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조자리 P: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히파르코스 천체의 정렬 키를 바꿈: "100044"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동음이의 링크
1번째 줄: 1번째 줄:
{{항성 정보
{{항성 정보
| 그림 = P cyg.jpg
| 이름 = 백조자리 P
| 이름 = 백조자리 P
| 적경 = 20h 17m 47.2018s
| 그림 = P cyg.jpg
| 다른 이름 = 백조자리 신성 1600, 백조자리 34, JP11 3218, TD1 26474, GSC 03151-03442, TYC 3151-3442-1, AG+37° 1953, 2MASS J20174719+3801585, ALS 11097, HD 193237, MCW 849, BD+37°3871, Hen 3-1871, PLX 4837, CEL 5017, PPM 84645, P Cyg, RAFGL 5493S, GC 28218, HIP 100044, ROT 2959, GCRV 12673, HR 7763, SAO 69773, AAVSO 2014+37A
| 적위 = +38° 01' 58.549"'
| 역기점 = [[J2000]]
| 겉보기등급 = 4.795
| 별자리 = [[백조자리]]
| 별자리 = 백조자리
| 적경 = {{RA|20|17|47.2018}}<ref name="1번 각주"/>
| 분광형 = B1Ia+
| 적위 = {{DEC|+38|01|58.549}}<ref name="1번 각주"/>
| 연주시차 = 0.52 ± 0.50 밀리초각
| 겉보기등급 = [[UBV 측광계|m<sub>V</sub>]]=4.82<ref name="2번 각주"/> (3~6<ref name="3번 각주"/>)
| 거리 = 7,000 [[광년]]
| 절대등급 = [[UBV 측광계|M<sub>V</sub>]]=-7.9<ref name="8번 각주"/>
| 질량 = 30 [[태양질량]]
| 시선속도 = -8.9 km/s<ref name="6번 각주"/>
| 크기 = 76 [[태양반경]]
| 적경고유운동 = 연간 -3.53 [[초 (각도)|밀리각초]]<ref name="1번 각주"/>
| 광도 = 630,000 [[태양광도]]
| 적위고유운동 = 연간 -6.88 [[초 (각도)|밀리각초]]<ref name="1번 각주"/>
| 표면온도 = 19,300 [[켈빈]]
| 연주시차 = 0.32 ± 0.16 [[초 (각도)|밀리각초]]<ref name="1번 각주"/>
| 거리 = 1,560 ± 250 [[파섹|pc]]<ref name="7번 각주"/>
| 광도 = 610,000 {{태양광도|link=on}}<ref name="9번 각주"/>
| 나이 =
| 분광형 = B1-2 Ia-0ep<ref name="4번 각주"/>
| UB = -0.58<ref name="5번 각주"/>
| BV = +0.42<ref name="5번 각주"/>
| 변광성분류 = [[밝은 청색변광성|LBV]]<ref name="3번 각주"/>
| 질량 = 37 {{태양질량|link=on}}<ref name="7번 각주"/>
| 반지름 = 76 {{태양반경|link=on}}<ref name="9번 각주"/>
| 표면온도 = 18,700 [[켈빈|K]]<ref name="9번 각주"/>
| 중원소 함량 = 0.29 He/H<ref name="9번 각주"/>
| 표면 중력 = 2.25 [[CGS 단위계|cgs]]<ref name="7번 각주"/>
| 자전 속도 = ''v'' sin [[궤도 경사|''i'']]=35 km/s<ref name="10번 각주"/>
}}
}}
'''백조자리 P'''는 [[백조자리]]에 있는 [[변광성]]이며, [[극대거성]]이다. 다른 이름으로 '''백조자리 신성 1600''', '''백조자리 신성 #1'''이 있으며, [[플램스티드 명명법]]에 의하면 '''백조자리 34'''로 읽는다. 이 별은 '[[밝은 청색변광성]]'으로 분류된 최초의 별이기도 하다.


