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절대 수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해석학 (수학)|해석학]]에서, '''절대 수렴'''(絶對收斂, {{llang|en|absolute convergence}})은 [[급수 (수학)|급수]]가 각 항에 [[절댓값]]을 취하였을 때 [[수렴]]하는 성질이다. 만약 어떤 급수가 절대 수렴한다면, 원래의 급수 역시 수렴한다.
수학에서, [[급수|무한급수]]의 항들의 절댓값들을 구하여 이의 합이 수렴할 때, 이 무한급수가 '''절대수렴'''(絶對收斂, 영어: absolute convergence)한다고 한다. 다시 말해, 어떤 실수 L에 대해서 <math>\textstyle\sum_{n=0}^\infty \left|a_n\right| = L</math>가 성립할 경우 복소 급수 <math>\sum_{n=0}^\infty a_n</math>를 '''절대수렴급수'''라고 한다. 이와 유사하게는 [[이상적분]] <math>\textstyle\int_0^\infty f(x)\,dx</math>에 대해서도 <math>\textstyle\int_0^\infty \left|f(x)\right|dx = L</math>가 성립할 때 이가 절대수렴한다고 표현한다.


== 정의 ==
절대수렴은 모든 수렴 급수들이 갖지는 못하는 부분합에 대한 특성들을 가질 정도로 강력하면서도 여러 급수에서 빈번히 나타날 정도로 넓은 정의를 가졌기에 무한급수에 대한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math>\mathbb K\in\{\mathbb R,\mathbb C\}</math>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라고 하자.


=== 실수항 또는 복소수항 급수 ===
== 배경 ==
<math>\mathbb K</math> 항의 급수 <math>\textstyle\sum_{n=0}^\infty x_n</math> (<math>x_n\in\mathbb K</math>)가 주어졌을 때, 만약 각 항에 [[절댓값]]을 취하여 얻는 음이 아닌 실수 항의 급수가 [[수렴]]한다면, 즉
모든 <math>a_n</math>이 [[아벨 군|아벨]] [[위상군]]에 속하는  <math>\sum_{n=0}^{\infty} a_n </math>을 생각해보면, 절대수렴에 대한 엄밀한 접근을 위해 [[노름]]이라 하는 함수 <math>\|\cdot\|: G \to \mathbb{R}</math> 가 필요하다. (G는 항등원 0이 포함된 아벨 군이다.) 이 함수는 아래의 성질을 만족한다.
:<math>\sum_{n=0}^\infty|x_n|<\infty</math>
# G의 항등원의 노름값은 0이다. 곧, <math>\|0\| = 0.</math>
라면, 원래의 급수 <math>\textstyle\sum_{n=0}^\infty x_n</math>가 '''절대 수렴'''한다고 한다.
# G의 모든 원소 x에 대해 <math>\|x\| = 0</math>는 <math>x=0</math>을 의미한다.
# G의 모든 원소 x에 대해 <math>\|-x\| = \|x\|.</math> 
# G의 모든 원소 x, y에 대해  <math>\|x+y\| \leq \|x\| + \|y\|.</math>
이 경우, 함수 <math>d(x,y) = \|x-y\|</math> 는 G 상에 하나의 [[거리 공간]]을 형성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G 상의 급수 <math>\textstyle\sum_{n=0}^\infty a_n</math> 중 <math> \sum_{n=0}^{\infty} \|a_n\| < \infty</math><를 만족하는 급수가 절대수렴한다고 정의해도 무방할 것이다.


=== 바나흐 공간 위의 급수 ===
이 노름이라는 함수 중 대표적인 것은 절댓값 함수 |x|로, 이하 서술에서 이를 사용하도록 하겠다.
<math>\mathbb K</math>-[[바나흐 공간]] <math>(X,\Vert\cdot\Vert)</math> 위의 급수 <math>\textstyle\sum_{n=0}^\infty x_n</math> (<math>x_n\in X</math>)가 주어졌을 때, 만약 각 항에 [[노름]]을 취하여 얻는 음이 아닌 실수 항의 급수가 [[수렴]]한다면, 즉
:<math>\sum_{n=0}^\infty\Vert x_n\Vert<\infty</math>
라면, 원래의 급수 <math>\textstyle\sum_{n=0}^\infty x_n</math>가 '''절대 수렴'''한다고 한다.


