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병: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그림 추가
잔글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문서를 번역하여 만듦
태그: nowiki 추가됨 [번역] [번역 2]
1번째 줄: 1번째 줄:
'''성병'''(Sexually Transmitted Disease, STD) 또는 '''성 매개 감염'''(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STI)은 [[인간의 성행위|성행위]], 특히 [[성교|질 성교]], [[항문 성교]], [[구강성교|구강 성교]] 등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을 의미한다.<ref name="WHO2014">{{웹 인용|url=https://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110/en/|제목=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STIs) Fact sheet N°110|날짜=November 2013|웹사이트=who.in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1125133056/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110/en/|보존날짜=25 November 2014|url-status=live|확인날짜=30 November 2014}}</ref><ref name="Women2017">{{웹 인용|url=https://www.womenshealth.gov/a-z-topics/sexually-transmitted-infections|제목=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날짜=2017-02-22|웹사이트=womenshealth.gov|언어=en|확인날짜=2017-12-08}}{{PD 저작물 표시}}</ref> 성병은 초기에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ref name="WHO2014" />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위험성이 매우 높다.<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RBEVsFmR2yQC&pg=PA418|제목=Medical microbiology|날짜=2013|판=7th|출판사=Mosby|위치=St. Louis, MO|쪽=418|isbn=978-0-323-08692-9|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1201070705/https://books.google.com/books?id=RBEVsFmR2yQC&pg=PA418|보존날짜=2015-12-01|url-status=live}}</ref><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pzQayLEQ5mQC&pg=PA245|제목=Mims' medical microbiology|성=Goering|이름=Richard V.|날짜=2012|판=5th|출판사=Saunders|위치=Edinburgh|쪽=245|isbn=978-0-7234-3601-0}}</ref> 성병의 증상과 징후에는 질 분비물, 음경 분비물, 생식기 또는 그 주변의 [[궤양]], 골반 통증 등이 있다.<ref name="WHO2014" /> 일부 성병은 [[불임]]을 유발할 수 있다.<ref name="WHO2014"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질병 정보 (신규)
| 병명 = 성병
| 동의어 = 성 매개 감염<br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STD), venereal diseases (VD)
}}
[[파일:4767454187 68968f755c bCondom.jpg|thumb]]
'''성병'''(性病, {{lang|en|sexually transmitted disease, STD 또는 venereal disease, VD}})는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동물]] 등의 성적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 [[질병]]이다. 접촉에는 [[질내 성교]], [[구강 성교]], [[항문 성교]]가 모두 포함된다. 최근에는 성 매개 감염(性媒介感染, {{lang|en|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STI}})이라는 더 광범위한 말도 쓰기 시작했다. 이는 병이 났다는 징후가 없이 다른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사 바늘]]을 통해 전염되는 성병도 있으며, [[출산]]을 통한 수직감염이나 [[모유 수유]]를 통해 전염되는 성병도 있다. 성병은 수백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세균성 성병에는 [[클라미디아 감염증]], [[임질]], [[매독]]이 있다.<ref name="WHO2014">{{웹 인용|url=https://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110/en/|제목=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STIs) Fact sheet N°110|날짜=November 2013|웹사이트=who.in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1125133056/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110/en/|보존날짜=25 November 2014|url-status=live|확인날짜=30 November 2014}}</ref> 바이러스성 성병에는 생식기 포진(생식기에 발병한 [[단순포진]]), [[후천면역결핍증후군|후천성면역결핍증]], 생식기 [[사마귀 (피부병)|사마귀]]가 있다.<ref name="WHO2014" /> 기생충성 성병에는 [[트리코모나스증]]이 있다.<ref name="WHO2014" />
성병은 대개 혈액 또는 점액의 접촉을 통해 전염되며, 성교가 이러한 혈액 및 점액의 접촉과 혼합이 일어날 수 있는 가장 흔한 경우이기에 성교를 통한 감염의 확률이 높은 것이지, 성교를 통해서만 전염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부 [[예방접종]]은 [[B형 간염 백신|B형 간염]] 및 일부 유형의 [[HPV 백신|HPV]]를 포함한 특정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ref name="CDC2013P" /> 성병에 감염될 확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콘돔]] 사용, 적은 수의 성교 파트너, 정해진 사람과의 성교 등 [[세이프 섹스]]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ref name="WHO2014">{{웹 인용|url=https://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110/en/|제목=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STIs) Fact sheet N°110|날짜=November 2013|웹사이트=who.in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1125133056/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110/en/|보존날짜=25 November 2014|url-status=live|확인날짜=30 November 2014}}</ref><ref name="CDC2013P">{{웹 인용|url=https://www.cdc.gov/std/prevention/default.htm|제목=How You Can Prevent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날짜=31 May 2016|웹사이트=cdc.gov|출판사=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1209015403/http://www.cdc.gov/std/prevention/default.htm|보존날짜=9 December 2014|url-status=live|확인날짜=13 December 2017}}{{CDC}}</ref> 종합적인 성교육도 유용하다.<ref>{{서적 인용|url=http://unesdoc.unesco.org/images/0026/002607/260770e.pdf|제목=International technical guidance on sexuality education: An evidence-informed approach|연도=2018|출판사=UNESCO|위치=Paris|쪽=28|isbn=978-92-3-100259-5}}</ref> 대부분의 성병은 치료가 가능하다. 가장 흔한 감염 중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 감염증, 트리코모나스증은 치료할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후천성면역결핍증은 치료할 수 없다.<ref name="WHO2014" />
== 외부 링크 ==
{{Medical condition classification and resources
| DiseasesDB = 27130
| ICD10 = {{ICD10|A|64||a|50}}
| ICD9 = {{ICD9|099.9}}
| ICDO =
| OMIM =
| MedlinePlus =
| eMedicineSubj =
| eMedicineTopic =
| MeshID = D012749
}}


2015년에는 약 11억 명이 후천성면역결핍증 이외의 성병에 감염되었다.<ref name="GBD2015Pre">{{저널 인용|제목=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저널=Lancet|날짜=October 2016|권=388|호=10053|쪽=1545–1602|doi=10.1016/S0140-6736(16)31678-6|pmc=5055577|pmid=27733282}}</ref> 약 5억 명이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 트리코모나스증에 감염되었다.<ref name="WHO2014">{{웹 인용|url=https://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110/en/|제목=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STIs) Fact sheet N°110|날짜=November 2013|웹사이트=who.in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1125133056/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110/en/|보존날짜=25 November 2014|url-status=live|확인날짜=30 November 2014}}</ref> 추가적으로 5억 3천만 명이 생식기 포진에 감염되었고, 2억 9천만 명의 여성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인유두종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다<ref name="WHO2014" /> 후천선면역결핍증 이외의 성병으로 인해 2015년에 108,000명이 사망했다.<ref name="GBD2015De">{{저널 인용|제목=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저널=Lancet|날짜=October 2016|권=388|호=10053|쪽=1459–1544|doi=10.1016/s0140-6736(16)31012-1|pmc=5388903|pmid=27733281}}</ref> 미국에서는 2010년에 1,900만 건의 새로운 성병이 발생했다.<ref name="CDC2012Cases">{{웹 인용|url=https://www.cdc.gov/std/stats10/trends.htm|제목=STD Trends in the United States: 2010 National Data for Gonorrhea, Chlamydia, and Syphilis|출판사=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909055432/http://www.cdc.gov/std/stats10/trends.htm|보존날짜=9 September 2012|url-status=live|확인날짜=15 September 2012}}</ref> 성병에 대한 역사적 문서는 적어도 기원전 1550년 경의 에버스 파피루스 와 [[구약성경|구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AnoGccgd7yQC&pg=PR20|제목=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성=Gross|이름=Gerd|성2=Tyring|이름2=Stephen K.|날짜=2011|출판사=Springer Verlag|위치=Heidelberg|쪽=20|isbn=978-3-642-14663-3|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924235232/https://books.google.com/books?id=AnoGccgd7yQC&pg=PR20|보존날짜=2015-09-24|url-status=live}}</ref> 종종 성병과 관련된 수치심과 [[사회 낙인|사회적 낙인]]이 있다.<ref name="WHO2014" /><ref name="WHO2003Term">{{서적 인용|url=http://applications.emro.who.int/aiecf/web79.pdf|제목=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날짜=2003|출판사=World Health Organization|위치=Geneva|쪽=vi|isbn=978-92-4-154626-3|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1208104249/http://applications.emro.who.int/aiecf/web79.pdf|보존날짜=2014-12-08|url-status=live}}</ref>
{{대한민국의 법정 감염병}}
{{전거 통제}}
{{토막글|의학|인간의 성}}