'''백조자리 P'''({{llang|en|P Cygni}})는 [[백조자리]]에 있는 [[변광성]]이다. 명칭 기호 P는 본래 [[요한 바이어]]가 이를 [[우라노메트리아]]에 [[신성]]으로 기록하면서 주어진 것이다. 지구에서 약 5,100[[광년]] 떨어진 이 별은 분광형 B형의 [[극대거성]]으로서 [[우리 은하]]에서 [[광도 순 항성 목록|가장 밝은 별]] 중 하나이다.
== 물리적 특징 ==
이 별의 [[분광형]]은 B2la이고 [[지구]]에서 5,000~6,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우리 은하]]에서 매우 밝은 별들의 상위를 차지한다. 이 별의 존재는 17세기 이전까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1654년]](또는 1655년)부터 수 년간 3등급까지 밝아지면서 [[천문학자]]들에게 그 존재를 드러냈다. 이후 백조자리 P는 시야에 나타났다 사라졌다를 반복해 왔으며 현재 [[겉보기 등급|밝기]]는 4.8±0.5등급이다.


== 가시적 정보 ==
백조자리 P와 같은 밝은 청색변광성들은 매우 희귀하고 수명이 짧으며, 항성이 격렬히 태어나는 곳에서만 나타난다. 이들의 수명은 수백만 년 정도에 불과하며, [[초신성]]으로 일생을 마감한다. 최근에 관측된 초신성 [[SNG2006gy]]는 멀리 떨어진 은하 내에 존재했던, 백조자리 P와 유사한 밝은 청색변광성이었다.
백조자리 P는 약 5,000광년에서 6,0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다. 상당히 먼 거리에 있지만, 어두운 곳에서는 육안으로도 관찰할 수 있다. 16세기가 끝날 때까지는 전해지는 기록이 없다가 갑자기 3등성으로 나타난 시점부터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를 처음 관측하였던 사람은 ​네덜란드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이자 지구본 장인이었던 [[빌럼 얀손 블라우]]로, 때는 [[그레고리력]]으로 1600년 8월 10일이었다. 이어서 바이어의 1603년 성표에서 이 항성에 대해 [[바이어 명명법|기타 명칭]] P가 주어지며 이름에 대한 관습이 이어져 내려왔다.<ref name="11번 각주"/> 첫 관측으로부터 6년이 흘러서 백조자리 P는 서서히 어두워지기 시작하였고, 1626년에는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범위보다도 어두워졌다. 다시 밝아진 것은 1655년이었고, 1662년에 재차 가시 범위 바깥으로 어두워졌다. 1665년에도 급격한 변화가 관측되었고, 여러 차례의 변광 현상이 그 뒤를 이었다. 1715년 이후로는 미세한 변광 현상만 관측되는 5등성이 되었다. 오늘날 백조자리 P는 4.8등성이며, 수일의 척도에서 100분의 1등급 정도로 불규칙한 변광 현상을 보인다.<ref name="12번 각주"/> 안시 밝기는 한 세기마다 약 0.15등급씩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광도가 일정하면서 표면온도만 서서히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ref name="13번 각주"/>


백조자리 P를 영구 신성이라 일컫기도 하였다. 이는 백조자리 P가 신성과 분광학적으로 유사하면서 물질을 분출하는 것이 분명하였기 때문이었다. 한때는 신성을 [[분출 변광성]]으로 분류하였던 탓도 있었는데, 오늘날 분출 변광성의 거동은 신성과 상관있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ref name="14번 각주"/>
약 2개월의 간격을 두고 백조자리 P는 질량을 외부로 분출하며 이것이 광구에서 나오는 빛을 가려 밝기가 일정량 감소한다. 분출된 물질들은 두텁게 항성 주위를 두르며, [[광구]]의 밝기 변화량은 분출 물질들이 주변에 없을 때에 비해 크다.


== 명칭 ==
== 밝은 청색 변광성 ==

백조자리 P의 이름은 [[분광학]]적 형질에 따라 부여받은 것인데, 이는 [[스펙트럼]] 상으로 가스 물질의 탈출을 알 수 있는 흡수선 및 방출선이 나타난다는 의미이다. 흡수선에서는 [[청색 편이]]가, 방출선에서는 [[적색 편이]]가 관찰된다. 이러한 스펙트럼은 밝은 청색변광성들의 특징이기도 하다. 이는 여러 종류의 항성들에서 뿜어내는 [[항성풍]]에 대한 좋은 자료가 된다.
백조자리 P는 [[밝은 청색 변광성]](LBV) 중에서 가장 먼저 확인된 사례로 널리 알려져 지만, 전형적인 LBV와는 거리가 멀다. 일반적으로 LBV의 밝기 변화는 수 년에서 수십 년에 이르며, 간헐적으로 별의 밝기가 급증하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하지만 백조자리 P는 17세기에 있었던 수 차례의 급변 현상이 나타난 이후로 밝기나 [[스펙트럼]]이 크게 변화한 바 없다. 비슷한 사건이 [[용골자리 에타]]에서도 관측되었고, 일부 외부 은하 천체에서도 관측되었을 것이다.<ref name="15번 각주"/>