== 수렴과의 연관성 ==
== 성질 ==
실수항 또는 복소수항 절대 수렴 급수는 항상 수렴한다 ('''절대 수렴 판정법''', 絶對收斂判定法, {{llang|en|absolute convergence test}}). 보다 일반적으로, [[바나흐 공간]] 위의 모든 절대 수렴 급수는 수렴한다.<ref name="Kadets">{{서적 인용
만약 G가 거리함수 d에 대한 [[완비 거리 공간]]이라면 모든 절대 수렴 급수는 수렴한다. 이에 대한 증명은 완비성을 통해 코시 판정법을 이용한 후 삼각 부등식을 적용함으로써 간단히 보일 수 있다.
|성1=Kadets
|이름1=Mikhail I.
|성2=Kadets
|이름2=Vladimir M.
|제목=Series in Banach Spaces. Conditional and Unconditional Convergence
|언어=en
|총서=Operator Theory Advances and Applications
|권=94
|출판사=Birkhäuser
|위치=Basel
|날짜=1997
|isbn=978-3-0348-9942-0
|doi=10.1007/978-3-0348-9196-7
}}</ref>{{rp|8, §1.2, Theorem 1.2.2}}
{{증명|부제=실수항 급수}}
실수항 급수 <math>\textstyle\sum_{n=0}^\infty x_n</math> (<math>x_n\in\mathbb R</math>)가 절대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자연수 <math>n\in\mathbb N</math>에 대하여 <math>0\le x_n+|x_n|\le 2|x_n|</math>이므로, 임의의 자연수 <math>n\in\mathbb N</math>에 대하여
:<math>\sum_{k=0}^n(x_k+|x_k|)\le 2\sum_{k=0}^n|x_k|</math>
이다. 따라서
:<math>\sum_{k=0}^\infty(x_k+|x_k|)\le 2\sum_{k=0}^\infty|x_k|<\infty</math>
이다. 즉, <math>\textstyle\sum_{k=0}^\infty(x_k+|x_k|)</math>는 수렴한다. <math>\textstyle\sum_{k=0}^\infty|x_k|</math> 역시 수렴하므로, <math>\textstyle\sum_{k=0}^\infty x_k</math>는 수렴한다.
{{증명 끝}}
{{증명|부제=바나흐 공간 위의 급수}}
<math>\mathbb K</math>-[[노름 공간]] <math>(X,\Vert\cdot\Vert)</math> 위의 급수 <math>\textstyle\sum_{n=0}^\infty x_n</math> (<math>x_n\in X</math>)가 절대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math>\textstyle\sum_{n=0}^\infty\Vert x_n\Vert</math>의 [[부분합]] <math>\textstyle\left(\sum_{k=0}^nx_n\right)_{n\in\mathbb N}</math>은 [[코시 점렬]]이므로, 임의의 <math>\epsilon>0</math>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math>N_\epsilon\in\mathbb N</math>가 존재한다.
:임의의 <math>m,n>N_\epsilon</math>에 대하여, <math>\textstyle\sum_{k=m+1}^n\Vert x_k\Vert<\epsilon</math>
[[삼각 부등식]]에 따라, 임의의 <math>m,n>N_\epsilon</math>에 대하여,
:<math>\left\Vert\sum_{k=m+1}^nx_k\right\Vert\le\sum_{k=m+1}^n\Vert x_k\Vert<\epsilon</math>
이다. 따라서 원래 급수의 [[부분합]] <math>\textstyle\left(\sum_{k=0}^nx_k\right)_{n\in\mathbb N}</math> 역시 [[코시 점렬]]이며, <math>\textstyle\sum_{n=0}^\infty x_n</math>는 수렴한다.
{{증명 끝}}
사실, 임의의 <math>\mathbb K</math>-[[노름 공간]] <math>(X,\Vert\cdot\Vert)</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ref name="Kadets" />{{rp|8, §1.2, Exercise 1.2.1}}
* <math>X</math> 위의 모든 절대 수렴 급수는 수렴한다.
* <math>X</math>는 <math>\mathbb K</math>-[[바나흐 공간]]이다.
{{증명}}
<math>X</math> 위의 모든 절대 수렴 급수가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math>(x_n)_{n\in\mathbb N}\subseteq X</math>가 임의의 [[코시 점렬]]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math>k=1,2,\dots</math>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math>n_k>n_{k-1}</math>가 존재한다.
:임의의 <math>m,n\ge n_k</math>에 대하여, <math>\textstyle\Vert x_m-x_n\Vert\le\frac 1{2^k}</math>
따라서
:<math>\sum_{k=1}^\infty\Vert x_{n_{k+1}}-x_{n_k}\Vert\le\sum_{k=1}^\infty\frac 1{2^k}=1<\infty</math>
이다. 즉, <math>\textstyle\sum_{k=1}^\infty(x_{n_{k+1}}-x_{n_k})</math>는 절대 수렴한다. 가정에 따라 <math>\textstyle\sum_{k=1}^\infty(x_{n_{k+1}}-x_{n_k})</math>는 수렴하며, 따라서 <math>(x_{n_k})_{k\in\mathbb Z^+}</math>는 <math>(x_n)_{n\in\mathbb N}</math>의 수렴 부분 점렬이다. <math>(x_n)_{n\in\mathbb N}</math>은 [[코시 점렬]]이므로 <math>(x_{n_k})_{k\in\mathbb Z^+}</math>와 같은 극한으로 수렴한다.
{{증명 끝}}


