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귀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lex-weki(토론)의 27843022판 편집을 되돌림 이런걸 함부로 게재해도 됩니까??
태그: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잔글 "Glans penis" 문서를 번역하여 만듦
1번째 줄: 1번째 줄:
{{해부학 정보
|이름 = 귀두
|그림 =
|설명 =
|그림2 =
|설명2 =
|도해 =
|도해위치 =
|도해설명 =
|영어 = Glans Penis
|라틴 =
|그레이제목 =
|그레이페이지 =
|기관 = 생식 기관
|동맥 =
|정맥 =
|신경 =
|림프 =
|파생 =
|의학주제표제이름 =
|의학주제표제년도 =
|돌란드처음 =
|돌란드끝 =
}}


[[파일:Male_anatomy.png|섬네일|250x250픽셀| 귀두 음경의 위치를 보여주는 남성 해부학.]]
'''귀두'''(龜頭, glans)는 [[음경]]의 머리부위에 해당되며 말랑한 해면체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성교시 피스톤 이동의 충격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원래 귀두는 발기 전 부피가 작고 포피에 싸여져 있고 발기시 피가 모이게 되어 부피가 증가하고 외부로 돌출된다. 다량의 신경이 분포하고 성적자극에 민감한 조직이다. 귀두에는 털이나 땀샘은 없지만, 지방성 분비물을 분비하는 포피선있다. 남성은 [[성행위]]나 [[자위행위]]때 귀두에 반복된 마찰을 통한 자극으로 [[사정 (생리학)|사정]]을 수반하는 [[오르가즘]]에 도달한다.
'''귀두'''(Glans)는 수컷 포유류의 성기 말단에 있는 신체 구조이다. 귀두는 [[인간의 음경]] 끝에 있는 민감한 구 구조이며, 인간 여성의 [[음핵|음핵 귀두]]와 해부학적으로 [[상동성|상동]]한다.


일반적으로 귀두는 [[포경수술]]을 받은 사람을 제외하고 인간의 [[포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포피]]는 귀두 위와 귀두를 지나서 수축될 수 있으며 [[발기]] 중에 자동으로 수축된다.
포경수술을 받은 경우 귀두는 항상 외부에 노출되며 각질화된다.


== 관련 질병 ==
== 인간 ==
* 귀두포피염: 귀두를 덥는 포피와 귀두 사이에 염증이 생긴 것이다. 2~3일간 목욕을 통해서 호전 될 수 있다.


== 성병 감염 경로 ==
=== 구조 ===
귀두는 해면체의 확장된 기관이다. 귀두는 corpora cavernosa penis의 둥근 끝 부분에 성형되어 아래쪽 표면보다 위쪽에서 더 뻗어 있다. 귀두의 맨 끝에는 슬릿 모양의 요도 구멍이 있다. 귀두 기저부의 둘레는 둥글게 돌출된 테두리인 코로나 선을 형성하며, 뒤에는 음경의 목이 있는 관상 고랑이 돌출되어 있다. 귀두의 크기는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성교 중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 역할을 한다.<ref>HSU, G‐L., et al. "The distribution of elastic fibrous elements within the human penis." BJU International 73.5 (1994): 566-571.</ref>
[[포경수술]]을 받지 않은 경우 귀두는 점막피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를 통해 성병 등에 걸릴 수 있다.


포피는 습한 환경에서 점막을 유지한다.<ref name="prakash">{{저널 인용|제목=Sub-Preputial Wetness--Its Nature|저널=Annals of National Medical Science (India)|성=Prakash|이름=Satya|성2=Raghuram Rao|url=http://www.cirp.org/library/anatomy/prakash/|날짜=July 1982|권=18|호=3|쪽=109–112|성3=K. Venkatesan|성4=S. Ramakrishnan}}</ref> 포경수술을 한 [[음경]]에는 영구적으로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기도 한다. 포경수슬을 받지 않은 사람의 귀두와 포경수술을 받은 귀두의 민감성은 동일하다.<ref name="bleustein">{{저널 인용|제목=Effect of neonatal circumcision on penile neurologic sensation|저널=Urology|성=Bleustein|이름=Clifford B.|성2=James D. Fogarty|날짜=April 2005|권=65|호=4|쪽=773–7|doi=10.1016/j.urology.2004.11.007|pmid=15833526|성3=Haftan Eckholdt|성4=Joseph C. Arezzo|성5=Arnold Melman}}</ref><ref name="payne2007">{{저널 인용|제목=Sensation and Sexual Arousal in Circumcised and Uncircumcised Men|저널=Journal of Sexual Medicine|성=Payne|이름=Kimberley|성2=Thaler, Lea|날짜=May 2007|권=4|호=3|쪽=667–674|doi=10.1111/j.1743-6109.2007.00471.x|pmid=17419812|성3=Kukkonen, Tuuli|성4=Carrier, Serge|성5=[[Irving M. Binik|Binik, Yitzchak]]}}</ref><ref name="yangdm">{{저널 인용|제목=Circumcision affects glans penis vibration perception threshold|저널=Zhonghua Nan Ke Xue|성=Yang|이름=DM|성2=Lin H|날짜=April 2008|권=14|호=4|쪽=328–330|pmid=18481425|성3=Zhang B|성4=Guo W}}</ref>
{{위키공용분류}}
{{생식계통}}
{{해부학}}
{{전거 통제}}
{{토막글|인체}}


