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러스-단로스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acidem547 (토론 | 기여)
"Ehlers–Danlos syndromes" 문서를 번역하여 만듦
 
Lacidem547 (토론 | 기여)
"Ehlers–Danlos syndromes" 문서를 번역하여 만듦
1번째 줄: 1번째 줄:
{{질병 정보 (신규)|name=Ehlers–Danlos syndromes|image=Ehlers-Danlos syndrome4.jpg|Image=Ehlers-Danlos syndrome4.jpg|caption=Individual with EDS displaying skin hyperelasticity|Caption=Individual with EDS displaying skin hyperelasticity|field=[[Medical genetics]]|Field=[[Medical genetics]]|Symptoms=Overly flexible joints, stretchy skin, abnormal scar formation<ref name=NIHGHR2016></ref>|symptoms=Overly flexible joints, stretchy skin, abnormal scar formation<ref name=NIHGHR2016></ref>|complications=[[Aortic dissection]], [[joint dislocations]], [[osteoarthritis]]<ref name=NIHGHR2016></ref>|Complications=[[Aortic dissection]], [[joint dislocations]], [[osteoarthritis]]<ref name=NIHGHR2016></ref>|Onset=Birth or early childhood<ref name=Net2012>{{cite book|last1=Anderson|first1=Bryan E.|title=The Netter Collection of Medical Illustrations - Integumentary System E-Book|date=2012|publisher=Elsevier Health Sciences|isbn=1455726648|page=235|edition=2|url=https://books.google.com/books?id=LOBYSIiRL8oC&pg=PA235|language=en}}</ref>|onset=Birth or early childhood<ref name=Net2012>{{cite book|last1=Anderson|first1=Bryan E.|title=The Netter Collection of Medical Illustrations - Integumentary System E-Book|date=2012|publisher=Elsevier Health Sciences|isbn=1455726648|page=235|edition=2|url=https://books.google.com/books?id=LOBYSIiRL8oC&pg=PA235|language=en}}</ref>|Duration=Long term<ref name=Law2005></ref>|duration=Long term<ref name=Law2005></ref>|causes=Genetic<ref name=NIHGHR2016></ref>|Causes=Genetic<ref name=NIHGHR2016></ref>|Diagnosis=[[Genetic testing]], [[skin biopsy]]<ref name=Law2005></ref>|diagnosis=[[Genetic testing]], [[skin biopsy]]<ref name=Law2005></ref>|differential=[[Marfan syndrome]], [[cutis laxa syndrome]], [[familial joint hypermobility syndrome]]<ref name=Law2005></ref>|Differential=[[Marfan syndrome]], [[cutis laxa syndrome]], [[familial joint hypermobility syndrome]]<ref name=Law2005></ref>|Treatment=[[supportive treatment|Supportive]]<ref name=Fer2016></ref>|treatment=[[supportive treatment|Supportive]]<ref name=Fer2016></ref>|Prognosis=Depends on the type<ref name=Law2005></ref>|prognosis=Depends on the type<ref name=Law2005></ref>|frequency=1 in 5,000<ref name=NIHGHR2016></ref>}}
{{질병 정보 (신규)|name=Ehlers–Danlos syndromes|image=Ehlers-Danlos syndrome4.jpg|Image=Ehlers-Danlos syndrome4.jpg|caption=Individual with EDS displaying skin hyperelasticity|Caption=Individual with EDS displaying skin hyperelasticity|field=[[Medical genetics]]|Field=[[Medical genetics]]|Symptoms=Overly flexible joints, stretchy skin, abnormal scar formation<ref name=NIHGHR2016></ref>|symptoms=Overly flexible joints, stretchy skin, abnormal scar formation<ref name=NIHGHR2016></ref>|complications=[[Aortic dissection]], [[joint dislocations]], [[osteoarthritis]]<ref name=NIHGHR2016></ref>|Complications=[[Aortic dissection]], [[joint dislocations]], [[osteoarthritis]]<ref name=NIHGHR2016></ref>|Onset=Birth or early childhood<ref name=Net2012>{{cite book|last1=Anderson|first1=Bryan E.|title=The Netter Collection of Medical Illustrations - Integumentary System E-Book|date=2012|publisher=Elsevier Health Sciences|isbn=1455726648|page=235|edition=2|url=https://books.google.com/books?id=LOBYSIiRL8oC&pg=PA235|language=en}}</ref>|onset=Birth or early childhood<ref name=Net2012>{{cite book|last1=Anderson|first1=Bryan E.|title=The Netter Collection of Medical Illustrations - Integumentary System E-Book|date=2012|publisher=Elsevier Health Sciences|isbn=1455726648|page=235|edition=2|url=https://books.google.com/books?id=LOBYSIiRL8oC&pg=PA235|language=en}}</ref>|Duration=Long term<ref name=Law2005></ref>|duration=Long term<ref name=Law2005></ref>|causes=Genetic<ref name=NIHGHR2016></ref>|Causes=Genetic<ref name=NIHGHR2016></ref>|Diagnosis=[[Genetic testing]], [[skin biopsy]]<ref name=Law2005></ref>|diagnosis=[[Genetic testing]], [[skin biopsy]]<ref name=Law2005></ref>|differential=[[Marfan syndrome]], [[cutis laxa syndrome]], [[familial joint hypermobility syndrome]]<ref name=Law2005></ref>|Differential=[[Marfan syndrome]], [[cutis laxa syndrome]], [[familial joint hypermobility syndrome]]<ref name=Law2005></ref>|Treatment=[[supportive treatment|Supportive]]<ref name=Fer2016></ref>|treatment=[[supportive treatment|Supportive]]<ref name=Fer2016></ref>|Prognosis=Depends on the type<ref name=Law2005></ref>|prognosis=Depends on the type<ref name=Law2005></ref>|frequency=1 in 5,000<ref name=NIHGHR2016></ref>}}'''엘러스–Danlos 증후군''' ('''EDS''')그룹의 [[유전성 질환|유전적]] 결합조직 장애입니다.느슨한 [[관절]],신축성 있는 피부 및 비정상적인 [[흉터]] 형성이 증상에 포함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출생 직후나 어린 시절에 발견됩니다.  합병증에는 대동맥 파열, [[탈구|관절 탈구]], [[척추측만증]], 만성 고통또는 조기 [[골관절염|관절염]]등이 있습니다.

