 가능한 원인을 배제할 수 있다.<ref name=NEJM15/> 틈새탈장의 진단은 [[내시경]]을 자주 사용한다.<ref name=BMJ2014/>
탈장의 진행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요소로는 만성 폐쇄성 기관지 질환(폐기종 등), 비만, 임신, 복막 투석, 콜라겐 혈관 질환이 있을 수 있다. 탈장은 어느 정도 유전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특정 가계에서 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서혜부 탈장이 과한 운동때문에 발생하는 것인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탈장은 주로 증상과 징후들에 의해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때때로 X선 등의 방법으로 진단을 확정하거나 다른 가능성을 배제하는 데 이용하기도 한다. 열공성 탈장은 내시경술의 방법으로 진단한다.


남성에게서 발생하는 서혜부 탈장 중, 특별한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 경우는 치료를 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치료를 요하는 경우는 여성에게서 나타난다. 여성에게서 높은 확률로 나타나는 대퇴부 탈장은 매우 위험하다. 만약 교살성 장폐색이 일어날 경우 즉시 수술이 필요하다. 이때 복강경 개복 수술이 필요하다. 개복 수술은 전신마취보다는 국소마취로 시행되는 편이 장점이 많다.
남성에게서 발생하는 서혜부 탈장 중, 특별한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 경우는 치료를 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치료를 요하는 경우는 여성에게서 나타난다. 여성에게서 높은 확률로 나타나는 대퇴부 탈장은 매우 위험하다. 만약 교살성 장폐색이 일어날 경우 즉시 수술이 필요하다. 이때 복강경 개복 수술이 필요하다. 개복 수술은 전신마취보다는 국소마취로 시행되는 편이 장점이 많다.

2023년 2월 1일 (수) 18:00 판

탈장
다른 이름헤르니아
전면 흉부 X선선천성횡격막탈장을 나타내주고 있다.
진료과일반외과
증상기침할 때 나타나는 통증[1]
합병증교액(strangulation)[1]
통상적 발병 시기1세 미만, 50세 이상 (사타구니 탈장)[2]
위험 인자흡연, 만성 폐쇄성 폐질환, 비만증, 임신, 복막투석, 콜라겐 혈관 질환[1][2][3]
진단 방식증상에 의거. 의학촬영[1]
치료관찰, 수술[1]
빈도18,500,000 (2015)[4]
사망59,800 (2015)[5]

탈장(脫腸, hernia) 또는 내장 탈출증(內臟脫出症)은 창자와 같은 인체의 장기가 제 위치에 있지 않고 다른 곳으로 빠져 나가는 것이다.[1] 탈장은 다양한 형태로 일어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것은 복부에서 일어나는 탈장이다.[6] 특히 서혜부로 배안의 장기가 빠져나가는 경우가 많다.[6] 서혜부에서 일어나는 탈장 중 가장 흔한 것은 샅굴탈장이나, 넙다리탈장이 발생하기도 한다.[1] 다른 종류의 탈장으로는 틈새탈장, 절개창탈장, 배꼽탈장 등이 있다.[6] 전체 서혜부 탈장 환자의 66%에서 증상이 나타나는데, 하복부의 통증이나 불편감이 특히 기침을 하거나 운동, 배뇨, 배변을 할 때 느껴질 수 있다.[1] 낮 동안에는 통증이 심해졌다가 누우면 완화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1] 탈장된 부위가 불룩 튀어나올 수 있는데, 몸을 굽히면 더 크게 튀어나온다.[1] 서혜부의 탈장은 몸의 왼쪽보다 오른쪽에서 자주 발생한다.[1] 탈장 시 창자 일부로 가는 혈액 공급이 막히면서 장교액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그 부위에 심각한 통증과 압통을 유발한다.[1] 틈새탈장은 종종 속쓰림을 일으키나 흉통이나 식사 중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3]

탈장 발생의 위험 인자로는 흡연,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비만, 임신, 복막투석, 콜라겐 혈관 질환, 이전에 개복을 통한 충수절제술을 받은 병력 등이 있다.[1][2][3] 탈장에는 유전적 소인 또한 존재하며[7] 특정 가족들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8][9][10][1] 탈장이 일어나기 쉽게 하는 돌연변이는 (특히 남성에 대하여) 우성으로 유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서혜부의 탈장이 힘든 일과 관련이 있는지는 불명확하다.[1] 증상과 소견을 통해 탈장을 진단할 수 있다.[1] 간혹 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진단을 확진하거나 다른 가능한 원인을 배제할 수 있다.[1] 틈새탈장의 진단은 내시경을 자주 사용한다.[3]