== 징후 및 증상 ==
[[분류:성병| ]]
모든 성병이 증상이 있는 것은 아니며 감염 직후에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질병이 증상 없이 옮겨질 수 있으며, 이는 질병을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더 큰 위험을 남긴다. 질병에 따라 일부 치료되지 않은 성병은 [[불임]], 만성 통증 또는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ref name="STI video">{{웹 인용|url=http://sexperienceuk.channel4.com/education/about/male-sti-check-up|제목=Male STI check-up video|연도=2008|출판사=Channel 4|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90123014007/http://sexperienceuk.channel4.com/education/about/male-sti-check-up|보존날짜=2009-01-23|url-status=live|확인날짜=2009-01-22}}</ref>
[[분류:감염병]]

사춘기 이전 아동에게 성병이 있다는 것은 [[성적 학대]]를 시사할 수도 있다.

== 원인 ==

=== 전염 ===
임산부에게 존재하는 성병은 출생 전이나 후에 [[영아]]에게 전염될 수 있다.<ref>{{저널 인용|제목=Elective cesarean section for women living with HIV: a systematic review of risks and benefits|저널=AIDS|날짜=July 2017|권=31|호=11|쪽=1579–1591|doi=10.1097/QAD.0000000000001535|pmc=5491238|pmid=28481770}}</ref>
{| class="wikitable" style="float: text-align:center"
! colspan="3" style="background:lightgrey; font-size:120%;" |감염자와 안전하지 못한 성행위 시의 위험 요소들<ref name="Edwards_and_Carn">{{저널 인용|제목=Oral sex and transmission of non-viral STIs|저널=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날짜=April 1998|권=74|호=2|쪽=95–100|doi=10.1136/sti.74.2.95|pmc=1758102|pmid=9634339}}</ref><ref name="Johns_Hopkins">{{웹 인용|url=http://www.hopkinsmedicine.org/news/media/releases/hpv_infection_linked_to_throat_cancers|제목=HPV Infection Linked to Throat Cancers|성=Gillisons|이름=Maura|연도=2007|웹사이트=Johns Hopkins Medicin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906193559/http://www.hopkinsmedicine.org/news/media/releases/hpv_infection_linked_to_throat_cancers|보존날짜=2013-09-06|url-status=live}}</ref><ref name="Varghese">{{저널 인용|제목=Reducing the risk of sexual HIV transmission: quantifying the per-act risk for HIV on the basis of choice of partner, sex act, and condom use|저널=Sexually Transmitted Diseases|url=https://zenodo.org/record/1234824|날짜=January 2002|권=29|호=1|쪽=38–43|doi=10.1097/00007435-200201000-00007|pmid=11773877}}</ref><ref name="Holmes_et_al">{{저널 인용|제목=An estimate of the risk of men acquiring gonorrhea by sexual contact with infected females|저널=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날짜=February 1970|권=91|호=2|쪽=170–4|doi=10.1093/oxfordjournals.aje.a121125|pmid=5416250}}</ref><ref name="Mahiane_et_al">{{저널 인용|제목=Transmission probabilities of HIV and herpes simplex virus type 2, effect of male circumcision and interaction: a longitudinal study in a township of South Africa|저널=AIDS|날짜=January 2009|권=23|호=3|쪽=377–383|doi=10.1097/QAD.0b013e32831c5497|pmc=2831044|pmid=19198042|저자표시=6}}</ref><ref name="Burchell_et_al">{{저널 인용|제목=Modeling the sexual transmissibility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using stochastic computer simulation and empirical data from a cohort study of young women in Montreal, Canada|저널=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날짜=March 2006|권=163|호=6|쪽=534–43|doi=10.1093/aje/kwj077|pmid=16421235|저자표시=6}}</ref><ref name="Platt_et_al">{{저널 인용|제목=Risk of acquiring gonorrhea and prevalence of abnormal adnexal findings among women recently exposed to gonorrhea|저널=JAMA|날짜=December 1983|권=250|호=23|쪽=3205–9|doi=10.1001/jama.250.23.3205|pmid=6417362}}</ref><ref name="Jin_et_al">{{저널 인용|제목=Per-contact probability of HIV transmission in homosexual men in Sydney in the era of HAART|저널=AIDS|날짜=March 2010|권=24|호=6|쪽=907–13|doi=10.1097/QAD.0b013e3283372d90|pmc=2852627|pmid=20139750|저자표시=6}}</ref><ref name="bryan">{{웹 인용|url=http://pathmicro.med.sc.edu/infectious%20disease/sexually%20transmitted%20diseases.htm|제목=Infectious Disease Chapter Eight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성=Bryan|이름=Charles|연도=2011|웹사이트=Microbiology and Immunology On-line|출판사=University of South Carolina School of Medicin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624073420/http://pathmicro.med.sc.edu/infectious%20disease/sexually%20transmitted%20diseases.htm|보존날짜=2014-06-24}}</ref><ref name="Merck_Manual">{{웹 인용|url=http://www.merckmanuals.com/home/infections/parasitic_infections/pinworm_infection.html|제목=Pinworm Infection|성=Pearson|이름=Richard|연도=2007|웹사이트=Merck Manual Home Health Handbook|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31231313/http://www.merckmanuals.com/home/infections/parasitic_infections/pinworm_infection.html|보존날짜=2013-10-31|url-status=live}}</ref>
|-
|
! scope="col" |알려진 위험성
! scope="col" |가능성
|-
! scope="row" |구강 성교를 하는 여성
|
* [[클라미디아 감염증|클라미디아 감염증 (목)]]<ref name="Edwards_and_Carn" />
* [[임질|임질 (목)]]<ref name="Edwards_and_Carn" /> (25~30%)
* [[단순포진]] (매우 낮음)
*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인유두종 바이러스]]<ref name="Johns_Hopkins" />
* [[매독]]<ref name="Edwards_and_Carn" /> (1%)<ref name="Hoare" />
|
* [[B형 간염]] (낮은 위험성)<ref name="ashm" />
*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0.01%)<ref name="Varghese" />
* [[C형 간염]] (알려지지 않음)
|-
! scope="row" |구강 성교를 하는 남성
|
* [[단순포진]]
*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인유두종 바이러스]]<ref name="Johns_Hopkins" />
|
* [[임질|임질 (목)]]<ref name="Edwards_and_Carn" />
* [[클라미디아 감염증|클라미디아 감염증 (목)]]<ref name="Edwards_and_Carn" />
|-
! scope="row" |구강 성교를 받는 여성
|
* [[클라미디아 감염증]]
* [[임질]]<ref name="Edwards_and_Carn" />
* [[단순포진]]
* [[매독]]<ref name="Edwards_and_Carn" /> (1%)<ref name="Hoare" />
|
*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인유두종 바이러스]]
|-
! scope="row" |구강 성교를 받는 남성
|
* [[단순포진]]
|
*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인유두종 바이러스]]
* [[세균성 질염]]<ref name="Edwards_and_Carn" />
* [[임질]]<ref name="Edwards_and_Carn" />
|-