=== 임상적 중요성 ===
[[분류:남성의 생식 기관]]
[[요도]]의 [[요도구멍]]은 귀두 끝에 있다.
[[분류:귀두]]

귀두의 [[상피 조직|상피]]는 점막 피부 조직이다.<ref name="halata2">{{서적 인용|url=http://www.cirp.org/library/anatomy/halata2/|제목=Sensory innervation of the human penis|성=Halata|이름=Zdenek|성2=A. Spaethe|연도=1997|총서=Advances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권=424|쪽=265–6|doi=10.1007/978-1-4615-5913-9_48|isbn=978-0-306-45696-1|pmid=9361804|확인날짜=2006-07-07}}</ref> 따라서 비누로 과도하게 씻으면 귀두를 덮고 있는 점막이 건조되어 비특이적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ref name="birley">{{저널 인용|제목=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of recurrent balanitis; association with atopy and genital washing|저널=Genitourinary Medicine|성=Birley|이름=H. D.|성2=M .M. Walker|url=http://www.cirp.org/library/disease/balanitis/birley/|날짜=October 1993|권=69|호=5|쪽=400–3|doi=10.1136/sti.69.5.400|pmc=1195128|pmid=8244363|성3=G. A. Luzzi|성4=R. Bell|성5=D. Taylor-Robinson|성6=M. Byrne|성7=A. M. Renton}}</ref>

귀두에 염증이 생기는 질병을 [[귀두염]]이라 하며 남성의 3~11%(당뇨병 남성은 최대 35%)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위생 습관이 좋지 않거나 포경수술을 받지 않은 남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ref name="edwards">{{저널 인용|제목=Balanitis and balanoposthitis: a review|저널=Genitourinary Medicine|성=Edwards|이름=Sarah|url=http://www.cirp.org/library/disease/balanitis/edwards1/|날짜=June 1996|권=72|호=3|쪽=155–9|doi=10.1136/sti.72.3.155|pmc=1195642|pmid=8707315}}</ref> 또한 자극이나 다양한 [[병원체]]에 의한 감염 등 수 많은 원인이 있다. 치료를 위해 환자의 병력, 신체 검사, 배양, [[생검]]을 통해 원인을 식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육류 협착증 은 포경 수술의 후기 합병증으로, 포경 수술을받은 소년의 약 2 ~ 20 %에서 발생합니다.

== 다른 동물들 ==
수컷 [[고양이과|고양이]]는 귀두 끝을 뒤로 구부려서 뒤로 소변을 볼 수 있다.<ref name="Mathur2010">{{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QKXOCgoI6D8C&q=curved+backward|제목=Animal Behaviour 3/e|성=Reena Mathur|연도=2010|출판사=Rastogi Publications|isbn=978-81-7133-747-7|확인날짜=10 February 2013}}</ref> 고양이의 귀두는 가시로 덮여 있지만 개의 귀두는 부드럽습니다. 음경 가시는 [[점박이하이에나]]의 귀두에도 발생한다.<ref name="Ewer1973">{{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IETMd3-lSlkC&q=glans&pg=PA116|제목=The Carnivores|성=R. F. Ewer|연도=1973|출판사=Cornell University Press|쪽=116–|isbn=978-0-8014-8493-3|확인날짜=8 February 2013}}</ref>