남성에게서 발생하는 서혜부 탈장 중, 특별한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 경우는 치료를 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치료를 요하는 경우는 여성에게서 나타난다. 여성에게서 높은 확률로 나타나는 대퇴부 탈장은 매우 위험하다. 만약 교살성 장폐색이 일어날 경우 즉시 수술이 필요하다. 이때 복강경 개복 수술이 필요하다. 개복 수술은 전신마취보다는 국소마취로 시행되는 편이 장점이 많다.

통계적으로 일생중 27%의 남성과 3%의 여성에게서 탈장이 발생한다. 서혜부 탈장은 50세가 되기 이전에 주로 일어나고, 대퇴부, 복부 탈장은 2013년에 51,000, 1990년에 55,000명의 사망자를 낳았다.

기원전 1550년 이집트의 에버스 파피루스에 최초의 탈장에 대한 설명이 기록되어 있다.


징후 및 증상

복벽에서 가장 흔한 탈장은 복벽에서 약화되어 지방 조직 또는 복막으로 덮인 복부 기관 이 돌출 될 수 있는 "결함"으로 발전 한다. 또 다른 흔한 탈장은 척수 원반 과 관련되어 좌골 신경통을 유발한다. 열공탈장의 경우 위가 식도의 열공으로 돌출되어 발생하게 된다.

탈장은 대상 부위의 통증, 가시적으로 보이는 촉촉한 덩어리, 또는 경우에 따라 탈장에서 "고착된"장기에 압력이 가해져 때때로 기관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더 모호한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지방 조직은 일반적으로 먼저 탈장에 들어가지만 장기가 뒤따를 수 있다.

탈장은 복벽을 형성하는 근막 또는 섬유 조직의 붕괴 또는 개방으로 인해 발생한다. 탈장과 관련된 돌출이 오가는 것이 가능하지만 조직의 결함은 지속된다.

증상과 징후는 탈장의 유형에 따라 다르다. 사타구니 탈장 에 증상이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환원성 탈장의 경우, 사타구니 또는 다른 복부 부위 의 팽창 이 종종 보이고 느껴질 수 있다. 서있을 때, 그러한 돌출은 더 분명해진다. 벌지 이외에도 다른 증상으로는 사타구니 통증이 있으며, 이는 심한 감각 또는 끌기 감각을 포함 할 수 있으며, 남성의 경우 고환 부위 주변의 음낭 에 통증과 부기가 있다.[11]

돌이킬 수없는 복부 탈장 또는 감금 된 탈장은 고통 스러울 수 있지만 가장 관련성이 높은 증상은 밀어 넣을 때 복강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것이다. 통증이 없지만 만성적이며 교란 (혈액 공급 손실), 폐색 ( 장의 꼬임)으로 이어질 수 있다. 교살 된 탈장은 항상 고통스럽고 통증에는 압통이 뒤 따른다. 이러한 경우에는 장 폐쇄 로 인해 구역 , 구토 또는 열 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이 경우 탈장 돌출이 빨간색, 보라색 또는 어둡고 분홍색으로 변할 수 있다.

복부 탈장 진단에서 영상화는 내부 횡격막 및 기타 발작 불가능하거나 의심되지 않는 탈장을 감지하는 주요 수단이다. MDCT (Multidetector CT)는 탈장 주머니의 해부학 적 부위, 주머니의 내용물 및 합병증을 정확하게 보여줄 수 있다. MDCT는 또한 복벽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여 벽 탈장을 정확하게 식별 할 수 있다.[12]

합병증

탈장 복구에 사용되는 메시의 거부(mesh)를 포함하여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메시가 거부되는 경우 메시를 제거해야 할 가능성이 크다. 메쉬 제거는 메쉬 영역 주변의 명백한 국소 부종과 통증에 의해 감지 될 수 있다. 메시가 제거 된 후 흉터에서 지속적으로 배출 될 수 있다.

수술로 치료 한 탈장은 서혜부 (inguinodynia) 와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치료하지 않은 탈장은 다음과 같이 복잡 할 수 있다.[13][14]

  • 염증
  • 출혈
  • 자가 면역 문제
  • 적어도 외부 노력 없이는 감소시킬 수 없거나 제자리로 돌아갈 수 없다. [10] [11] 장 탈장에서 이는 실질적 장폐색 및 질식 위험을 증가시킨다.