! scope="row" |성교 (남성)
|
* [[클라미디아 감염증]] (30~50%)<ref name="ashm" />
* [[사면발니]]
* [[옴 (질병)|옴]]
* [[임질]] (22%)<ref name="Holmes_et_al" />
* [[B형 간염]]
* [[단순포진]] (0.07%)<ref name="Mahiane_et_al" />
*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0.05%)<ref name="Varghese" /><ref name="Mahiane_et_al" />
*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인유두종 바이러스]] (40–50%)<ref name="Burchell_et_al" />
* ''Mycoplasma hominis'' 감염<ref name="CainiGandini2014">{{저널 인용|제목=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and prostate cance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저널=Cancer Epidemiology|날짜=August 2014|권=38|호=4|쪽=329–38|doi=10.1016/j.canep.2014.06.002|pmid=24986642}}</ref><ref name="Ljubin-SternakMeštrović2014">{{저널 인용|제목=Chlamydia trachomatis and Genital Mycoplasmas: Pathogens with an Impact on Human Reproductive Health|저널=Journal of Pathogens|연도=2014|권=2014|쪽=183167|doi=10.1155/2014/183167|pmc=4295611|pmid=25614838}}</ref><ref name="SchlichtLovrich2004">{{저널 인용|제목=High prevalence of genital mycoplasmas among sexually active young adults with urethritis or cervicitis symptoms in La Crosse, Wisconsin|저널=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날짜=October 2004|권=42|호=10|쪽=4636–40|doi=10.1128/JCM.42.10.4636-4640.2004|pmc=522307|pmid=15472322}}</ref><ref name="McIverRismanto2009">{{저널 인용|제목=Multiplex PCR testing detection of higher-than-expected rates of cervical mycoplasma, ureaplasma, and trichomonas and viral agent infections in sexually active australian women|저널=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날짜=May 2009|권=47|호=5|쪽=1358–63|doi=10.1128/JCM.01873-08|pmc=2681846|pmid=19261782|저자표시=6}}</ref><ref name=":0">{{뉴스 인용|url=http://www.webmd.com/a-to-z-guides/mycoplasma-infections#2|제목=Mycoplasma Infections|뉴스=WebMD|언어=en-U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0730025112/http://www.webmd.com/a-to-z-guides/mycoplasma-infections#2|보존날짜=2017-07-30|url-status=live|확인날짜=2017-06-29}}</ref>
* ''Mycoplasma genitalium'' 감염<ref>{{웹 인용|url=https://www.cdc.gov/std/tg2015/urethritis-and-cervicitis.htm|제목=Diseases Characterized by Urethritis and Cervicitis – 2015 STD Treatment Guidelines|웹사이트=www.cdc.gov|확인날짜=8 December 2017}}</ref><ref>{{저널 인용|제목=Mycoplasma genitalium infection and female reproductive tract disease: a meta-analysis|저널=Clinical Infectious Diseases|날짜=August 2015|권=61|호=3|쪽=418–26|doi=10.1093/cid/civ312|pmid=25900174}}</ref><ref>{{저널 인용|제목=Mycoplasma genitalium in Women: Current Knowledge and Research Priorities for This Recently Emerged Pathogen|저널=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날짜=July 2017|권=216|호=suppl_2|쪽=S389–S395|doi=10.1093/infdis/jix198|pmc=5853983|pmid=28838078}}</ref>
* [[매독]]
* [[트리코모나스증]]
* ''Ureaplasma'' 감염<ref name="ClarkTal2014">{{저널 인용|제목=Microbiota and pelvic inflammatory disease|저널=Seminars in Reproductive Medicine|날짜=January 2014|권=32|호=1|쪽=43–9|doi=10.1055/s-0033-1361822|pmc=4148456|pmid=24390920}}</ref><ref name="LarsenHwang2010">{{저널 인용|제목=Mycoplasma, Ureaplasma,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a fresh look|저널=Infectious Diseases in Obstetrics and Gynecology|연도=2010|권=2010|쪽=1–7|doi=10.1155/2010/521921|pmc=2913664|pmid=20706675}}</ref><ref name=":0" />
|
* [[C형 간염]]
|-
! scope="row" |성교 (여성)
|
* [[클라미디아 감염증]] (30~50%)<ref name="ashm" />
* [[사면발니]]
* [[옴 (질병)|옴]]
* [[임질]] (47%)<ref name="Platt_et_al" />
* [[B형 간염]] (50–70%)
* [[단순포진]]
*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0.1%)<ref name="Varghese" />
*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인유두종 바이러스]] (40~50%)<ref name="ashm" /><ref name="Burchell_et_al" />
* ''Mycoplasma hominis'' 감염<ref name="CainiGandini2014" /><ref name="Ljubin-SternakMeštrović2014" /><ref name=":0" />
* [[매독]]
* [[트리코모나스증]]
* Ureaplasma 감염<ref name="ClarkTal2014" /><ref name="LarsenHwang2010" /><ref name=":0" />
|
* [[C형 간염]]
|-
! scope="row" |항문 성교 (삽입)
|
* [[클라미디아 감염증]]
* [[사면발니]]
* [[옴 (질병)|옴]] (40%)
* [[임질]]
* [[B형 간염]]
* [[단순포진]]
*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0.62%)<ref name="Jin_et_al" />
*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인유두종 바이러스]]
* [[매독]] (14%)<ref name="Hoare" />
|
* [[C형 간염]]
|-
! scope="row" |항문 성교 (피삽입)
|
* [[클라미디아 감염증]]
* [[사면발니]]
* [[옴 (질병)|옴]]
* [[임질]]
* [[B형 간염]]
* [[단순포진]]
*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1.7%)<ref name="Jin_et_al" />
*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인유두종 바이러스]]
* [[매독]] (1.4%)<ref name="Hoare" />
|
* [[C형 간염]]
|-
! scope="row" |[[애닐링구스]]
|
* [[아메바증]]
* 크립토스포리디움증 (1%)
* 람블편모충 감염<ref>
{{웹 인용|url=https://www.cdc.gov/parasites/giardia/epi.html|제목=Giardia, Epidemiology & Risk Factors|날짜=July 13, 2012|출판사=Center For Disease Control|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502190654/http://www.cdc.gov/parasites/giardia/epi.html|보존날짜=May 2, 2015|url-status=live|확인날짜=2015-07-03}}
</ref>
* [[A형 간염]]<ref>
{{웹 인용|url=https://www.cdc.gov/hepatitis/hav/afaq.htm#transmission|제목=Hepatitis A, Division of Viral Hepatitis|날짜=May 31, 2015|출판사=Center For Disease Control|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704130424/http://www.cdc.gov/hepatitis/hav/afaq.htm#transmission|보존날짜=July 4, 2015|url-status=live|확인날짜=2015-07-03}}</ref> (1%)
* 시겔라증<ref>
{{웹 인용|url=https://www.cdc.gov/shigella/msm.html|제목=''Shigella'' Infections among Gay & Bisexual Men|날짜=April 23, 2015|출판사=Center For Disease Control|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704130110/http://www.cdc.gov/shigella/msm.html|보존날짜=July 4, 2015|url-status=live|확인날짜=2015-07-03}}</ref> (1%)
|
*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인유두종 바이러스]] (1%)
|}