수컷의 경우 귀두는 구근선(bulus glandis)과 파스롱가선(pars longa glandis)이라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ref name="EvansLahunta2013">{{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6eBOAQAAQBAJ&q=%28%22glans%22+OR+%22bulbus+glandis%22+OR+%22pars+longa+glandis%22%29|제목=Miller's Anatomy of the Dog|성=Howard E. Evans|성2=Alexander de Lahunta|날짜=7 August 2013|출판사=Elsevier Health Sciences|isbn=978-0-323-26623-9}}</ref> 포사(Fossa)의 귀두는 축의 절반 정도 아래로 뻗어 있으며 끝 부분을 제외하고는 가시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해 펠리드의 귀두는 짧고 가시가 있는 반면, 비베리드의 귀두는 부드럽고 길다.<ref name="1986Köhncke">{{저널 인용|제목=''Cryptoprocta ferox''|저널=[[Mammalian Species]]|성=Köhncke|이름=M.|성2=Leonhardt|이름2=K.|url=http://www.science.smith.edu/departments/Biology/VHAYSSEN/msi/pdf/i0076-3519-254-01-0001.pdf|연도=1986|호=254|쪽=1–5|doi=10.2307/3503919|jstor=3503919|확인날짜=19 May 2010}}</ref> 귀두의 모양은 [[유대류]] 종에 따라 다르다.<ref name="Society1978">{{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N_ifwszrgFsC&q=marsupial+%22glans%22&pg=PA73|제목=Australian Mammal Society|성=Australian Mammal Society|날짜=December 1978|출판사=Australian Mammal Society|쪽=73–|확인날짜=25 December 2012}}</ref><ref name="OsgoodHerrick1921">{{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8Ag9AAAAYAAJ&q=marsupial+%22glans%22&pg=PA64|제목=A monographic study of the American marsupial, Caēnolestes …|성=Wilfred Hudson Osgood|성2=Charles Judson Herrick|연도=1921|출판사=University of Chicago|쪽=64–|확인날짜=25 December 2012}}</ref><ref name="The Urologic and Cutaneous Review">{{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nApEAAAAYAAJ&q=marsupial+%22glans%22&pg=PA677|제목=The Urologic and Cutaneous Review|연도=1920|출판사=Urologic & Cutaneous Press|쪽=677–|확인날짜=25 December 2012}}</ref> 대부분의 유대류에서 귀두는 분할되지만 수컷 [[캥거루과|캥거루족]]에는 분할되지 않은 귀두가 존재한다.<ref name="Renfree1987">{{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HpjovN0vXW4C|제목=Reproductive Physiology of Marsupials|성=Renfree|이름=Marilyn|성2=Hugh Tyndale-Biscoe|날짜=1987-01-30|출판사=Cambridge University Press|isbn=9780521337922|확인날짜=5 May 2013}}</ref><ref name="Griffiths2012">{{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W7nu16_DkTgC&q=glans|제목=The Biology of the Monotremes|성=Mervyn Griffiths|날짜=2 December 2012|출판사=Elsevier Science|isbn=978-0-323-15331-7}}</ref><ref name="Hyman1992">{{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VKlWjdOkiMwC&q=glans|제목=Hyman's Comparative Vertebrate Anatomy|성=Libbie Henrietta Hyman|날짜=15 September 1992|출판사=University of Chicago Press|isbn=978-0-226-87013-7}}</ref>