== 각주 ==
만약 급수가 수렴하지만 절대수렴하지는 않는다면, 이 급수는 [[수렴급수#절대수렴과 조건수렴|조건수렴]]한다고 한다. 이런 급수에는 부호가 교대로 변하는 조화급수가 있다. <div>[[수렴급수#수렴(발산)판정법|비판정법]]이나 [[수렴급수#수렴(발산)판정법|근판정법]]을 비롯한 많은 수렴-발산 판정법들은 절대수렴 여부를 증명하는데에도 그대로 쓰인다. 이는 멱급수가 수렴반경 내에서 절대수렴이기 때문이다.</div>
{{각주}}


=== 증명 ===
== 외부 링크 ==
* {{eom|제목=Absolutely convergent series}}
복소 급수의 수열의 수렴은 급수의 실수부와 허수부가 동시에 수렴하는 경우에만 성립하므로 모든 항이 실수라고 일반화하여 생각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 {{eom|제목=Absolutely convergent improper integral}}

* {{매스월드|id=AbsoluteConvergence|제목=Absolute convergence}}
<math>\sum |a_n|</math>가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그럼 당연하게도 <math>2\sum |a_n|</math> 역시 수렴한다.

<math>0 \le a_n + |a_n| \le 2|a_n|</math> 이므로
<math>0 \le \sum_{n = 1}^m (a_n + |a_n|) \le \sum_{n = 1}^m 2|a_n|\le \sum_{n = 1}^\infty 2|a_n|</math>이다.
따라서, <math>\sum_{n = 1}^m (a_n + |a_n|)</math> 는 유계인 단조급수이므로 수렴한다.

<math>\sum a_n = \sum(a_n+|a_n|) - \sum |a_n|</math> 로 두 수렴하는 급수의 차로 원래의 급수를 표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원래의 급수 역시 수렴한다.


[[분류:적분학]]
[[분류:적분학]]

2020년 4월월 29일 (수) 18:52 판

해석학에서, 절대 수렴(絶對收斂, 영어: absolute convergence)은 급수가 각 항에 절댓값을 취하였을 때 수렴하는 성질이다. 만약 어떤 급수가 절대 수렴한다면, 원래의 급수 역시 수렴한다.

정의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라고 하자.

실수항 또는 복소수항 급수

항의 급수 ()가 주어졌을 때, 만약 각 항에 절댓값을 취하여 얻는 음이 아닌 실수 항의 급수가 수렴한다면, 즉

라면, 원래의 급수 절대 수렴한다고 한다.

바나흐 공간 위의 급수

-바나흐 공간 위의 급수 ()가 주어졌을 때, 만약 각 항에 노름을 취하여 얻는 음이 아닌 실수 항의 급수가 수렴한다면, 즉

라면, 원래의 급수 절대 수렴한다고 한다.

성질

실수항 또는 복소수항 절대 수렴 급수는 항상 수렴한다 (절대 수렴 판정법, 絶對收斂判定法, 영어: absolute convergence test). 보다 일반적으로, 바나흐 공간 위의 모든 절대 수렴 급수는 수렴한다.[1]:8, §1.2, Theorem 1.2.2

증명 (실수항 급수):

실수항 급수 ()가 절대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이므로,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이다. 따라서

이다. 즉, 는 수렴한다. 역시 수렴하므로, 는 수렴한다.

증명 (바나흐 공간 위의 급수):

-노름 공간 위의 급수 ()가 절대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부분합 코시 점렬이므로,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가 존재한다.

임의의 에 대하여,

삼각 부등식에 따라,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따라서 원래 급수의 부분합 역시 코시 점렬이며, 는 수렴한다.

사실, 임의의 -노름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8, §1.2, Exercise 1.2.1

  • 위의 모든 절대 수렴 급수는 수렴한다.
  • -바나흐 공간이다.

증명:

위의 모든 절대 수렴 급수가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가 임의의 코시 점렬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가 존재한다.

임의의 에 대하여,

따라서

이다. 즉, 는 절대 수렴한다. 가정에 따라 는 수렴하며, 따라서 의 수렴 부분 점렬이다. 코시 점렬이므로 와 같은 극한으로 수렴한다.

각주

  1. Kadets, Mikhail I.; Kadets, Vladimir M. (1997). 《Series in Banach Spaces. Conditional and Unconditional Convergence》. Operator Theory Advances and Applications (영어) 94. Basel: Birkhäuser. doi:10.1007/978-3-0348-9196-7. ISBN 978-3-0348-994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