=== 세균 ===

* [[연성하감]] (Chancroid, ''Haemophilus ducreyi'' )<ref>{{뉴스 인용|url=https://www.lecturio.com/concepts/chancroid/|제목=Chancroid|뉴스=Lecturio|확인날짜=27 August 2021}}</ref>
* [[클라미디아 감염증|클라미디아]] (Chlamydia, ''Chlamydia trachomatis'')<ref>{{웹 인용|url=https://www.lecturio.com/concepts/chlamydia/|제목=Chlamydia|웹사이트=The Lecturio Medical Concept Library|확인날짜=27 August 2021}}</ref>
* [[임질]] (''Neisseria gonorrhoeae'')<ref>{{웹 인용|url=https://www.lecturio.com/concepts/gonorrhea/|제목=Gonorrhea|웹사이트=The Lecturio Medical Concept Library|확인날짜=27 August 2021}}</ref>
* 사타구니 육아종 (''Klebsiella granulomatis'')<ref>{{저널 인용|제목=Donovanosis|저널=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성=O’Farrell|이름=N|날짜=2002|권=78|호=6|쪽=452–7|doi=10.1136/sti.78.6.452|pmc=1758360|pmid=12473810}}</ref>
* ''Mycoplasma genitalium''<ref name="Ljubin-SternakMeštrović2014">{{저널 인용|제목=Chlamydia trachomatis and Genital Mycoplasmas: Pathogens with an Impact on Human Reproductive Health|저널=Journal of Pathogens|연도=2014|권=2014|쪽=183167|doi=10.1155/2014/183167|pmc=4295611|pmid=25614838}}</ref><ref name="ZareiRezania2013">{{저널 인용|제목=Mycoplasma genitalium and cancer: a brief review|저널=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연도=2013|권=14|호=6|쪽=3425–8|doi=10.7314/APJCP.2013.14.6.3425|pmid=23886122}}</ref><ref name="ManchesterMcGowin2011">{{저널 인용|제목=Mycoplasma genitalium: an emerging cause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in women|저널=PLOS Pathogens|날짜=May 2011|권=7|호=5|쪽=e1001324|doi=10.1371/journal.ppat.1001324|pmc=3102684|pmid=21637847}}</ref><ref>{{저널 인용|제목=Recent perspectives in the diagnosis and evidence-based treatment of Mycoplasma genitalium|저널=Expert Review of Anti-Infective Therapy|날짜=April 2012|권=10|호=4|쪽=487–99|doi=10.1586/eri.12.20|pmid=22512757}}</ref>
* ''Mycoplasma hominis''<ref name="CainiGandini2014">{{저널 인용|제목=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and prostate cance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저널=Cancer Epidemiology|날짜=August 2014|권=38|호=4|쪽=329–38|doi=10.1016/j.canep.2014.06.002|pmid=24986642}}</ref><ref name="Ljubin-SternakMeštrović2014" /><ref name="SchlichtLovrich2004">{{저널 인용|제목=High prevalence of genital mycoplasmas among sexually active young adults with urethritis or cervicitis symptoms in La Crosse, Wisconsin|저널=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날짜=October 2004|권=42|호=10|쪽=4636–40|doi=10.1128/JCM.42.10.4636-4640.2004|pmc=522307|pmid=15472322}}</ref><ref name="McIverRismanto2009">{{저널 인용|제목=Multiplex PCR testing detection of higher-than-expected rates of cervical mycoplasma, ureaplasma, and trichomonas and viral agent infections in sexually active australian women|저널=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날짜=May 2009|권=47|호=5|쪽=1358–63|doi=10.1128/JCM.01873-08|pmc=2681846|pmid=19261782|저자표시=6}}</ref><ref>{{저널 인용|제목=Infections due to species of Mycoplasma and Ureaplasma: an update|저널=Clinical Infectious Diseases|날짜=October 1996|권=23|호=4|쪽=671–82; quiz 683–4|doi=10.1093/clinids/23.4.671|jstor=4459713|pmid=8909826}}</ref>
* [[매독]] (''Treponema pallidum'')<ref>{{웹 인용|url=https://www.lecturio.com/concepts/syphilis/|제목=Syphilis|웹사이트=The Lecturio Medical Concept Library|확인날짜=27 August 2021}}</ref>
* ''Ureaplasma''<ref name="ClarkTal2014">{{저널 인용|제목=Microbiota and pelvic inflammatory disease|저널=Seminars in Reproductive Medicine|날짜=January 2014|권=32|호=1|쪽=43–9|doi=10.1055/s-0033-1361822|pmc=4148456|pmid=24390920}}</ref><ref name="LarsenHwang2010">{{저널 인용|제목=Mycoplasma, Ureaplasma,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a fresh look|저널=Infectious Diseases in Obstetrics and Gynecology|연도=2010|권=2010|쪽=1–7|doi=10.1155/2010/521921|pmc=2913664|pmid=20706675}}</ref>

=== 바이러스 ===
[[파일:Herpes_simplex_virus_pap_test.jpg|섬네일| 헤르페스의 바이러스 세포 변성 효과를 보여주는 현미경 사진]]

* [[바이러스성 간염]] ([[B형 간염 바이러스]]) : 타액, 생식기 분비물<br /><br /><br /><br /><nowiki></br></nowiki> (참고: [[A형 간염]]과 [[E형 간염]]은 [[대변-구강 경로]]를 통해 전염되며, [[C형 간염]]은 거의 성적으로 전염되지 않으며<ref name="Workowski">{{저널 인용|제목=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treatment guidelines, 2006|저널=MMWR. Recommendations and Reports|url=https://www.cdc.gov/mmwr/preview/mmwrhtml/rr5511a1.htm|날짜=August 2006|권=55|호=RR-11|쪽=1–94|pmid=16888612}}</ref>, [[D형 간염]]의 전염 경로는 불확실하지만 성행위를 포함할 수 있음<ref>{{저널 인용|제목=Evidence of transmission of hepatitis D virus to spouses from sequence analysis of the viral genome|저널=Hepatology|날짜=December 1995|권=22|호=6|쪽=1656–60|doi=10.1002/hep.1840220607|pmid=7489970}}</ref><ref>{{저널 인용|제목=Delta hepatitis: an update|저널=Journal of Hepatology|연도=2003|권=39 Suppl 1|호=Suppl 1|쪽=S212-9|doi=10.1016/S0168-8278(03)00331-3|pmid=14708706}}</ref><ref>{{저널 인용|제목=Hepatitis B virus infection: co-infection with hepatitis C virus, hepatitis D virus, an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저널=Clinics in Liver Disease|날짜=May 2004|권=8|호=2|쪽=445–60, viii|doi=10.1016/j.cld.2004.02.005|pmid=15481349}}</ref>)
* [[단순포진]]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1, 2) : [[피부]] 및 [[점막]], 눈에 보이는 수포가 있거나 없이 전염 가능
*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 생식기 분비물, [[정액]], [[모유]], [[혈액]]
*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인유두종 바이러스]] : 피부 및 점막 접촉으로 발생, 고위험 유형의 HPV는 거의 모든 [[자궁경부암]]과 일부 [[항문암]], [[음경암]] 암 및 외음부암을 유발함.<ref>{{저널 인용|제목=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at a Time of Changing Sexual Behavior|저널=Emerging Infectious Diseases|날짜=January 2016|권=22|호=1|쪽=18–23|언어=en-us|doi=10.3201/eid2201.150791|pmc=4696692|pmid=26691673}}</ref> 일부 다른 유형의 HPV는 생식기 사마귀를 유발함
* 전염성 연체동물 : 밀접 접촉 <ref>{{웹 인용|url=https://www.lecturio.com/concepts/molluscum-contagiosum/|제목=Molluscum Contagiosum|웹사이트=The Lecturio Medical Concept Library|확인날짜=27 August 2021}}</ref>
* [[지카바이러스]]<ref>{{웹 인용|url=https://www.cdc.gov/zika/hc-providers/clinical-guidance/sexualtransmission.html|제목=Zika Virus|날짜=5 November 2014|웹사이트=CDC|언어=en-us|확인날짜=22 May 2020}}</ref>

=== 기생충 ===

* 사면발니 : 감염 빛 동반되는 염증을 [[음모슬증]]이라고 함<ref>{{서적 인용|제목=Williams gynecology|날짜=2012|판=2nd|출판사=McGraw-Hill Medical|위치=New York|기타=Hoffman, Barbara L., Williams, J. Whitridge|isbn=978-0-07-171672-7|oclc=779244257}}</ref><ref>{{웹 인용|url=https://www.cdc.gov/parasites/lice/index.html|제목=CDC - Lice|날짜=2017-05-02|출판사=CDC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언어=en-us|확인날짜=2017-12-04}}{{PD 저작물 표시}}</ref><ref>{{웹 인용|url=https://www.cdc.gov/parasites/lice/pubic/index.html|제목=Lice: Pubic|성=Prevention|이름=CDC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날짜=2017-05-02|웹사이트=www.cdc.gov|언어=en-us|확인날짜=2017-12-04}}{{PD 저작물 표시}}</ref>
* [[옴 (질병)|옴]] (''Sarcoptes scabiei'')
* [[트리코모나스증|트리코모나스]] (''Trichomonas vaginalis'')