종류

많은 기관이나 기관의 일부가 많은 구멍을 통해 탈장 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동의어와 시조가 있는 탈장 목록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탈장 유형과 특이한 내장 내장 탈장은 알파벳 순서로 아래에 나열되어 있다.

  • 복벽 탈장 :
    • 배꼽 탈장
    • 상복부 탈장 : umbilicus 위의 linea alba를 통한 탈장 .[1] 에서 가장 흔한 탈장은 복벽 에서 약화되어
    • [2]자발적 측면 복부 탈장으로 알려진 Spigelian 탈장
  • Amyand의 탈장 : 탈장 주머니에 맹장 vermiformis를 포함
  • 뇌 탈출증 때때로 뇌 탈장이라 함은, 매우 높은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부작용 두개내압 의 일부를 때 발생하는 뇌 내부 구조를 통해 압착 두개골 .
  • 이중 간접 탈장 : 부수적 인 직접 탈장 성분이없는 (두개 탈장 탈장에서 볼 수있는) 두 탈장 주머니가있는 간접적 인 사타구니 탈장.
  • 열공 탈장 : "짧은 식도"로 인한 탈장-신장이 불충분-위가 흉부로 변위 됨
  • Littre의 탈장 : Meckel의 게실 과 관련된 탈장 . 그것은 프랑스의 해부학자 인 Alexis Littré (1658-1726)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요추 탈장 : 요추 부위의 탈장 ( 요추 디스크 탈장 과 혼동하지 말 것 )에는 다음과 같은 개체가 포함된다.
    • 쁘띠의 탈장 : 쁘띠의 삼각형 (열등한 삼각형)을 통한 탈장. 그것은 프랑스 의사 Jean Louis Petit (1674–1750)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Grynfeltt의 탈장 : Grynfeltt-Lesshaft 삼각형 (우수한 요추 삼각형)을 통한 탈장. 그것은 의사 조셉 그린 펠트 (Joseph Grynfeltt, 1840-1913)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Maydl의 탈장 : 소장의 인접한 두 개의 고리는 목이 단단한 탈장 주머니 안에 있다. 복부 내 장의 중재 부분은 혈액 공급이 박탈되어 결국 괴사가된다.
  • 폐쇄 자 탈장 : 폐쇄 관을 통한 탈장[3]큰 기생충 탈장으로 복잡한 인공 항문 형성 환자 .
  • 조직은 인접한 돌출 언제 Parastomal 탈장, 장루 기관.
  • Paraumbilical hernia : 성인에서 발생하는 제대 탈장
  • [4]회음부 탈장 : 회음부 탈장은 회음부 근육과 근막을 통해 튀어 나온다. 일차적 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회음 전립선 절제술, 직장 복부 절제술 또는 골반 확장술 후에 획득된다.
  • 프로 페로 톤 탈장 : 예를 들어, 사타구니 탈장의 일부가 깊은 사타구니 고리에서 전 복막 공간으로 돌출 될 때 복막 바로 위에 위치한 희귀 탈장 .[5] 에서 가장 흔한 탈장은 복벽 에서 약화되어
  • Richter 's hernia : 장의 한쪽 벽만 포함하는 탈장 . 장 폐색으로 인해 장 폐색 이나 경고 신호를 유발하지 않고 허혈을 통해 천공을 일으킬 수 있다. 독일 외과 의사 August Gottlieb Richter (1742–1812)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슬라이딩 탈장 : 장기가 복막의 일부를 따라 끌 때, 즉 장기가 탈장 주머니의 일부일 때 발생한다. 대장 과 방광은 종종 참여하고 있다. 이 용어는 또한 종종 위의 탈장 탈락을 말한다.
  • 좌골 탈장 (Sciatic hernia) : 좌골 신경통 에 있는이 탈장은 가장 흔히 둔근 부위에 불편한 덩어리로 나타난다. 장 폐쇄도 발생할 수 있다. 이 유형의 탈장은 좌골 신경통 의 드문 원인이다.
  • 스포츠 탈장 : 운동 선수의 만성 사타구니 통증과 확장 된 표면 사타구니 고리가 특징 인 탈장 .
  • Velpeau 탈장 : 대퇴 혈관 앞 사타구니 탈장