말이 발기하면 귀두가 3~4배 증가한다. [[요도]]는 귀두의 말단에 있는 작은 주머니인 [[씨말]] 내에서 열린다.<ref>{{웹 인용|url=http://www.wisc.edu/ansci_repro/101equinelab/reproduction/stallion_exam.html|제목=The Stallion: Breeding Soundness Examination & Reproductive Anatomy|출판사=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0716140038/http://www.wisc.edu/ansci_repro/101equinelab/reproduction/stallion_exam.html|보존날짜=2007-07-16|확인날짜=7 July 2007}}</ref> 인간의 귀두와 달리 말의 귀두는 샤프트에서 뒤로 뻗어 있다. <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JEgy1tHA7b0C&q=glans+stallion|제목=Mating Males: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n Mammalian Reproduction|날짜=30 June 2012|출판사=Cambridge University Press|isbn=978-1-107-00001-8|확인날짜=5 May 2013}}</ref> <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i-YhIvDgfJoC&q=glans|제목=McCurnin's Clinical Textbook for Veterinary Technicians - Joanna M Bassert, Dennis M McCurnin - Google Boeken|성=Bassert|이름=Joanna M|성2=McCurnin|이름2=Dennis M|날짜=2013-04-01|isbn=9781455728848|확인날짜=2013-08-16}}</ref> <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RXhcr53lkbwC&q=glans|제목=Horseman's Veterinary Encyclopedia, Revised and Updated - Equine Research - Google Boeken|성=Research|이름=Equine|날짜=2005-07-01|isbn=9780762794515|확인날짜=2013-08-16}}</ref> <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Cu-XUjVS85QC&q=glans|제목=Equine Clinical Medicine, Surgery and Reproduction - Graham Munroe BVSc (Hons) PhD Cert EO DESM Dip ECVS FRCVS, Scott Weese DVM DVSc DipACVIM - Google Boeken|성=Weese|이름=Scott|성2=Graham Munroe|이름2=Dr|날짜=2011-03-15|isbn=9781840766080|확인날짜=2013-08-16|성3=Munroe|이름3=Graham}}</ref> <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QoXiBjSp368C&q=glans|제목=Veterinary Anatomy of Domestic Mammals: Textbook and Colour Atlas - Google Boeken|성=König|이름=Horst Erich|성2=Hans-Georg|이름2=Hans-Georg|연도=2007|isbn=9783794524853|확인날짜=2013-08-16|성3=Bragulla|이름3=H}}</ref> <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krD1bAEqypcC&q=glans|제목=Horse Conformation: Structure, Soundness, and Performance - Equine Research - Google Boeken|성=Hedge|이름=Juliet|연도=2004|isbn=9781592284870|확인날짜=2013-08-16}}</ref> <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oyHr4hVs0m0C&q=glans|제목=The Horse - Google Boeken|성=Evans|이름=Warren J|성2=Borton|이름2=Anthony|날짜=1990-02-15|isbn=9780716718116|확인날짜=2013-08-16|성3=Hintz|이름3=Harold|성4=Dale Van Vleck|이름4=L}}</ref> <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6iNdSk7gPf4C&q=glans+horse|제목=Comparative Reproductive Biology - Heide Schatten, Gheorghe M. Constantinescu - Google Boeken|성=Schatten|이름=Heide|성2=Constantinescu|이름2=Gheorghe M|날짜=2008-03-21|isbn=9780470390252|확인날짜=2013-08-16}}</ref> <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QPJQT6-g-YMC&q=glans|제목=Equine Reproduction - Google Boeken|성=McKinnon|이름=Angus O|성2=Squires|이름2=Edward L|날짜=2011-07-05|isbn=9780470961872|확인날짜=2013-08-16|성3=Vaala|이름3=Wendy E|성4=Varner|이름4=Dickson D}}</ref>

pipistrelle bat는 좁은 달걀 모양의 귀두를 가지고 있다.<ref>Bates et al., 2006, pp.&nbsp;306–307</ref>

수컷 [[케이프땅다람쥐]]의 귀두에는 [[음경골]]이 존재한다.<ref name="Skurski2005">Skurski, D., J. Waterman. 2005. "Xerus inauris", ''Mammalian Species'' 781:1-4.</ref>

== 참고 ==

* [[음핵]]
* [[포피]]
* [[진주양음경구진증]]

== 각주 ==
{{각주}}

2020년 11월 24일 (화) 00:22 판

파일:Male anatomy.png
귀두 음경의 위치를 보여주는 남성 해부학.

귀두(Glans)는 수컷 포유류의 성기 말단에 있는 신체 구조이다. 귀두는 인간의 음경 끝에 있는 민감한 구 구조이며, 인간 여성의 음핵 귀두와 해부학적으로 상동한다.

일반적으로 귀두는 포경수술을 받은 사람을 제외하고 인간의 포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포피는 귀두 위와 귀두를 지나서 수축될 수 있으며 발기 중에 자동으로 수축된다.

인간

구조

귀두는 해면체의 확장된 기관이다. 귀두는 corpora cavernosa penis의 둥근 끝 부분에 성형되어 아래쪽 표면보다 위쪽에서 더 뻗어 있다. 귀두의 맨 끝에는 슬릿 모양의 요도 구멍이 있다. 귀두 기저부의 둘레는 둥글게 돌출된 테두리인 코로나 선을 형성하며, 뒤에는 음경의 목이 있는 관상 고랑이 돌출되어 있다. 귀두의 크기는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성교 중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 역할을 한다.[1]

포피는 습한 환경에서 점막을 유지한다.[2] 포경수술을 한 음경에는 영구적으로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기도 한다. 포경수슬을 받지 않은 사람의 귀두와 포경수술을 받은 귀두의 민감성은 동일하다.[3][4][5]

임상적 중요성

요도요도구멍은 귀두 끝에 있다.