백조자리 P에는 지금으로부터 900년 전, 2,100년 전, 20,000년 전에 큰 분출 현상이 있었다는 정황이 나타난다. 최근 몇 세기 동안에는 안시등급이 매우 서서히 증가하면서 표면온도는 감소하는 모습이 나타나는데, 이는 이론의 예측처럼 질량이 큰 항성이 [[적색 초거성]] 단계로 진화하는 추세로 해석된다.<ref name="15번 각주"/>

== 진화 ==

백조자리 P와 같은 밝은 청색 변광성은 극히 희귀하며 수명이 짧기 때문에 은하 내에서 별 탄생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영역에서만 나타난다. LBV 항성은 매우 무겁고 큰 에너지를 방출하기 때문에 핵에너지원을 매우 빠르게 소진한다. 그래서 수백만 년 동안만 빛을 낸 후 [[초신성 폭발]]로 생을 마감한다. 최근에 먼 은하에서 일어났던 [[SN 2006gy|초신성 2006gy]]는 백조자리 P와 유사한 LBV성의 말로일 것으로 추정된다.<ref name="16번 각주"/> 백조자리 P는 주계열을 떠난 직후인 수소 껍질 연소 단계에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ref name="15번 각주"/>

LBV가 일생에서 종착점이 되는 경우에 대해서 태양보다 20배에서 25배 무거운 항성은 [[IIb형 초신성]]으로 끝을 맞이할 것으로 예측된다.<ref name="17번 각주"/>

== 백조자리 P형 윤곽 ==
[[그림:P Cygni Profile-en.svg|thumb|left|upright=1.0|백조자리 P를 상징하는 특유의 [[발머 계열|Hα]] 선 윤곽.]]

백조자리 P는 특정한 [[천체 분광학|분광학적 특징]]을 가지는 유형의 원류이다. 이러한 유형의 특징은 백조자리 P의 이름을 따서 '''백조자리 P형 윤곽'''({{llang|en|P Cygni profile}})이라고 일컫는데, 동일한 [[선 스펙트럼]]의 윤곽이 방출선과 흡수선의 형태로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이다. 이는 항성에서 기체 껍질이 방출되어 팽창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방출선은 별 주변의 고밀도 [[항성풍]]에서 나오며, [[청색편이|청색으로 치우쳐 나타나는]] 흡수 돌출부는 복사가 관찰자 쪽으로 빠르게 팽창하는 별 주변 물질을 지나면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윤곽은 여러 유형의 별에서 나오는 항성풍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며, 다른 항성에서도 나타날 수 있긴 하더라도 종종 밝은 청색 변광성을 분류할 때의 지침이 된다.<ref name="15번 각주"/><ref name="18번 각주"/>

백조자리 P에서 항성풍 수소 알파 방출선 영역의 크기는 5.64±21[[초 (각도)|밀리각초]]이다.<ref name="12번 각주"/> 추정 거리 1,700[[파섹]]에서 이 영역의 물리적 크기는 항성 반지름의 대략 26배이다.

== 동반성 ==

백조자리 P의 분출은 질량이 동반성으로 [[질량 이동]]이 일어나면서 발생하였을 수도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가설상의 이 짝별은 분광형이 B형이고 질량이 태양의 세 배에서 여섯 배에 달하며, 백조자리 P를 7년 주기의 [[궤도 이심률|이심률]]이 큰 [[타원궤도]]로 공전한다. 동반성으로 물질이 떨어지면 [[위치 에너지|중력 퍼텐셜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그 일부가 계의 광도를 높이는 데 쓰일 수 있다.<ref name="19번 각주"/>

== 각주 ==
{{각주|3|refs=

<ref name="1번 각주">{{cite journal|bibcode=2007A&A...474..653V|title=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journal=Astronomy and Astrophysics|volume=474|issue=2|pages=653–664|last1=Van Leeuwen|first1=F.|year=2007|doi=10.1051/0004-6361:20078357|arxiv = 0708.1752 |s2cid=18759600}}</ref>

