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르제발스키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전거 통제 틀 추가
편집 요약 없음
24번째 줄: 24번째 줄:


소문을 듣고 탐험에 나선 러시아의 군인 [[니콜라이 프르제발스키]]가 [[1879년]]에 발견하였다. ‘프르제발스키말’이란 이름은 그의 이름인 프르제발스키(Przewalski)에서 비롯되었다.
소문을 듣고 탐험에 나선 러시아의 군인 [[니콜라이 프르제발스키]]가 [[1879년]]에 발견하였다. ‘프르제발스키말’이란 이름은 그의 이름인 프르제발스키(Przewalski)에서 비롯되었다.
{{위키공용과 분류|Equus przewalskii}}최근 연구로 "프르제발스키"도 약 5천500년 전 카자흐스탄에서 가축으로 길든 말들의 후손임이 드러났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2/23/0200000000AKR20180223144000009.HTML?input=1195m|제목="지구상에 진짜 야생마는 없다…수백년 전 이미 멸종한 듯"|성=최병국|날짜=2018-02-24|뉴스=연합뉴스|언어=ko-KR|확인날짜=2018-02-24}}</ref>{{위키스피시즈|Equus ferus przewalskii}}
{{위키공용과 분류|Equus przewalskii}} 사람의 손에 길든 적이 없는 순수한 야생마는 아니고, 약 5천500년 전 카자흐스탄의 보타이 유적지에서 발견된 가축 말(보타이 말)들이 재야생화된 것으로 보인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2/23/0200000000AKR20180223144000009.HTML?input=1195m|제목="지구상에 진짜 야생마는 없다…수백년 전 이미 멸종한 듯"|성=최병국|날짜=2018-02-24|뉴스=연합뉴스|언어=ko-KR|확인날짜=2018-02-24}}</ref> 그러나 현대의 가축 말은 모두 흑해 북부의 [[얌나야 문화]]에서 가축화한 말의 후예이므로 이들과는 다른 계통에 속한다.<ref>{{저널 인용|제목=The origins and spread of domestic horses from the Western Eurasian steppes|저널=Nature|성=Librado|이름=Pablo|성2=Khan|이름2=Naveed|url=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1-04018-9|날짜=2021-10|권=598|호=7882|쪽=634–640|언어=en|doi=10.1038/s41586-021-04018-9|issn=1476-4687|성3=Fages|이름3=Antoine|성4=Kusliy|이름4=Mariya A.|성5=Suchan|이름5=Tomasz|성6=Tonasso-Calvière|이름6=Laure|성7=Schiavinato|이름7=Stéphanie|성8=Alioglu|이름8=Duha|성9=Fromentier|이름9=Aurore}}</ref>
{{위키스피시즈|Equus ferus przewalskii}}


== 각주 ==
== 각주 ==

2022년 1월 19일 (수) 12:59 판

프르제발스키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말목
과: 말과
속: 말속
종: 야생말
아종: 프르제발스키말
학명
Equus ferus przewalskii
Poliakov, 1881
프르제발스키말의 분포

보전상태


위기(EN): 절멸가능성 매우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프르제발스키말(영어: Przewalski's horse, 학명Equus ferus przewalskii)은 의 야생 아종으로, 아메리카 대륙의 야생화된 야생마 개체군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남아 있는 야생마 아종이다.

주로 몽골중국초원지대에 서식하였으며, 한때 수가 흔한 동물이었다. 하지만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수가 줄어들어 야생상태에서 멸종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세계 각국 동물원에서 번식을 추진하여 일부를 야생으로 돌려 보냈다. 하지만 화석으로 보면 만주와 한반도까지 서식하였으며 지금보다 더 많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소문을 듣고 탐험에 나선 러시아의 군인 니콜라이 프르제발스키1879년에 발견하였다. ‘프르제발스키말’이란 이름은 그의 이름인 프르제발스키(Przewalski)에서 비롯되었다.

사람의 손에 길든 적이 없는 순수한 야생마는 아니고, 약 5천500년 전 카자흐스탄의 보타이 유적지에서 발견된 가축 말(보타이 말)들이 재야생화된 것으로 보인다.[2] 그러나 현대의 가축 말은 모두 흑해 북부의 얌나야 문화에서 가축화한 말의 후예이므로 이들과는 다른 계통에 속한다.[3]

각주

  1. Equus ferus ssp. przewalski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1.2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11. 2012년 6월 24일에 확인함. 
  2. 최병국 (2018년 2월 24일). "지구상에 진짜 야생마는 없다…수백년 전 이미 멸종한 듯". 《연합뉴스》. 2018년 2월 24일에 확인함. 
  3. Librado, Pablo; Khan, Naveed; Fages, Antoine; Kusliy, Mariya A.; Suchan, Tomasz; Tonasso-Calvière, Laure; Schiavinato, Stéphanie; Alioglu, Duha; Fromentier, Aurore (2021년 10월). “The origins and spread of domestic horses from the Western Eurasian steppes”. 《Nature》 (영어) 598 (7882): 634–640. doi:10.1038/s41586-021-04018-9. ISSN 1476-4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