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도스테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LR072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51번째 줄: 51번째 줄:
}}
}}
}}
}}
'''알도스테론'''({{lang|en|aldosterone}})은 [[부신]]의 [[부신겉질|겉질]]의 한 층인 [[사구대]]에서 만들어지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미네랄코르티코이드에 속한다.<ref>{{Cite journal|date=January 2016|title=Emerging Roles of the Mineralocorticoid Receptor in Pathology|journal=[[Pharmacol. Rev.|Pharmacological Reviews]]|volume=68|pages=49–75|doi=10.1124/pr.115.011106|pmid=26668301|vauthors=Jaisser F, Farman N|issue=1|doi-access=free}}</ref><ref>{{Cite book|title = Human anatomy & physiology|last1 = Marieb|first1 = Elaine Nicpon|publisher = Pearson|year = 2013|location = Boston|pages = 629, Question 14|last2 = Hoehn|first2 = Katja|edition = 9th|oclc = 777127809|chapter = Chapter 16}}</ref> [[집합관]]과 [[네프론]]의 [[원위세뇨관]]에서 일어나는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와 칼륨 이온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며,<ref name=":0" /> 이로 인해 간접적으로 체내 수분량, 혈압, [[혈액량]]에도 영향을 미친다.<ref name="Marieb">Marieb Human Anatomy & Physiology 9th edition, chapter:16, page:629, question number:14</ref> 알도스테론은 [[콩팥]], [[침샘]], [[땀샘]], [[잘록창자]] 등에서 나트륨을 보존하는 데에 필수적이며, 나트륨과 칼륨, 혈압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ref name=":0">{{Cite book|chapter-url=https://www.ncbi.nlm.nih.gov/books/NBK279079/|title=Endotext|last1=Arai|first1=Keiko|last2=Chrousos|first2=George P.|date=2000-01-01|publisher=MDText.com, Inc.|editor-last=De Groot|editor-first=Leslie J.|location=South Dartmouth (MA)|chapter=Aldosterone Deficiency and Resistance|pmid=25905305|editor2-last=Chrousos|editor2-first=George|editor3-last=Dungan|editor3-first=Kathleen|editor4-last=Feingold|editor4-first=Kenneth R.|editor5-last=Grossman|editor5-first=Ashley|editor6-last=Hershman|editor6-first=Jerome M.|editor7-last=Koch|editor7-first=Christian|editor8-last=Korbonits|editor8-first=Márta|editor9-last=McLachlan|editor9-first=Robert}}</ref> 조절되지 않는 알도스테론 분비는 병을 일으켜 [[심혈관질환]]과 [[콩팥병]] 발생에 기여할 수 있다.<ref>{{Cite journal|last1=Gajjala|first1=Prathibha Reddy|last2=Sanati|first2=Maryam|last3=Jankowski|first3=Joachim|date=2015-07-08|title=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of Chronic Kidney Disease with Diabetes Melli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s Its Comorbidities|journal=Frontiers in Immunology|volume=6|page=340|doi=10.3389/fimmu.2015.00340|issn=1664-3224|pmc=4495338|pmid=26217336|doi-access=free}}</ref> [[심장]]에서 분비되는 [[심방성 나트륨이뇨펩타이드]](ANP)와는 그 작용이 완전히 정반대이다.<ref name="Marieb"/>
'''알도스테론'''({{lang|en|aldosterone}})은 [[집합관]]과 [[네프론]]의 [[원위세뇨관]]에서 일어나는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와 칼륨 이온 의 방출을 증가시키는 [[호르몬]]이다. 이 [[호르몬]]은 혈액 양을 증가시켜 [[혈압]]을 높이기 때문에 알도스테론의 분비나 작용과정을 방해하는 약은 혈압을 낮추는데 쓰일 수 있다. 이런 [[고혈압]]과 관련된 약 중 하나인 [[스피로놀락톤|스피로노락톤]]은 알도스테론 수용체를 막아 혈압을 낮춘다. 알도스테론은 [[레닌 안지오텐신계]]의 일부분이다.


이 [[호르몬]]은 혈액 양을 증가시켜 [[혈압]]을 높이기 때문에 알도스테론의 분비나 작용과정을 방해하는 약은 혈압을 낮추는데 쓰일 수 있다. 이런 [[고혈압]]과 관련된 약 중 하나인 [[스피로놀락톤|스피로노락톤]]은 알도스테론 수용체를 막아 혈압을 낮춘다. 알도스테론은 [[레닌 안지오텐신계]]의 일부분이다.
알도스테론은 [[부신]]의 [[부신피질|피질]] 바깥층에서 생산되는 [[미네랄코르티코이드]]계의 노란색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다. [[애디슨병]]은 알도스테론의 활동이 감소된 경우이고, [[콘 증후군]]에서는 그 활동이 증가된 경우다. 이 호르몬은 1953년에 심슨과 타이트가 처음으로 분리했다.