<ref name="2번 각주">{{cite journal|bibcode=2002yCat.2237....0D|title=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journal=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volume=2237|pages=0|last1=Ducati|first1=J. R.|year=2002}}</ref>

<ref name="3번 각주">{{cite journal|bibcode=2004yCat.2250....0S|title=VizieR Online Data Catalog: Combined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4)|journal=VizieR On-line Data Catalog: II/250. Originally Published in: 2004yCat.2250....0S|volume=2250|pages=0|last1=Samus|first1=N. N.|last2=Durlevich|first2=O. V.|display-authors=etal|year=2004}}</ref>

<ref name="4번 각주">{{cite journal|bibcode=2014yCat....1.2023S|title=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Spectral Classifications (Skiff, 2009-2016)|journal=VizieR On-line Data Catalog: B/Mk. Originally Published in: Lowell Observatory (October 2014)|volume=1|last1=Skiff|first1=B. A.|year=2014}}</ref>

<ref name="5번 각주">{{cite journal|bibcode=1994A&A...281..833S|title=A study of the luminous blue variable candidate He 3-519 and its surrounding nebula|journal=Astronomy and Astrophysics|volume=281|pages=833|last1=Smith|first1=L. J.|last2=Crowther|first2=P. A.|last3=Prinja|first3=R. K.|year=1994}}</ref>

<ref name="6번 각주">{{cite journal|bibcode=2006AstL...32..759G|title=Pulkovo Compilation of Radial Velocities for 35 495 Hipparcos stars in a common system|journal=Astronomy Letters|volume=32|issue=11|pages=759–771|last1=Gontcharov|first1=G. A.|year=2006|doi=10.1134/S1063773706110065|arxiv = 1606.08053 |s2cid=119231169}}</ref>

<ref name="7번 각주">{{cite journal|bibcode=2020MNRAS.494..218R|arxiv=1910.08366|doi=10.1093/mnras/staa588|title=Intensity interferometry of P Cygni in the H α emission line: Towards distance calibration of LBV supergiant stars|year=2020|last1=Rivet|first1=J-P|last2=Siciak|first2=A.|last3=de Almeida|first3=E. S. G.|last4=Vakili|first4=F.|last5=Domiciano de Souza|first5=A.|last6=Fouché|first6=M.|last7=Lai|first7=O.|last8=Vernet|first8=D.|last9=Kaiser|first9=R.|last10=Guerin|first10=W.|journal=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volume=494|issue=1|pages=218–227|s2cid=204788654}}</ref>

<ref name="8번 각주">{{cite journal|doi=10.1051/0004-6361:20000022|title=S Doradus variables in the Galaxy and the Magellanic Clouds|journal=Astronomy and Astrophysics|volume=366|issue=2|pages=508–531|year=2001|last1=Van Genderen|first1=A. M.|bibcode=2001A&A...366..508V|doi-access=free}}</ref>

<ref name="9번 각주">{{cite journal|bibcode=2001ASPC..233..133N|title=Spectroscopy of P Cygni|journal=P Cygni 2000: 400 Years of Progress|volume=233|pages=133|last1=Najarro|first1=F.|year=2001}}</ref>

<ref name="10번 각주">{{cite journal|bibcode=1997A&A...326.1117N|title=A spectroscopic investigation of P Cygni. I. H and HeI lines|journal=Astronomy and Astrophysics|volume=326|pages=1117|last1=Najarro|first1=F.|last2=Hillier|first2=D. J.|last3=Stahl|first3=O.|year=1997}}</ref>

<ref name="11번 각주">[https://www.google.com/books/edition/La_stella_nuoua_e_peregrina_comparsa_l_a/1ApV24LtwqkC?hl=en&gbpv=1 《1600년 백조의 가슴에서 나타난 신성, 재발견》] (La stella nuova e peregrina comparsa l'anno 1600 sul petto del cigno, scoverta nuovamente)에서도 기록되어 있음, by Giovanni Battista Hodierno, Published by Ignazio di Lazzari, Rome (1659).</ref>

<ref name="12번 각주">{{cite journal|doi=10.1088/0004-6256/139/6/2269|title=THE SPATIALLY RESOLVED Hα-EMITTING WIND STRUCTURE OF P CYGNI|journal=The Astronomical Journal|volume=139|issue=6|pages=2269|year=2010|last1=Balan|first1=Aurelian|last2=Tycner|first2=C.|last3=Zavala|first3=R. T.|last4=Benson|first4=J. A.|last5=Hutter|first5=D. J.|last6=Templeton|first6=M.|bibcode=2010AJ....139.2269B|arxiv = 1004.0376 |s2cid=46021658}}</ref>