=== 주요 유형 ===
성병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클라미디아 감염증|클라미디아]]는 ''Chlamydia trachomatis''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이다. 여성의 경우 증상에는 비정상적인 질 분비물, 배뇨 중 작열감, 생리 주기 사이의 출혈이 포함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여성은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ref name="King, B. 2009">King, B. (2009). Human Sexuality Today (Sixth ed.). Upper Saddle River: Pearson Education, Inc.</ref> 남성의 증상에는 배뇨 시 통증과 [[음경]]에서 비정상적인 분비물이 보인다.<ref>{{웹 인용|url=https://www.nlm.nih.gov/medlineplus/chlamydiainfections.html|제목=Chlamydia Infections: MedlinePlus|출판사=Nlm.nih.gov|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702144024/http://www.nlm.nih.gov/medlineplus/chlamydiainfections.html|보존날짜=2013-07-02|url-status=live|확인날짜=2013-06-30}}</ref>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치료하지 않으면 클라미디아가 [[요로감염증|요로]]를 감염시켜 잠재적으로 [[골반염]](PID)을 유발할 수 있다. PID는 임신 중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심지어 [[불임]]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것은 여성이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자궁외임신]]을 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난자]]가 자궁 외부에 착상된다. 그러나 클라미디아는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다.
* 헤르페스의 가장 흔한 두 가지 형태는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HSV)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HSV-1은 일반적으로 구강으로 획득되어 [[단순포진]]을 유발하고, HSV-2는 일반적으로 성적 접촉 중에 획득되어 생식기에 영향을 미치지만, 두 계통은 어느 쪽 부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webmd.com/genital-herpes/guide/genital-herpes-basics|제목=The Basics of Genital Herpe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922132912/http://www.webmd.com/genital-herpes/guide/genital-herpes-basics|보존날짜=2014-09-22|url-status=live}}</ref> 어떤 사람들은 무증상이거나 매우 가벼운 증상을 보인다.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노출 후 2~20일이 지나면 2~4주 동안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에는 작은 액체로 가득 찬 물집, 두통, 요통, 생식기 또는 항문 부위의 가려움증 또는 따끔거림, 배뇨 중 통증, 독감 유사 증상, 땀샘 부기 또는 열이 포함될 수 있다. 헤르페스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과의 피부 접촉을 통해 전염된다. 바이러스는 몸에 들어온 부위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키스]], [[성교|질 성교]], [[구강 성교]] 또는 [[항문 성교]]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바이러스는 눈에 보이는 증상이 있을 때 가장 전염성이 높지만 무증상인 사람도 피부 접촉을 통해 바이러스를 퍼뜨릴 수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avert.org/herpes.htm|제목=Herpes|출판사=Avert.org|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704200815/http://www.avert.org/herpes.htm|보존날짜=2013-07-04|url-status=live|확인날짜=2013-06-30}}</ref> 신체에 [[항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초기 감염 및 증상은 일반적으로 가장 심각하다. 1차 공격 후에는 더 가벼운 공격이 반복되거나 향후 공격이 없을 수도 있다. 질병에 대한 치료법은 없지만 증상을 치료하고 전염 위험을 낮추는 항바이러스제가 있다. HSV-1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의 구강 버전이고 HSV-2는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의 생식기 버전이지만, HSV-1을 가진 사람은 구강으로 해당 바이러스를 파트너에게 생식기로 전달할 수 있다. 두 유형의 바이러스는 척추 상단의 신경 다발에 정착하여 구강에서 발병하거나 척추 기저의 두 번째 신경 다발에 정착하여 생식기에서 발병한다.
*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인유두종 바이러스]](HPV)는 미국에서 가장 흔한 성병이다.<ref>{{웹 인용|url=http://familydoctor.org/familydoctor/en/diseases-conditions/human-papillomavirus-hpv.html|제목=Human Papillomavirus (HPV) &#124; Overview|날짜=2010-12-01|출판사=FamilyDoctor.org|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703081608/http://familydoctor.org/familydoctor/en/diseases-conditions/human-papillomavirus-hpv.html|보존날짜=2013-07-03|url-status=live|확인날짜=2013-06-30}}</ref> HPV에는 40가지 이상의 다른 종류가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건강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90%의 경우 신체의 면역 체계는 2년 이내에 자연적으로 감염을 제거한다.<ref>{{웹 인용|url=https://www.cdc.gov/std/hpv/stdfact-hpv.htm|제목=STD Facts – Human papillomavirus (HPV)|출판사=cdc.gov|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628022801/http://www.cdc.gov/std/HPV/STDFact-HPV.htm|보존날짜=2013-06-28|url-status=live|확인날짜=2013-06-30}}</ref> 하지만 일부 사례는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생식기 사마귀(성기 주변의 돌기로서 작거나 크거나, 융기되거나 평평하거나, 콜리플라워 모양) 또는 [[자궁경부암]] 및 기타 HPV 관련 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증상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여성이 암을 확인하고 치료하기 위해 자궁경부 세포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자궁경부암을 유발하는 HPV 유형을 예방하는 두 가지 남성 및 여성 백신도 있다. HPV는 구강 성교뿐만 아니라 생식기와 생식기 접촉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 감염된 파트너는 증상이 없을 수 있다.
* [[임질]]은 요도, 질, 직장, 입, 목구멍 및 눈의 습한 점막에 사는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감염은 음경, 질, 입 또는 항문과의 접촉을 통해 퍼질 수 있다. 임질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감염된 파트너와 접촉한 후 2~5일 후에 나타나지만 일부 남성은 최대 한 달 동안 증상을 느끼지 못할 수 있다. 남성의 증상으로는 배뇨 시 작열감 및 통증, 빈뇨 증가, 음경 분비물(흰색, 녹색 또는 노란색), 요도가 붉거나 부어오름, 고환이 붓거나 압통, 인후통 등이 있다. 여성의 증상에는 질 분비물, 배뇨 시 작열감 또는 가려움증, 성교 시 통증, 하복부의 심한 통증(감염이 [[나팔관]]으로 퍼진 경우) 또는 발열(감염이 나팔관으로 퍼진 경우)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여성들이 어떤 증상도 나타내지 않았다. <ref>{{메드라인플러스|007267|Gonorrhea}}</ref> 임질의 항생제 내성 균주는 중요한 문제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기존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다.

[[파일:SyphilistischeZiekten.jpg|오른쪽|섬네일| 2차 매독]]

