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구형 지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 부착 (근거 1, 근거 2)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지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해구형 지진'''(海溝型地震, {{llang|en|Trench type earthquake}}), 영어권에서는 비슷한 명칭으로 '''메가스러스트 지진'''({{llang|en|Megathrust earthquakes}})은 [[판 구조론|판]] 사이의 [[수렴 경계]], 그 중에서도 [[섭입|섭입대]]에서 일어나는 [[스러스트 단층]] [[지진]]을 의미한다. [[판 경계]]에서 일어나는 이 지진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보통 [[모멘트 규모]] M9.0을 넘는다.
'''해구형 지진'''(海溝型地震, {{llang|en|Trench type earthquake}}), 영어권에서는 비슷한 명칭으로 '''메가스러스트 지진'''({{llang|en|Megathrust earthquakes}})은 [[판 구조론|판]] 사이의 [[수렴 경계]], 그 중에서도 [[섭입|섭입대]]에서 일어나는 [[스러스트 단층]] [[지진]]을 의미한다. [[판 경계]]에서 일어나는 이 지진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보통 [[모멘트 규모]] M9.0을 넘는다.


[[1900년대]] 이래로 M9.0 이상의 모든 [[초거대지진]]이 해구형 지진이었기 때문에, 보통 해구형 지진중 모멘트 규모가 큰 강한 지진을 '''거대지진'''(巨大地震)으로 묶어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인 거대지진으로 2011년 규모 M9.1의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이 있다.
[[1900년대]] 이래로 M9.0 이상의 모든 [[초거대지진]]이 해구형 지진이었기 때문에, 보통 해구형 지진중 모멘트 규모가 큰 강한 지진을 '''거대지진'''(巨大地震)으로 묶어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인 거대지진으로 2011년 규모 M9.1의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이 있다.

== 발생 원리 ==
[[파일:Subduction-en.svg|right|280px|섬네일|[[섭입대]]의 모식도. 메가스러스트 단층은 위에 얹혀지는 판과 접촉하는 섭입대의 판 상단에 있다.]]

영어권에서 자주 쓰이는 해구형 지진의 "메가스러스트"(megathrust)란 [[순다 메가스러스트]]같이 섭입대를 따라 판 경계면에서 형성되는 거대한 규모의 [[충상단층]]을 의미한다.<ref name="ParkButler2005">{{cite journal | first1=J. | first10=G. | first11=K. | first12=R. | last1=Park | last10=Ekstrom | last11=Anderson | last12=Aster | title=Performance Review of the Global Seismographic Network for the Sumatra-Andaman Megathrust Earthquake | last2=Butler | first2=R. | last3=Anderson | first3=K. | last4=Berger | first4=J. | last5=Davis | first5=P. | last6=Benz | first6=H. | last7=Hutt | first7=C. R. | last8=McCreery | first8=C. S. | last9=Ahern | first9=T. | journal=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 year=2005 | volume=76 | issue=3 | pages=331–343 | issn=0895-0695 | doi=10.1785/gssrl.76.3.331 | display-authors=3}}</ref><ref name=BilekLay2018>{{cite journal |last1=Bilek |first1=Susan L. |last2=Lay |first2=Thorne |title=Subduction zone megathrust earthquakes |journal=Geosphere |date=1 August 2018 |volume=14 |issue=4 |pages=1468–1500 |doi=10.1130/GES01608.1|bibcode=2018Geosp..14.1468B |s2cid=133629102 }}</ref> 하지만 메가스러스트라고 해서 반드시 해양판과 대륙판의 섭입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히말라야산맥]] 메가스러스트처럼 대륙판끼리의 충돌 지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ref>{{cite journal |last1=Elliott |first1=J.R.|last2=Jolivet |first2=R. |last3=González |first3=P. J. |last4=Avouac |first4=J.-P. |last5=Hollingsworth |first5=J. |last6=Searle |first6=M. P. |last7=Stevens |first7=V.L.|title=Himalayan megathrust geometry and relation to topography revealed by the Gorkha earthquake |journal=Nature Geoscience |date=February 2016 |volume=9 |issue=2 |pages=174–180 |doi=10.1038/ngeo2623|bibcode=2016NatGe...9..174E|url=http://eprints.whiterose.ac.uk/95920/8/GonzalezHimalayan%20Megathrust%20Geometry.pdf}}</ref> 메가스러스트 단층은 1,000 km 길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ref name="PNSN"/>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2022년 4월 26일 (화) 23:09 판

해구형 지진(海溝型地震, 영어: Trench type earthquake), 영어권에서는 비슷한 명칭으로 메가스러스트 지진(영어: Megathrust earthquakes)은 사이의 수렴 경계, 그 중에서도 섭입대에서 일어나는 스러스트 단층 지진을 의미한다. 판 경계에서 일어나는 이 지진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보통 모멘트 규모 M9.0을 넘는다.

1900년대 이래로 M9.0 이상의 모든 초거대지진이 해구형 지진이었기 때문에, 보통 해구형 지진중 모멘트 규모가 큰 강한 지진을 거대지진(巨大地震)으로 묶어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인 거대지진으로 2011년 규모 M9.1의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이 있다.

발생 원리

섭입대의 모식도. 메가스러스트 단층은 위에 얹혀지는 판과 접촉하는 섭입대의 판 상단에 있다.

영어권에서 자주 쓰이는 해구형 지진의 "메가스러스트"(megathrust)란 순다 메가스러스트같이 섭입대를 따라 판 경계면에서 형성되는 거대한 규모의 충상단층을 의미한다.[1][2] 하지만 메가스러스트라고 해서 반드시 해양판과 대륙판의 섭입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히말라야산맥 메가스러스트처럼 대륙판끼리의 충돌 지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3] 메가스러스트 단층은 1,000 km 길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4]

외부 링크

  1. Park, J.; Butler, R.; Anderson, K.; 외. (2005). “Performance Review of the Global Seismographic Network for the Sumatra-Andaman Megathrust Earthquake”.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76 (3): 331–343. doi:10.1785/gssrl.76.3.331. ISSN 0895-0695. 
  2. Bilek, Susan L.; Lay, Thorne (2018년 8월 1일). “Subduction zone megathrust earthquakes”. 《Geosphere》 14 (4): 1468–1500. Bibcode:2018Geosp..14.1468B. doi:10.1130/GES01608.1. S2CID 133629102. 
  3. Elliott, J.R.; Jolivet, R.; González, P. J.; Avouac, J.-P.; Hollingsworth, J.; Searle, M. P.; Stevens, V.L. (February 2016). “Himalayan megathrust geometry and relation to topography revealed by the Gorkha earthquake” (PDF). 《Nature Geoscience》 9 (2): 174–180. Bibcode:2016NatGe...9..174E. doi:10.1038/ngeo2623. 
  4.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PNSN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