[[애디슨병]]은 알도스테론의 활동이 감소된 경우이고, [[콘 증후군]]에서는 그 활동이 증가된 경우다. 이 호르몬은 1953년에 심슨과 타이트가 처음으로 분리했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2년 11월 22일 (화) 16:43 판

알도스테론
이름
IUPAC 이름
(8S,9S,10R,11S,13R,14S,17S)-11-hydroxy-17-(2-hydroxyacetyl)-10-methyl-3-oxo-1,2,6,7,8,9,11,12,14,15,16,17-dodecahydrocyclopenta[a]phenanthrene-13-carbaldehyde
별칭
Aldocorten; Aldocortin; Electrocortin; Reichstein X; 18-Aldocorticosterone; 18-Oxocorticosterone; 11β,21-Dihydroxy-3,20-dioxopregn-4-en-18-al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BI
ChEMBL
ChemSpider
DrugBank
ECHA InfoCard 100.000.128
KEGG
MeSH Aldosterone
UNII
  • InChI=1S/C21H28O5/c1-20-7-6-13(24)8-12(20)2-3-14-15-4-5-16(18(26)10-22)21(15,11-23)9-17(25)19(14)20/h8,11,14-17,19,22,25H,2-7,9-10H2,1H3/t14-,15-,16+,17-,19+,20-,21+/m0/s1 예
    Key: PQSUYGKTWSAVDQ-ZVIOFETBSA-N 예
  • InChI=1/C21H28O5/c1-20-7-6-13(24)8-12(20)2-3-14-15-4-5-16(18(26)10-22)21(15,11-23)9-17(25)19(14)20/h8,11,14-17,19,22,25H,2-7,9-10H2,1H3/t14-,15-,16+,17-,19+,20-,21+/m0/s1
    Key: PQSUYGKTWSAVDQ-ZVIOFETBBV
  • O=C(CO)[C@@H]4[C@@]3(C=O)C[C@H](O)[C@@H]2[C@@]1(/C(=C\C(=O)CC1)CC[C@H]2[C@@H]3CC4)C
성질
C21H28O5
몰 질량 360.450 g·mol−1
약리학
H02AA01 (WHO)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알도스테론(aldosterone)은 부신겉질의 한 층인 사구대에서 만들어지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미네랄코르티코이드에 속한다.[1][2] 집합관네프론원위세뇨관에서 일어나는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와 칼륨 이온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며,[3] 이로 인해 간접적으로 체내 수분량, 혈압, 혈액량에도 영향을 미친다.[4] 알도스테론은 콩팥, 침샘, 땀샘, 잘록창자 등에서 나트륨을 보존하는 데에 필수적이며, 나트륨과 칼륨, 혈압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조절되지 않는 알도스테론 분비는 병을 일으켜 심혈관질환콩팥병 발생에 기여할 수 있다.[5] 심장에서 분비되는 심방성 나트륨이뇨펩타이드(ANP)와는 그 작용이 완전히 정반대이다.[4]

호르몬은 혈액 양을 증가시켜 혈압을 높이기 때문에 알도스테론의 분비나 작용과정을 방해하는 약은 혈압을 낮추는데 쓰일 수 있다. 이런 고혈압과 관련된 약 중 하나인 스피로노락톤은 알도스테론 수용체를 막아 혈압을 낮춘다. 알도스테론은 레닌 안지오텐신계의 일부분이다.

애디슨병은 알도스테론의 활동이 감소된 경우이고, 콘 증후군에서는 그 활동이 증가된 경우다. 이 호르몬은 1953년에 심슨과 타이트가 처음으로 분리했다.

같이 보기

  1. Jaisser F, Farman N (January 2016). “Emerging Roles of the Mineralocorticoid Receptor in Pathology”. 《Pharmacological Reviews68 (1): 49–75. doi:10.1124/pr.115.011106. PMID 26668301. 
  2. Marieb, Elaine Nicpon; Hoehn, Katja (2013). 〈Chapter 16〉. 《Human anatomy & physiology》 9판. Boston: Pearson. 629, Question 14쪽. OCLC 777127809. 
  3. Arai, Keiko; Chrousos, George P. (2000년 1월 1일). 〈Aldosterone Deficiency and Resistance〉. De Groot, Leslie J.; Chrousos, George; Dungan, Kathleen; Feingold, Kenneth R.; Grossman, Ashley; Hershman, Jerome M.; Koch, Christian; Korbonits, Márta; McLachlan, Robert. 《Endotext》. South Dartmouth (MA): MDText.com, Inc. PMID 25905305. 
  4. Marieb Human Anatomy & Physiology 9th edition, chapter:16, page:629, question number:14
  5. Gajjala, Prathibha Reddy; Sanati, Maryam; Jankowski, Joachim (2015년 7월 8일).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of Chronic Kidney Disease with Diabetes Melli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s Its Comorbidities”. 《Frontiers in Immunology》 6: 340. doi:10.3389/fimmu.2015.00340. ISSN 1664-3224. PMC 4495338. PMID 26217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