<ref name="13번 각주">{{cite journal|bibcode=1992A&A...257..153L|title=Observed evolutionary changes in the visual magnitude of the luminous blue variable P Cygni|journal=Astronomy and Astrophysics|volume=257|pages=153|last1=Lamers|first1=H. J. G. L. M.|last2=De Groot|first2=M. J. H.|year=1992}}</ref>

<ref name="14번 각주">{{cite journal|doi=10.1086/155563|title=Infrared photometry of dwarf novae and possibly related objects|journal=The Astrophysical Journal|volume=217|pages=140|year=1977|last1=Szkody|first1=P.|bibcode=1977ApJ...217..140S}}</ref>

<ref name="15번 각주">{{cite journal|doi=10.1023/A:1005223314464|arxiv=astro-ph/9908309v1|year=1999|last1=Israelian|first1=G.|title=P Cygni: An Extraordinary Luminous Blue Variable|journal=Space Science Reviews|volume=90|issue=3/4|pages=493|last2=De Groot|first2=M.|bibcode=1999SSRv...90..493I|s2cid=118671563}}</ref>

<ref name="16번 각주">{{cite journal|doi=10.1086/519949|title=SN 2006gy: Discovery of the Most Luminous Supernova Ever Recorded, Powered by the Death of an Extremely Massive Star like η Carinae|journal=The Astrophysical Journal|volume=666|issue=2|pages=1116–1128|year=2007|last1=Smith|first1=Nathan|last2=Li|first2=Weidong|last3=Foley|first3=Ryan J.|last4=Wheeler|first4=J. Craig|last5=Pooley|first5=David|last6=Chornock|first6=Ryan|last7=Filippenko|first7=Alexei V.|last8=Silverman|first8=Jeffrey M.|last9=Quimby|first9=Robert|last10=Bloom|first10=Joshua S.|last11=Hansen|first11=Charles|bibcode=2007ApJ...666.1116S|arxiv = astro-ph/0612617 |s2cid=14785067}}</ref>

<ref name="17번 각주">{{cite journal|last1=Groh|first1=J. H.|last2=Meynet|first2=G.|last3=Ekström|first3=S.|date=2013|title=Massive star evolution: luminous blue variables as unexpected supernova progenitors |journal=Astronomy & Astrophysics|volume=550|id=L7|pages=4|doi=10.1051/0004-6361/201220741 | bibcode=2013A&A...550L...7G|arxiv = 1301.1519 |s2cid=119227339}}</ref>

<ref name="18번 각주">{{cite book|doi=10.1007/978-0-387-68288-4_10|chapter=The P Cygni Profile and Friends|title=Spectroscopy: The Key to the Stars|pages=119–125|series=Patrick Moore's Practical Astronomy Series|year=2007|last1=Robinson|first1=Keith|isbn=978-0-387-36786-6}}</ref>

<ref name="19번 각주">{{cite journal|doi=10.1111/j.1365-2966.2010.16582.x|title=An indication for the binarity of P Cygni from its 17th century eruption|journal=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volume=405|issue=3|pages=1924|year=2010|last1=Kashi|first1=Amit|bibcode=2010MNRAS.405.1924K|arxiv = 0912.3998 |s2cid=118551338}}</ref>

}}


== 참고 문헌 ==
== 외부 링크 ==
* [http://laserstars.org/spectra/PCygni.html Spectrum]
* 《peripatus.gen.nz》. [https://web.archive.org/web/20160527064210/http://www.peripatus.gen.nz/Astronomy/objPCyg.html P Cygni]. 2008년 11월 26일 확인.
* [http://www.aavso.org/vsots_pcyg AAVSO Variable Star of the Month. P Cygni: September 2009]
* 《laserstars.org》. [http://laserstars.org/spectra/PCygni.html P-CYGNI LINES]. 2008년 11월 26일 확인.
* 《[[SIMBAD]]》. [http://simbad.u-strasbg.fr/simbad/sim-id?Ident=P+Cyg&jsessionid=845DB52CDEDB504E1B6BB0E04B0202DA NOVA Cyg 1600 -- Nova]. 2008년 11월 26일 확인.