귀두의 상피는 점막 피부 조직이다.[6] 따라서 비누로 과도하게 씻으면 귀두를 덮고 있는 점막이 건조되어 비특이적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7]

귀두에 염증이 생기는 질병을 귀두염이라 하며 남성의 3~11%(당뇨병 남성은 최대 35%)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위생 습관이 좋지 않거나 포경수술을 받지 않은 남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8] 또한 자극이나 다양한 병원체에 의한 감염 등 수 많은 원인이 있다. 치료를 위해 환자의 병력, 신체 검사, 배양, 생검을 통해 원인을 식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육류 협착증 은 포경 수술의 후기 합병증으로, 포경 수술을받은 소년의 약 2 ~ 20 %에서 발생합니다.

다른 동물들

수컷 고양이는 귀두 끝을 뒤로 구부려서 뒤로 소변을 볼 수 있다.[9] 고양이의 귀두는 가시로 덮여 있지만 개의 귀두는 부드럽습니다. 음경 가시는 점박이하이에나의 귀두에도 발생한다.[10]

수컷의 경우 귀두는 구근선(bulus glandis)과 파스롱가선(pars longa glandis)이라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11] 포사(Fossa)의 귀두는 축의 절반 정도 아래로 뻗어 있으며 끝 부분을 제외하고는 가시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해 펠리드의 귀두는 짧고 가시가 있는 반면, 비베리드의 귀두는 부드럽고 길다.[12] 귀두의 모양은 유대류 종에 따라 다르다.[13][14][15] 대부분의 유대류에서 귀두는 분할되지만 수컷 캥거루족에는 분할되지 않은 귀두가 존재한다.[16][17][18]

말이 발기하면 귀두가 3~4배 증가한다. 요도는 귀두의 말단에 있는 작은 주머니인 씨말 내에서 열린다.[19] 인간의 귀두와 달리 말의 귀두는 샤프트에서 뒤로 뻗어 있다. [20] [21] [22] [23] [24] [25] [26] [27] [28]

pipistrelle bat는 좁은 달걀 모양의 귀두를 가지고 있다.[29]

수컷 케이프땅다람쥐의 귀두에는 음경골이 존재한다.[30]