* [[매독]]은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이다. 치료하지 않으면 합병증과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ref>{{웹 인용|url=https://www.cdc.gov/std/syphilis/stdfact-syphilis.htm|제목=STD Facts – Syphilis|출판사=cdc.gov|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211181644/http://www.cdc.gov/std/syphilis/stdfact-syphilis.htm|보존날짜=2013-02-11|url-status=live|확인날짜=2013-02-18}}</ref> 매독의 임상 증상에는 비뇨 생식기 관, 입 또는 직장의 궤양이 포함된다. 치료하지 않으면 증상이 악화된다. 최근 몇 년 동안 매독의 유병률은 서유럽에서 감소했지만 동유럽(구 소련 국가)에서는 증가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who.int/docstore/hiv/GRSTI/005.htm|제목=Syphilis|출판사=Who.in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61030205556/http://www.who.int/docstore/hiv/GRSTI/005.htm|보존날짜=2006-10-30|url-status=dead|확인날짜=2013-02-18}}</ref><ref name="ClementOkeke2014">{{저널 인용|제목=Treatment of syphilis: a systematic review|저널=JAMA|날짜=November 2014|권=312|호=18|쪽=1905–17|doi=10.1001/jama.2014.13259|pmc=6690208|pmid=25387188}}</ref>
* [[트리코모나스증]]은 ''Trichomonas vaginalis''라고 하는 원생동물 기생충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흔한 성병이다.<ref>{{웹 인용|url=https://www.cdc.gov/std/trichomonas/stdfact-trichomoniasis.htm|제목=STD Facts – Trichomoniasis|출판사=Cdc.gov|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219210323/http://www.cdc.gov/std/trichomonas/STDFact-Trichomoniasis.htm|보존날짜=2013-02-19|url-status=live|확인날짜=2013-02-18}}</ref> 트리코모나스증은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증상은 여성에게 더 흔하다.<ref>{{웹 인용|url=https://www.nlm.nih.gov/medlineplus/trichomoniasis.html|제목=Trichomoniasis: MedlinePlus|출판사=Nlm.nih.gov|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302033550/http://www.nlm.nih.gov/medlineplus/trichomoniasis.html|보존날짜=2013-03-02|url-status=live|확인날짜=2013-02-18}}</ref> 대부분의 환자는 매우 효과적인 [[메트로니다졸]]이라는 항생제로 치료한다.<ref>{{웹 인용|url=http://www.nhs.uk/conditions/trichomonas_vaginalis/Pages/Introduction.aspx|제목=Trichomoniasis – NHS Choices|날짜=27 February 2012|출판사=Nhs.uk|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211095944/http://www.nhs.uk/conditions/trichomonas_vaginalis/Pages/Introduction.aspx|보존날짜=11 February 2013|url-status=live|확인날짜=2013-02-18}}</ref>
*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는 신체의 면역 체계를 손상시켜 질병을 유발하는 물질과 싸우는 능력을 방해한다. 이 [[바이러스]]는 다양한 감염과 싸우는 데 도움이 되는 백혈구인 [[CD4]] 세포를 죽인다. HIV는 체액을 통해 운반되며 성행위를 통해 전염된다. 또한 감염된 혈액과의 접촉, 모유 수유, 출산 및 임신 중 엄마에게서 아이로 전염될 수 있다. <ref>{{웹 인용|url=http://www.mayoclinic.com/health/hiv-aids/DS00005|제목=HIV/AIDS|날짜=2012-08-11|출판사=Mayo Clinic.com|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703100900/http://www.mayoclinic.com/health/hiv-aids/DS00005|보존날짜=2013-07-03|url-status=live|확인날짜=2013-06-30}}</ref> HIV가 가장 진행된 단계에 있을 때 개인은 [[후천면역결핍증후군|AIDS]]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가 있다고 합니다. <ref>{{웹 인용|url=http://www.avert.org/aids.htm|제목=AIDS|출판사=Avert.org|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704193504/http://www.avert.org/aids.htm|보존날짜=2013-07-04|url-status=live|확인날짜=2013-06-30}}</ref> HIV 감염의 진행 단계는 다양합니다. 단계에는 [[HIV/AIDS의 증상|1차 감염]], 무증상 감염, 증상 감염 및 AIDS가 포함됩니다. 1차 감염 단계에서 개인은 약 2주 동안 독감과 유사한 증상(두통, 피로, 발열, 근육통)을 겪습니다. 무증상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증상이 사라지고 환자는 수년간 무증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HIV가 증상 단계로 진행되면 면역 체계가 약해지고 CD4+ [[T세포|T 세포]] 의 세포 수가 적습니다. HIV 감염이 생명을 위협할 때 이를 AIDS라고 합니다. AIDS에 걸린 사람들은 기회 감염의 먹이가 되고 결과적으로 사망합니다. <ref name="King, B. 2009">King, B. (2009). Human Sexuality Today (Sixth ed.). Upper Saddle River: Pearson Education, Inc.</ref> 이 질병이 1980년대에 처음 발견되었을 때, AIDS에 걸린 사람들은 몇 년 이상 살 가능성이 없었습니다. 현재 HIV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ARV)이 있습니다. HIV나 AIDS에 대한 알려진 치료법은 없지만 약물은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체내의 바이러스 양을 억제함으로써 사람들은 더 길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 수치가 낮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퍼뜨릴 수 있습니다. <ref>{{웹 인용|url=https://www.niaid.nih.gov/topics/hivaids/understanding/treatment/pages/default.aspx|제목=HIV/AIDS Treatment|날짜=2009-06-03|출판사=Niaid.nih.gov|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703101033/http://www.niaid.nih.gov/topics/hivaids/understanding/treatment/pages/default.aspx|보존날짜=2013-07-03|url-status=live|확인날짜=2013-06-30}}</ref>
[[분류:RTT]]
[[분류:성병]]

2022년 6월 22일 (수) 15:11 판

성병(Sexually Transmitted Disease, STD) 또는 성 매개 감염(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STI)은 성행위, 특히 질 성교, 항문 성교, 구강 성교 등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을 의미한다.[1][2] 성병은 초기에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1]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위험성이 매우 높다.[3][4] 성병의 증상과 징후에는 질 분비물, 음경 분비물, 생식기 또는 그 주변의 궤양, 골반 통증 등이 있다.[1] 일부 성병은 불임을 유발할 수 있다.[1]

세균성 성병에는 클라미디아 감염증, 임질, 매독이 있다.[1] 바이러스성 성병에는 생식기 포진(생식기에 발병한 단순포진), 후천성면역결핍증, 생식기 사마귀가 있다.[1] 기생충성 성병에는 트리코모나스증이 있다.[1]

또한 일부 예방접종B형 간염 및 일부 유형의 HPV를 포함한 특정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5] 성병에 감염될 확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콘돔 사용, 적은 수의 성교 파트너, 정해진 사람과의 성교 등 세이프 섹스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1][5] 종합적인 성교육도 유용하다.[6] 대부분의 성병은 치료가 가능하다. 가장 흔한 감염 중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 감염증, 트리코모나스증은 치료할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후천성면역결핍증은 치료할 수 없다.[1]

2015년에는 약 11억 명이 후천성면역결핍증 이외의 성병에 감염되었다.[7] 약 5억 명이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 트리코모나스증에 감염되었다.[1] 추가적으로 5억 3천만 명이 생식기 포진에 감염되었고, 2억 9천만 명의 여성이 인유두종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다[1] 후천선면역결핍증 이외의 성병으로 인해 2015년에 108,000명이 사망했다.[8] 미국에서는 2010년에 1,900만 건의 새로운 성병이 발생했다.[9] 성병에 대한 역사적 문서는 적어도 기원전 1550년 경의 에버스 파피루스 와 구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0] 종종 성병과 관련된 수치심과 사회적 낙인이 있다.[1][11]

징후 및 증상

모든 성병이 증상이 있는 것은 아니며 감염 직후에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질병이 증상 없이 옮겨질 수 있으며, 이는 질병을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더 큰 위험을 남긴다. 질병에 따라 일부 치료되지 않은 성병은 불임, 만성 통증 또는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12]

사춘기 이전 아동에게 성병이 있다는 것은 성적 학대를 시사할 수도 있다.

원인

전염

임산부에게 존재하는 성병은 출생 전이나 후에 영아에게 전염될 수 있다.[13]

감염자와 안전하지 못한 성행위 시의 위험 요소들[14][15][16][17][18][19][20][21][22][23]
알려진 위험성 가능성
구강 성교를 하는 여성
구강 성교를 하는 남성
구강 성교를 받는 여성
구강 성교를 받는 남성
성교 (남성)
성교 (여성)
항문 성교 (삽입)
항문 성교 (피삽입)
애닐링구스