{{백조자리}}
{{백조자리}}
{{토막글|항성}}


[[분류:백조자리]]
[[분류:백조자리]]

2022년 1월 10일 (월) 11:43 판

백조자리 P
명칭
다른 이름 백조자리 신성 1600, 백조자리 34, JP11 3218, TD1 26474, GSC 03151-03442, TYC 3151-3442-1, AG+37° 1953, 2MASS J20174719+3801585, ALS 11097, HD 193237, MCW 849, BD+37°3871, Hen 3-1871, PLX 4837, CEL 5017, PPM 84645, P Cyg, RAFGL 5493S, GC 28218, HIP 100044, ROT 2959, GCRV 12673, HR 7763, SAO 69773, AAVSO 2014+37A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백조자리
적경(α) 20h 17m 47.2018s[1]
적위(δ) +38° 01′ 58.549″[1]
겉보기등급(m) mV=4.82[2] (3~6[3])
절대등급(M) MV=-7.9[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8.9 km/s[5]
적경 고유운동 연간 -3.53 밀리각초[1]
적위 고유운동 연간 -6.88 밀리각초[1]
연주시차 0.32 ± 0.16 밀리각초[1]
거리 1,560 ± 250 pc[6]
성질
광도 610,000 L[7]
분광형 B1-2 Ia-0ep[8]
U-B 색지수 -0.58[9]
B-V 색지수 +0.42[9]
변광성 분류 LBV[3]
추가 사항
질량 37 M[6]
반지름 76 R[7]
표면온도 18,700 K[7]
중원소 함량 (Fe/H) 0.29 He/H[7]
표면 중력 (log g) 2.25 cgs[6]
자전 속도 v sin i=35 km/s[10]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백조자리 P(영어: P Cygni)는 백조자리에 있는 변광성이다. 명칭 기호 P는 본래 요한 바이어가 이를 우라노메트리아신성으로 기록하면서 주어진 것이다. 지구에서 약 5,100광년 떨어진 이 별은 분광형 B형의 극대거성으로서 우리 은하에서 가장 밝은 별 중 하나이다.

가시적 정보

백조자리 P는 약 5,000광년에서 6,0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다. 상당히 먼 거리에 있지만, 어두운 곳에서는 육안으로도 관찰할 수 있다. 16세기가 끝날 때까지는 전해지는 기록이 없다가 갑자기 3등성으로 나타난 시점부터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를 처음 관측하였던 사람은 ​네덜란드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이자 지구본 장인이었던 빌럼 얀손 블라우로, 때는 그레고리력으로 1600년 8월 10일이었다. 이어서 바이어의 1603년 성표에서 이 항성에 대해 기타 명칭 P가 주어지며 이름에 대한 관습이 이어져 내려왔다.[11] 첫 관측으로부터 6년이 흘러서 백조자리 P는 서서히 어두워지기 시작하였고, 1626년에는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범위보다도 어두워졌다. 다시 밝아진 것은 1655년이었고, 1662년에 재차 가시 범위 바깥으로 어두워졌다. 1665년에도 급격한 변화가 관측되었고, 여러 차례의 변광 현상이 그 뒤를 이었다. 1715년 이후로는 미세한 변광 현상만 관측되는 5등성이 되었다. 오늘날 백조자리 P는 4.8등성이며, 수일의 척도에서 100분의 1등급 정도로 불규칙한 변광 현상을 보인다.[12] 안시 밝기는 한 세기마다 약 0.15등급씩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광도가 일정하면서 표면온도만 서서히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13]

백조자리 P를 영구 신성이라 일컫기도 하였다. 이는 백조자리 P가 신성과 분광학적으로 유사하면서 물질을 분출하는 것이 분명하였기 때문이었다. 한때는 신성을 분출 변광성으로 분류하였던 탓도 있었는데, 오늘날 분출 변광성의 거동은 신성과 상관있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14]

밝은 청색 변광성

백조자리 P는 밝은 청색 변광성(LBV) 중에서 가장 먼저 확인된 사례로 널리 알려져 지만, 전형적인 LBV와는 거리가 멀다. 일반적으로 LBV의 밝기 변화는 수 년에서 수십 년에 이르며, 간헐적으로 별의 밝기가 급증하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하지만 백조자리 P는 17세기에 있었던 수 차례의 급변 현상이 나타난 이후로 밝기나 스펙트럼이 크게 변화한 바 없다. 비슷한 사건이 용골자리 에타에서도 관측되었고, 일부 외부 은하 천체에서도 관측되었을 것이다.[15]