참고

각주

  1. HSU, G‐L., et al. "The distribution of elastic fibrous elements within the human penis." BJU International 73.5 (1994): 566-571.
  2. Prakash, Satya; Raghuram Rao; K. Venkatesan; S. Ramakrishnan (July 1982). “Sub-Preputial Wetness--Its Nature”. 《Annals of National Medical Science (India)》 18 (3): 109–112. 
  3. Bleustein, Clifford B.; James D. Fogarty; Haftan Eckholdt; Joseph C. Arezzo; Arnold Melman (April 2005). “Effect of neonatal circumcision on penile neurologic sensation”. 《Urology》 65 (4): 773–7. doi:10.1016/j.urology.2004.11.007. PMID 15833526. 
  4. Payne, Kimberley; Thaler, Lea; Kukkonen, Tuuli; Carrier, Serge; Binik, Yitzchak (May 2007). “Sensation and Sexual Arousal in Circumcised and Uncircumcised Men”. 《Journal of Sexual Medicine》 4 (3): 667–674. doi:10.1111/j.1743-6109.2007.00471.x. PMID 17419812. 
  5. Yang, DM; Lin H; Zhang B; Guo W (April 2008). “Circumcision affects glans penis vibration perception threshold”. 《Zhonghua Nan Ke Xue》 14 (4): 328–330. PMID 18481425. 
  6. Halata, Zdenek; A. Spaethe (1997). 《Sensory innervation of the human penis》. Advances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 424. 265–6쪽. doi:10.1007/978-1-4615-5913-9_48. ISBN 978-0-306-45696-1. PMID 9361804. 2006년 7월 7일에 확인함. 
  7. Birley, H. D.; M .M. Walker; G. A. Luzzi; R. Bell; D. Taylor-Robinson; M. Byrne; A. M. Renton (October 1993). “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of recurrent balanitis; association with atopy and genital washing”. 《Genitourinary Medicine》 69 (5): 400–3. doi:10.1136/sti.69.5.400. PMC 1195128. PMID 8244363. 
  8. Edwards, Sarah (June 1996). “Balanitis and balanoposthitis: a review”. 《Genitourinary Medicine》 72 (3): 155–9. doi:10.1136/sti.72.3.155. PMC 1195642. PMID 8707315. 
  9. Reena Mathur (2010). 《Animal Behaviour 3/e》. Rastogi Publications. ISBN 978-81-7133-747-7. 2013년 2월 10일에 확인함. 
  10. R. F. Ewer (1973). 《The Carnivores》. Cornell University Press. 116–쪽. ISBN 978-0-8014-8493-3. 2013년 2월 8일에 확인함. 
  11. Howard E. Evans; Alexander de Lahunta (2013년 8월 7일). 《Miller's Anatomy of the Dog》. Elsevier Health Sciences. ISBN 978-0-323-26623-9. 
  12. Köhncke, M.; Leonhardt, K. (1986). Cryptoprocta ferox (PDF). 《Mammalian Species》 (254): 1–5. doi:10.2307/3503919. JSTOR 3503919. 2010년 5월 19일에 확인함. 
  13. Australian Mammal Society (December 1978). 《Australian Mammal Society》. Australian Mammal Society. 73–쪽. 2012년 12월 25일에 확인함. 
  14. Wilfred Hudson Osgood; Charles Judson Herrick (1921). 《A monographic study of the American marsupial, Caēnolestes …》. University of Chicago. 64–쪽. 2012년 12월 25일에 확인함. 
  15. 《The Urologic and Cutaneous Review》. Urologic & Cutaneous Press. 1920. 677–쪽. 2012년 12월 25일에 확인함. 
  16. Renfree, Marilyn; Hugh Tyndale-Biscoe (1987년 1월 30일). 《Reproductive Physiology of Marsupi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337922. 2013년 5월 5일에 확인함. 
  17. Mervyn Griffiths (2012년 12월 2일). 《The Biology of the Monotremes》. Elsevier Science. ISBN 978-0-323-15331-7. 
  18. Libbie Henrietta Hyman (1992년 9월 15일). 《Hyman's Comparative Vertebrate Anatom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87013-7. 
  19. “The Stallion: Breeding Soundness Examination & Reproductive Anatomy”.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07년 7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7일에 확인함. 
  20. 《Mating Males: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n Mammalian Rep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년 6월 30일. ISBN 978-1-107-00001-8. 2013년 5월 5일에 확인함. 
  21. Bassert, Joanna M; McCurnin, Dennis M (2013년 4월 1일). 《McCurnin's Clinical Textbook for Veterinary Technicians - Joanna M Bassert, Dennis M McCurnin - Google Boeken》. ISBN 9781455728848. 2013년 8월 16일에 확인함. 
  22. Research, Equine (2005년 7월 1일). 《Horseman's Veterinary Encyclopedia, Revised and Updated - Equine Research - Google Boeken》. ISBN 9780762794515. 2013년 8월 16일에 확인함. 
  23. Weese, Scott; Graham Munroe, Dr; Munroe, Graham (2011년 3월 15일). 《Equine Clinical Medicine, Surgery and Reproduction - Graham Munroe BVSc (Hons) PhD Cert EO DESM Dip ECVS FRCVS, Scott Weese DVM DVSc DipACVIM - Google Boeken》. ISBN 9781840766080. 2013년 8월 16일에 확인함. 
  24. König, Horst Erich; Hans-Georg, Hans-Georg; Bragulla, H (2007). 《Veterinary Anatomy of Domestic Mammals: Textbook and Colour Atlas - Google Boeken》. ISBN 9783794524853. 2013년 8월 16일에 확인함. 
  25. Hedge, Juliet (2004). 《Horse Conformation: Structure, Soundness, and Performance - Equine Research - Google Boeken》. ISBN 9781592284870. 2013년 8월 16일에 확인함. 
  26. Evans, Warren J; Borton, Anthony; Hintz, Harold; Dale Van Vleck, L (1990년 2월 15일). 《The Horse - Google Boeken》. ISBN 9780716718116. 2013년 8월 16일에 확인함. 
  27. Schatten, Heide; Constantinescu, Gheorghe M (2008년 3월 21일). 《Comparative Reproductive Biology - Heide Schatten, Gheorghe M. Constantinescu - Google Boeken》. ISBN 9780470390252. 2013년 8월 16일에 확인함. 
  28. McKinnon, Angus O; Squires, Edward L; Vaala, Wendy E; Varner, Dickson D (2011년 7월 5일). 《Equine Reproduction - Google Boeken》. ISBN 9780470961872. 2013년 8월 16일에 확인함. 
  29. Bates et al., 2006, pp. 306–307
  30. Skurski, D., J. Waterman. 2005. "Xerus inauris", Mammalian Species 78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