원인

결장 탈장의 원인은 개인마다 다르다. 그러나 여러 원인 중 부적절한 중량 리프팅, 단단한 기침 시합, 복부에 심한 타격, 잘못된 자세 등의 기계적 원인이 있다.[15]

또한 복강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상태는 탈장을 유발하거나 기존의 것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일부 예는 비만, 배변 또는 배뇨 중 변형 (변비, 전립선 비대 ), 만성 폐 질환 및 복강 내 유체 ( 복수 )이다.[16]

또한 영양 부족 , 흡연 및 과로 로 인해 근육이 약 해지면 탈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생리 학적 사고 학교는 사타구니 탈장의 경우 위에서 언급 한 것은 근본적인 생리적 원인 의 해부학 적 증상 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탈장의 위험은 탈장을 겪는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 사이의 생리 학적 차이, 즉 경 복부 복부 아 포르 로티 아치 로부터 의 동맥류 확장 의 존재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17]

외상으로 인해 복벽 탈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유형의 탈장이 둔기로 인한 외상으로 인한 경우 응급 상황이며 다양한 고형 장기와 관련 될 수 있다.

치료

수술

제대 탈장 및 허탈 탈장이 관찰되거나 약물로 치료 될 수 있지만, 장의 폐색 또는 조직의 교살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일부 유형의 탈장에 대한 수술이 권장된다.[18] 대부분의 복부 탈장은 수술로 치료할 수 있지만 수술에는 합병증이 있다. 탈장을 복강경으로 수술 하면 치료 후 회복에 필요한 시간이 줄어든다. 그러나 전신 마취없이 개방 수술을 할 수도 있다.

복잡하지 않은 탈장은 주로 탈장 된 조직을 뒤로 밀거나 "감소"한 다음 근육 조직의 약점을 완화 (수술이라고하는 수술)하여 회복 된다. 합병증이 발생하면 외과 의사는 탈출 기관의 생존 가능성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기관의 일부를 제거한다.

근육 강화 기술에는 종종 합성 재료 ( 메쉬 보철 )가 포함된다.[19] 메시는 결함 (전방 수리) 위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결함에서 (후방 보수). 때때로 스테이플은 메쉬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메쉬 수복 방법 은 종종 "인장없는"수복이라고한다. 왜냐하면 어떤 봉합 방법 (예를 들어, Mustice)과는 달리, 근육은 긴장 상태에서 함께 당겨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메쉬를 사용하지 않는 장력이없는 봉합 방법 (예 : Desarda, Guarnieri, Lipton-Estrin 등) 이 많기 때문에 이 널리 사용되는 용어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

증거에 따르면 장력이없는 방법 (메쉬 유무에 관계없이)은 종종 장력 봉합 법에 비해 재발률이 가장 낮고 회복 기간이 가장 빠르다. 그러나, 다른 가능한 합병증 중에서, 보철 메시 사용은 만성 통증 및 때때로 감염의 발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20]

복구

많은 사람들이 주간 수술 센터를 통해 관리되며 일주일 또는 이틀 내에 직장으로 돌아갈 수 있지만 강렬한 활동은 더 이상 금지되어 있다. 메시로 탈장을 치료받은 사람들은 통증이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지만 종종 한 달 안에 회복된다. 수술 합병증에는 3 개월 이상 지속되는 통증, 수술 부위 감염, 신경 및 혈관 손상, 근처 장기 손상 및 탈장 재발이 포함된다. 3 개월 이상 지속되는 통증은 탈장 치료 후 약 10 %의 사람들에게서 발생한다.[1]

역학

남성의 약 27 %와 여성의 3 %는 삶의 어느 시점에서 사타구니 탈장이 발생한다.[21] 2013년에는 약 2 천 5 백만 명이 탈장을 겪었다.[22]사타구니, 대퇴부 및 복부 탈장은 2013년 전 세계적으로 32,500 명이 사망하고 1990년에는 50,500 명이 사망했다.[23]