백조자리 P에는 지금으로부터 900년 전, 2,100년 전, 20,000년 전에 큰 분출 현상이 있었다는 정황이 나타난다. 최근 몇 세기 동안에는 안시등급이 매우 서서히 증가하면서 표면온도는 감소하는 모습이 나타나는데, 이는 이론의 예측처럼 질량이 큰 항성이 적색 초거성 단계로 진화하는 추세로 해석된다.[15]

진화

백조자리 P와 같은 밝은 청색 변광성은 극히 희귀하며 수명이 짧기 때문에 은하 내에서 별 탄생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영역에서만 나타난다. LBV 항성은 매우 무겁고 큰 에너지를 방출하기 때문에 핵에너지원을 매우 빠르게 소진한다. 그래서 수백만 년 동안만 빛을 낸 후 초신성 폭발로 생을 마감한다. 최근에 먼 은하에서 일어났던 초신성 2006gy는 백조자리 P와 유사한 LBV성의 말로일 것으로 추정된다.[16] 백조자리 P는 주계열을 떠난 직후인 수소 껍질 연소 단계에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15]

LBV가 일생에서 종착점이 되는 경우에 대해서 태양보다 20배에서 25배 무거운 항성은 IIb형 초신성으로 끝을 맞이할 것으로 예측된다.[17]

백조자리 P형 윤곽

백조자리 P를 상징하는 특유의 선 윤곽.

백조자리 P는 특정한 분광학적 특징을 가지는 유형의 원류이다. 이러한 유형의 특징은 백조자리 P의 이름을 따서 백조자리 P형 윤곽(영어: P Cygni profile)이라고 일컫는데, 동일한 선 스펙트럼의 윤곽이 방출선과 흡수선의 형태로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이다. 이는 항성에서 기체 껍질이 방출되어 팽창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방출선은 별 주변의 고밀도 항성풍에서 나오며, 청색으로 치우쳐 나타나는 흡수 돌출부는 복사가 관찰자 쪽으로 빠르게 팽창하는 별 주변 물질을 지나면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윤곽은 여러 유형의 별에서 나오는 항성풍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며, 다른 항성에서도 나타날 수 있긴 하더라도 종종 밝은 청색 변광성을 분류할 때의 지침이 된다.[15][18]

백조자리 P에서 항성풍 수소 알파 방출선 영역의 크기는 5.64±21밀리각초이다.[12] 추정 거리 1,700파섹에서 이 영역의 물리적 크기는 항성 반지름의 대략 26배이다.

동반성

백조자리 P의 분출은 질량이 동반성으로 질량 이동이 일어나면서 발생하였을 수도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가설상의 이 짝별은 분광형이 B형이고 질량이 태양의 세 배에서 여섯 배에 달하며, 백조자리 P를 7년 주기의 이심률이 큰 타원궤도로 공전한다. 동반성으로 물질이 떨어지면 중력 퍼텐셜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그 일부가 계의 광도를 높이는 데 쓰일 수 있다.[19]