세균

바이러스

헤르페스의 바이러스 세포 변성 효과를 보여주는 현미경 사진

기생충

주요 유형

성병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클라미디아Chlamydia trachomatis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이다. 여성의 경우 증상에는 비정상적인 질 분비물, 배뇨 중 작열감, 생리 주기 사이의 출혈이 포함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여성은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58] 남성의 증상에는 배뇨 시 통증과 음경에서 비정상적인 분비물이 보인다.[59]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치료하지 않으면 클라미디아가 요로를 감염시켜 잠재적으로 골반염(PID)을 유발할 수 있다. PID는 임신 중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심지어 불임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것은 여성이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자궁외임신을 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난자가 자궁 외부에 착상된다. 그러나 클라미디아는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다.
  • 헤르페스의 가장 흔한 두 가지 형태는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HSV)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HSV-1은 일반적으로 구강으로 획득되어 단순포진을 유발하고, HSV-2는 일반적으로 성적 접촉 중에 획득되어 생식기에 영향을 미치지만, 두 계통은 어느 쪽 부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60] 어떤 사람들은 무증상이거나 매우 가벼운 증상을 보인다.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노출 후 2~20일이 지나면 2~4주 동안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에는 작은 액체로 가득 찬 물집, 두통, 요통, 생식기 또는 항문 부위의 가려움증 또는 따끔거림, 배뇨 중 통증, 독감 유사 증상, 땀샘 부기 또는 열이 포함될 수 있다. 헤르페스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과의 피부 접촉을 통해 전염된다. 바이러스는 몸에 들어온 부위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키스, 질 성교, 구강 성교 또는 항문 성교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바이러스는 눈에 보이는 증상이 있을 때 가장 전염성이 높지만 무증상인 사람도 피부 접촉을 통해 바이러스를 퍼뜨릴 수 있다.[61] 신체에 항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초기 감염 및 증상은 일반적으로 가장 심각하다. 1차 공격 후에는 더 가벼운 공격이 반복되거나 향후 공격이 없을 수도 있다. 질병에 대한 치료법은 없지만 증상을 치료하고 전염 위험을 낮추는 항바이러스제가 있다. HSV-1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의 구강 버전이고 HSV-2는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의 생식기 버전이지만, HSV-1을 가진 사람은 구강으로 해당 바이러스를 파트너에게 생식기로 전달할 수 있다. 두 유형의 바이러스는 척추 상단의 신경 다발에 정착하여 구강에서 발병하거나 척추 기저의 두 번째 신경 다발에 정착하여 생식기에서 발병한다.
  • 인유두종 바이러스(HPV)는 미국에서 가장 흔한 성병이다.[62] HPV에는 40가지 이상의 다른 종류가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건강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90%의 경우 신체의 면역 체계는 2년 이내에 자연적으로 감염을 제거한다.[63] 하지만 일부 사례는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생식기 사마귀(성기 주변의 돌기로서 작거나 크거나, 융기되거나 평평하거나, 콜리플라워 모양) 또는 자궁경부암 및 기타 HPV 관련 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증상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여성이 암을 확인하고 치료하기 위해 자궁경부 세포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자궁경부암을 유발하는 HPV 유형을 예방하는 두 가지 남성 및 여성 백신도 있다. HPV는 구강 성교뿐만 아니라 생식기와 생식기 접촉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 감염된 파트너는 증상이 없을 수 있다.
  • 임질은 요도, 질, 직장, 입, 목구멍 및 눈의 습한 점막에 사는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감염은 음경, 질, 입 또는 항문과의 접촉을 통해 퍼질 수 있다. 임질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감염된 파트너와 접촉한 후 2~5일 후에 나타나지만 일부 남성은 최대 한 달 동안 증상을 느끼지 못할 수 있다. 남성의 증상으로는 배뇨 시 작열감 및 통증, 빈뇨 증가, 음경 분비물(흰색, 녹색 또는 노란색), 요도가 붉거나 부어오름, 고환이 붓거나 압통, 인후통 등이 있다. 여성의 증상에는 질 분비물, 배뇨 시 작열감 또는 가려움증, 성교 시 통증, 하복부의 심한 통증(감염이 나팔관으로 퍼진 경우) 또는 발열(감염이 나팔관으로 퍼진 경우)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여성들이 어떤 증상도 나타내지 않았다. [64] 임질의 항생제 내성 균주는 중요한 문제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기존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다.
2차 매독
  • 매독은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이다. 치료하지 않으면 합병증과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65] 매독의 임상 증상에는 비뇨 생식기 관, 입 또는 직장의 궤양이 포함된다. 치료하지 않으면 증상이 악화된다. 최근 몇 년 동안 매독의 유병률은 서유럽에서 감소했지만 동유럽(구 소련 국가)에서는 증가했다.[66][67]
  • 트리코모나스증Trichomonas vaginalis라고 하는 원생동물 기생충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흔한 성병이다.[68] 트리코모나스증은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증상은 여성에게 더 흔하다.[69] 대부분의 환자는 매우 효과적인 메트로니다졸이라는 항생제로 치료한다.[70]
  •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는 신체의 면역 체계를 손상시켜 질병을 유발하는 물질과 싸우는 능력을 방해한다. 이 바이러스는 다양한 감염과 싸우는 데 도움이 되는 백혈구인 CD4 세포를 죽인다. HIV는 체액을 통해 운반되며 성행위를 통해 전염된다. 또한 감염된 혈액과의 접촉, 모유 수유, 출산 및 임신 중 엄마에게서 아이로 전염될 수 있다. [71] HIV가 가장 진행된 단계에 있을 때 개인은 AIDS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가 있다고 합니다. [72] HIV 감염의 진행 단계는 다양합니다. 단계에는 1차 감염, 무증상 감염, 증상 감염 및 AIDS가 포함됩니다. 1차 감염 단계에서 개인은 약 2주 동안 독감과 유사한 증상(두통, 피로, 발열, 근육통)을 겪습니다. 무증상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증상이 사라지고 환자는 수년간 무증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HIV가 증상 단계로 진행되면 면역 체계가 약해지고 CD4+ T 세포 의 세포 수가 적습니다. HIV 감염이 생명을 위협할 때 이를 AIDS라고 합니다. AIDS에 걸린 사람들은 기회 감염의 먹이가 되고 결과적으로 사망합니다. [58] 이 질병이 1980년대에 처음 발견되었을 때, AIDS에 걸린 사람들은 몇 년 이상 살 가능성이 없었습니다. 현재 HIV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ARV)이 있습니다. HIV나 AIDS에 대한 알려진 치료법은 없지만 약물은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체내의 바이러스 양을 억제함으로써 사람들은 더 길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 수치가 낮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퍼뜨릴 수 있습니다. [73]
  1.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STIs) Fact sheet N°110”. 《who.int》. November 2013. 2014년 1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30일에 확인함. 
  2.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womenshealth.gov》 (영어). 2017년 2월 22일. 2017년 12월 8일에 확인함.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다음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3. 《Medical microbiology》 7판. St. Louis, MO: Mosby. 2013. 418쪽. ISBN 978-0-323-08692-9. 2015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 Goering, Richard V. (2012). 《Mims' medical microbiology》 5판. Edinburgh: Saunders. 245쪽. ISBN 978-0-7234-3601-0. 
  5. “How You Can Prevent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년 5월 31일. 2014년 1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다음을 포함합니다: 퍼블릭 도메인 자료 - websites or documents of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6. 《International technical guidance on sexuality education: An evidence-informed approach》 (PDF). Paris: UNESCO. 2018. 28쪽. ISBN 978-92-3-100259-5. 
  7.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545–1602. October 2016.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C 5055577. PMID 27733282. 
  8.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459–1544. October 2016.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C 5388903. PMID 27733281. 
  9. “STD Trends in the United States: 2010 National Data for Gonorrhea, Chlamydia, and Syphili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년 9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15일에 확인함. 
  10. Gross, Gerd; Tyring, Stephen K. (2011).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Heidelberg: Springer Verlag. 20쪽. ISBN 978-3-642-14663-3.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1.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PDF).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vi쪽. ISBN 978-92-4-154626-3. 2014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12. “Male STI check-up video”. Channel 4. 2008. 2009년 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22일에 확인함. 
  13. “Elective cesarean section for women living with HIV: a systematic review of risks and benefits”. 《AIDS》 31 (11): 1579–1591. July 2017. doi:10.1097/QAD.0000000000001535. PMC 5491238. PMID 28481770. 
  14. “Oral sex and transmission of non-viral STIs”.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74 (2): 95–100. April 1998. doi:10.1136/sti.74.2.95. PMC 1758102. PMID 9634339. 
  15. Gillisons, Maura (2007). “HPV Infection Linked to Throat Cancers”. 《Johns Hopkins Medicine》. 2013년 9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6. “Reducing the risk of sexual HIV transmission: quantifying the per-act risk for HIV on the basis of choice of partner, sex act, and condom use”.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29 (1): 38–43. January 2002. doi:10.1097/00007435-200201000-00007. PMID 11773877. 
  17. “An estimate of the risk of men acquiring gonorrhea by sexual contact with infected female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91 (2): 170–4. February 1970. doi:10.1093/oxfordjournals.aje.a121125. PMID 5416250. 
  18. “Transmission probabilities of HIV and herpes simplex virus type 2, effect of male circumcision and interaction: a longitudinal study in a township of South Africa”. 《AIDS》 23 (3): 377–383. January 2009. doi:10.1097/QAD.0b013e32831c5497. PMC 2831044. PMID 19198042. 
  19. “Modeling the sexual transmissibility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using stochastic computer simulation and empirical data from a cohort study of young women in Montreal, Canada”.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63 (6): 534–43. March 2006. doi:10.1093/aje/kwj077. PMID 16421235. 