참조

  1. Fitzgibbons RJ, Jr; Forse, RA (2015년 2월 19일). “Clinical practice. Groin hernias in adult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2 (8): 756–63. doi:10.1056/NEJMcp1404068. PMID 25693015. 
  2. Domino, Frank J. (2014). 《The 5-minute clinical consult 2014》 22판. Philadelphia, Pa.: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62쪽. ISBN 9781451188509. 2017년 8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Dom2014"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 Roman S, Kahrilas PJ (October 2014).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iatus hernia”. 《BMJ》 349: g6154. doi:10.1136/bmj.g6154. PMID 25341679. S2CID 7141090. 
  4. GBD 2015 Disease and Injury Incidence and Prevalence, Collaborators. (2016년 10월 8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545–1602.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C 5055577. PMID 27733282. 
  5. GBD 2015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2016년 10월 8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459–1544.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C 5388903. PMID 27733281. 
  6. “Hernia”. 《MedlinePlus》.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4년 8월 9일. 2015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12일에 확인함. 
  7. Öberg S, Andresen K, Rosenberg J (2017). “Etiology of Inguinal Hernias: A Comprehensive Review”. 《Frontiers in Surgery》 4: 52. doi:10.3389/fsurg.2017.00052. PMC 5614933. PMID 29018803. 
  8. Mihailov E, Nikopensius T, Reigo A, Nikkolo C, Kals M, Aruaas K, 외. (February 2017). “Whole-exome sequencing identifies a potential TTN mutation in a multiplex family with inguinal hernia”. 《Hernia》 21 (1): 95–100. doi:10.1007/s10029-016-1491-9. PMC 5281683. PMID 27115767. 
  9. Sezer S, Şimşek N, Celik HT, Erden G, Ozturk G, Düzgün AP, 외. (August 2014). “Association of collagen type I alpha 1 gene polymorphism with inguinal hernia”. 《Hernia》 18 (4): 507–12. doi:10.1007/s10029-013-1147-y. PMID 23925543. S2CID 22999363. 
  10. Gong Y, Shao C, Sun Q, Chen B, Jiang Y, Guo C, 외. (March 1994). “Genetic study of indirect inguinal hernia”. 《Journal of Medical Genetics》 31 (3): 187–92. doi:10.1136/jmg.31.3.187. PMC 1049739. PMID 8014965. 
  11. “Symptoms”. 2010년 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24일에 확인함. 
  12. Lee HK, Park SJ, Yi BH (2010). “Multidetector CT reveals diverse variety of abdominal hernias”. 《Diagnostic Imaging》 32 (5): 27–31. 2010년 6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3. Trudie A Goers;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partment of Surgery; Klingensmith, Mary E; Li Ern Chen; Sean C Glasgow (2008). 《The Washington manual of surgery》. Philadelphia: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ISBN 978-0-7817-7447-5. 
  14. onlinedictionary.datasegment.com > incarcerated 보관됨 2008-11-20 - 웨이백 머신 Citing: Webster 1913
  15. “Hiatal Hernia Symptoms, Causes And Relation To Acid Reflux And Heartburn”. 2008년 10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24일에 확인함. 
  16. “Hernia Causes”. 2010년 5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24일에 확인함. 
  17. Desarda MP (2003). “Surgical physiology of inguinal hernia repair—a study of 200 cases”. 《BMC Surg》 3: 2. doi:10.1186/1471-2482-3-2. PMC 155644. PMID 12697071. 
  18. “Archived copy”. 2017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23일에 확인함. 
  19. Effectiveness of mesh hernioplasty in incarcerated inguinal hernias. Kamtoh G, Pach R, Kibil W, Matyja A, Solecki R, Banas B, Kulig J. 2014 Sep;9(3):415-9. doi 10.5114/wiitm.2014.43080
  20. Sohail MR, Smilack JD (June 2004). “Hernia repair mesh-associated Mycobacterium goodii infection”. 《J. Clin. Microbiol.》 42 (6): 2858–60. doi:10.1128/JCM.42.6.2858-2860.2004. PMC 427896. PMID 15184492. 
  21. Fitzgibbons RJ, Jr; Forse, RA (2015년 2월 19일). “Clinical practice. Groin hernias in adult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2 (8): 756–63. doi:10.1056/NEJMcp1404068. PMID 25693015. 
  22.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Collaborators (2015년 8월 22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01 acute and chronic diseases and injuries in 188 countries,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386 (9995): 743–800. doi:10.1016/s0140-6736(15)60692-4. PMC 4561509. PMID 26063472. 
  23. GBD 2013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2014년 12월 17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385 (9963): 117–71. doi:10.1016/S0140-6736(14)61682-2. PMC 4340604. PMID 2553044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