각주

  1.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2. Ducati, J. R.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37: 0. Bibcode:2002yCat.2237....0D. 
  3.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4). “VizieR Online Data Catalog: Combined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4)”. 《VizieR On-line Data Catalog: II/250. Originally Published in: 2004yCat.2250....0S》 2250: 0. Bibcode:2004yCat.2250....0S. 
  4. Van Genderen, A. M. (2001). “S Doradus variables in the Galaxy and the Magellanic Cloud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66 (2): 508–531. Bibcode:2001A&A...366..508V. doi:10.1051/0004-6361:20000022. 
  5. Gontcharov, G. A. (2006). “Pulkovo Compilation of Radial Velocities for 35 495 Hipparcos stars in a common system”. 《Astronomy Letters》 32 (11): 759–771. arXiv:1606.08053. Bibcode:2006AstL...32..759G. doi:10.1134/S1063773706110065. S2CID 119231169. 
  6. Rivet, J-P; Siciak, A.; de Almeida, E. S. G.; Vakili, F.; Domiciano de Souza, A.; Fouché, M.; Lai, O.; Vernet, D.; Kaiser, R.; Guerin, W. (2020). “Intensity interferometry of P Cygni in the H α emission line: Towards distance calibration of LBV supergiant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94 (1): 218–227. arXiv:1910.08366. Bibcode:2020MNRAS.494..218R. doi:10.1093/mnras/staa588. S2CID 204788654. 
  7. Najarro, F. (2001). “Spectroscopy of P Cygni”. 《P Cygni 2000: 400 Years of Progress》 233: 133. Bibcode:2001ASPC..233..133N. 
  8. Skiff, B. A. (2014).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Spectral Classifications (Skiff, 2009-2016)”. 《VizieR On-line Data Catalog: B/Mk. Originally Published in: Lowell Observatory (October 2014)》 1. Bibcode:2014yCat....1.2023S. 
  9. Smith, L. J.; Crowther, P. A.; Prinja, R. K. (1994). “A study of the luminous blue variable candidate He 3-519 and its surrounding nebula”. 《Astronomy and Astrophysics》 281: 833. Bibcode:1994A&A...281..833S. 
  10. Najarro, F.; Hillier, D. J.; Stahl, O. (1997). “A spectroscopic investigation of P Cygni. I. H and HeI line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26: 1117. Bibcode:1997A&A...326.1117N. 
  11. 《1600년 백조의 가슴에서 나타난 신성, 재발견》 (La stella nuova e peregrina comparsa l'anno 1600 sul petto del cigno, scoverta nuovamente)에서도 기록되어 있음, by Giovanni Battista Hodierno, Published by Ignazio di Lazzari, Rome (1659).
  12. Balan, Aurelian; Tycner, C.; Zavala, R. T.; Benson, J. A.; Hutter, D. J.; Templeton, M. (2010). “THE SPATIALLY RESOLVED Hα-EMITTING WIND STRUCTURE OF P CYGNI”. 《The Astronomical Journal》 139 (6): 2269. arXiv:1004.0376. Bibcode:2010AJ....139.2269B. doi:10.1088/0004-6256/139/6/2269. S2CID 46021658. 
  13. Lamers, H. J. G. L. M.; De Groot, M. J. H. (1992). “Observed evolutionary changes in the visual magnitude of the luminous blue variable P Cygni”. 《Astronomy and Astrophysics》 257: 153. Bibcode:1992A&A...257..153L. 
  14. Szkody, P. (1977). “Infrared photometry of dwarf novae and possibly related objects”. 《The Astrophysical Journal》 217: 140. Bibcode:1977ApJ...217..140S. doi:10.1086/155563. 
  15. Israelian, G.; De Groot, M. (1999). “P Cygni: An Extraordinary Luminous Blue Variable”. 《Space Science Reviews》 90 (3/4): 493. arXiv:astro-ph/9908309v1. Bibcode:1999SSRv...90..493I. doi:10.1023/A:1005223314464. S2CID 118671563. 
  16. Smith, Nathan; Li, Weidong; Foley, Ryan J.; Wheeler, J. Craig; Pooley, David; Chornock, Ryan; Filippenko, Alexei V.; Silverman, Jeffrey M.; Quimby, Robert; Bloom, Joshua S.; Hansen, Charles (2007). “SN 2006gy: Discovery of the Most Luminous Supernova Ever Recorded, Powered by the Death of an Extremely Massive Star like η Carinae”. 《The Astrophysical Journal》 666 (2): 1116–1128. arXiv:astro-ph/0612617. Bibcode:2007ApJ...666.1116S. doi:10.1086/519949. S2CID 14785067. 
  17. Groh, J. H.; Meynet, G.; Ekström, S. (2013). “Massive star evolution: luminous blue variables as unexpected supernova progenitors”. 《Astronomy & Astrophysics》 550: 4. arXiv:1301.1519. Bibcode:2013A&A...550L...7G. doi:10.1051/0004-6361/201220741. S2CID 119227339. L7. 
  18. Robinson, Keith (2007). 〈The P Cygni Profile and Friends〉. 《Spectroscopy: The Key to the Stars》. Patrick Moore's Practical Astronomy Series. 119–125쪽. doi:10.1007/978-0-387-68288-4_10. ISBN 978-0-387-36786-6. 
  19. Kashi, Amit (2010). “An indication for the binarity of P Cygni from its 17th century eruptio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5 (3): 1924. arXiv:0912.3998. Bibcode:2010MNRAS.405.1924K. doi:10.1111/j.1365-2966.2010.16582.x. S2CID 11855133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