  20. “Risk of acquiring gonorrhea and prevalence of abnormal adnexal findings among women recently exposed to gonorrhea”. 《JAMA》 250 (23): 3205–9. December 1983. doi:10.1001/jama.250.23.3205. PMID 6417362. 
  21. “Per-contact probability of HIV transmission in homosexual men in Sydney in the era of HAART”. 《AIDS》 24 (6): 907–13. March 2010. doi:10.1097/QAD.0b013e3283372d90. PMC 2852627. PMID 20139750. 
  22. Bryan, Charles (2011). “Infectious Disease Chapter Eight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Microbiology and Immunology On-lin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School of Medicine. 2014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3. Pearson, Richard (2007). “Pinworm Infection”. 《Merck Manual Home Health Handbook》. 2013년 10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4.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Hoare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5.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ashm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6.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and prostate cance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ancer Epidemiology》 38 (4): 329–38. August 2014. doi:10.1016/j.canep.2014.06.002. PMID 24986642. 
  27. “Chlamydia trachomatis and Genital Mycoplasmas: Pathogens with an Impact on Human Reproductive Health”. 《Journal of Pathogens》 2014: 183167. 2014. doi:10.1155/2014/183167. PMC 4295611. PMID 25614838. 
  28. “High prevalence of genital mycoplasmas among sexually active young adults with urethritis or cervicitis symptoms in La Crosse, Wisconsi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42 (10): 4636–40. October 2004. doi:10.1128/JCM.42.10.4636-4640.2004. PMC 522307. PMID 15472322. 
  29. “Multiplex PCR testing detection of higher-than-expected rates of cervical mycoplasma, ureaplasma, and trichomonas and viral agent infections in sexually active australian wome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47 (5): 1358–63. May 2009. doi:10.1128/JCM.01873-08. PMC 2681846. PMID 19261782. 
  30. “Mycoplasma Infections”. 《WebMD》 (미국 영어). 2017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29일에 확인함. 
  31. “Diseases Characterized by Urethritis and Cervicitis – 2015 STD Treatment Guidelines”. 《www.cdc.gov》. 2017년 12월 8일에 확인함. 
  32. “Mycoplasma genitalium infection and female reproductive tract disease: a meta-analysi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61 (3): 418–26. August 2015. doi:10.1093/cid/civ312. PMID 25900174. 
  33. “Mycoplasma genitalium in Women: Current Knowledge and Research Priorities for This Recently Emerged Pathogen”.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16 (suppl_2): S389–S395. July 2017. doi:10.1093/infdis/jix198. PMC 5853983. PMID 28838078. 
  34. “Microbiota and pelvic inflammatory disease”. 《Seminars in Reproductive Medicine》 32 (1): 43–9. January 2014. doi:10.1055/s-0033-1361822. PMC 4148456. PMID 24390920. 
  35. “Mycoplasma, Ureaplasma,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a fresh look”. 《Infectious Diseases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0: 1–7. 2010. doi:10.1155/2010/521921. PMC 2913664. PMID 20706675. 
  36. “Giardia, Epidemiology & Risk Factors”.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12년 7월 13일. 2015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37. “Hepatitis A, Division of Viral Hepatitis”.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15년 5월 31일. 2015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38. Shigella Infections among Gay & Bisexual Men”.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15년 4월 23일. 2015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39. “Chancroid”. 《Lecturio》. 2021년 8월 27일에 확인함. 
  40. “Chlamydia”. 《The Lecturio Medical Concept Library》. 2021년 8월 27일에 확인함. 
  41. “Gonorrhea”. 《The Lecturio Medical Concept Library》. 2021년 8월 27일에 확인함. 
  42. O’Farrell, N (2002). “Donovanosis”.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78 (6): 452–7. doi:10.1136/sti.78.6.452. PMC 1758360. PMID 12473810. 
  43. “Mycoplasma genitalium and cancer: a brief review”.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14 (6): 3425–8. 2013. doi:10.7314/APJCP.2013.14.6.3425. PMID 23886122. 
  44. “Mycoplasma genitalium: an emerging cause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in women”. 《PLOS Pathogens》 7 (5): e1001324. May 2011. doi:10.1371/journal.ppat.1001324. PMC 3102684. PMID 21637847. 
  45. “Recent perspectives in the diagnosis and evidence-based treatment of Mycoplasma genitalium”. 《Expert Review of Anti-Infective Therapy》 10 (4): 487–99. April 2012. doi:10.1586/eri.12.20. PMID 22512757. 
  46. “Infections due to species of Mycoplasma and Ureaplasma: an update”.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23 (4): 671–82; quiz 683–4. October 1996. doi:10.1093/clinids/23.4.671. JSTOR 4459713. PMID 8909826. 
  47. “Syphilis”. 《The Lecturio Medical Concept Library》. 2021년 8월 27일에 확인함. 
  48.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treatment guidelines, 2006”. 《MMWR. Recommendations and Reports》 55 (RR-11): 1–94. August 2006. PMID 16888612. 
  49. “Evidence of transmission of hepatitis D virus to spouses from sequence analysis of the viral genome”. 《Hepatology》 22 (6): 1656–60. December 1995. doi:10.1002/hep.1840220607. PMID 7489970. 
  50. “Delta hepatitis: an update”. 《Journal of Hepatology》. 39 Suppl 1 (Suppl 1): S212-9. 2003. doi:10.1016/S0168-8278(03)00331-3. PMID 14708706. 
  51. “Hepatitis B virus infection: co-infection with hepatitis C virus, hepatitis D virus, an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Clinics in Liver Disease》 8 (2): 445–60, viii. May 2004. doi:10.1016/j.cld.2004.02.005. PMID 15481349. 
  52.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at a Time of Changing Sexual Behavior”.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미국 영어) 22 (1): 18–23. January 2016. doi:10.3201/eid2201.150791. PMC 4696692. PMID 26691673. 
  53. “Molluscum Contagiosum”. 《The Lecturio Medical Concept Library》. 2021년 8월 27일에 확인함. 
  54. “Zika Virus”. 《CDC》 (미국 영어). 2014년 11월 5일. 2020년 5월 22일에 확인함. 
  55. 《Williams gynecology》. Hoffman, Barbara L., Williams, J. Whitridge 2판. New York: McGraw-Hill Medical. 2012. ISBN 978-0-07-171672-7. OCLC 779244257. 
  56. “CDC - Lice” (미국 영어). CDC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년 5월 2일. 2017년 12월 4일에 확인함.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다음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57. Prevention, CDC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2017년 5월 2일). “Lice: Pubic”. 《www.cdc.gov》 (미국 영어). 2017년 12월 4일에 확인함.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다음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58. King, B. (2009). Human Sexuality Today (Sixth ed.). Upper Saddle River: Pearson Education, Inc.
  59. “Chlamydia Infections: MedlinePlus”. Nlm.nih.gov. 2013년 7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30일에 확인함. 
  60. “The Basics of Genital Herpes”. 201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1. “Herpes”. Avert.org. 2013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30일에 확인함. 
  62. “Human Papillomavirus (HPV) | Overview”. FamilyDoctor.org. 2010년 12월 1일. 2013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30일에 확인함. 
  63. “STD Facts – Human papillomavirus (HPV)”. cdc.gov. 2013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30일에 확인함. 
  64. (영어) Gonorrhea - 메드라인플러스
  65. “STD Facts – Syphilis”. cdc.gov. 2013년 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8일에 확인함. 
  66. “Syphilis”. Who.int. 2006년 10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8일에 확인함. 
  67. “Treatment of syphilis: a systematic review”. 《JAMA》 312 (18): 1905–17. November 2014. doi:10.1001/jama.2014.13259. PMC 6690208. PMID 25387188. 
  68. “STD Facts – Trichomoniasis”. Cdc.gov. 2013년 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8일에 확인함. 
  69. “Trichomoniasis: MedlinePlus”. Nlm.nih.gov. 2013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8일에 확인함. 
  70. “Trichomoniasis – NHS Choices”. Nhs.uk. 2012년 2월 27일. 2013년 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8일에 확인함. 
  71. “HIV/AIDS”. Mayo Clinic.com. 2012년 8월 11일. 2013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30일에 확인함. 
  72. “AIDS”. Avert.org. 2013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30일에 확인함. 
  73. “HIV/AIDS Treatment”. Niaid.nih.gov. 2009년 6월 3일. 2013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