* <br>
하나에서 십여 개 이상의 다른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EDS를 일으킵니다. 그 결과 [[콜라겐]] 구조에 결함이 옵니다.  진단을 확정할 수 있게 [[유전자 검사|유전자 테스트]] 나 피부검사를 실시합니다.. 증상이 비슷해서 오진 될 수있는 병으로는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 [[우울증]], [[만성피로증후군|만성 피로 증후군]]이 있습니다.

알려진 치료방법이 없습니다.<ref name="Fer2016">{{cite book|last1=Ferri|first1=Fred F.|title=Ferri's Netter Patient Advisor|date=2016|publisher=Elsevier Health Sciences|isbn=9780323393249|page=939|url=https://books.google.com/books?id=Dz_dCwAAQBAJ&pg=PA939|language=en}}</ref> 자연 치료가 유일한 치료 방법입니다.  [[물리치료|물리 치료]] 및 보강을 통해 도움이 될 수 있는 근육과 관절을 강화해야 합니다. <ref name="Law2005">{{cite journal|last1=Lawrence|first1=Elizabeth J.|title=The clinical presentation of Ehlers–Danlos syndrome|journal=Advances in Neonatal Care|volume=5|issue=6|pages=301–14|year=2005|pmid=16338669|doi=10.1016/j.adnc.2005.09.006}}</ref>  이 질병은 [[혈관|혈관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짧은 수명이 관찰 됩니다.

전세계적으로 5000명당 1명이 이 병에 걸립니다.<ref name="NIHGHR2016">{{cite web|title=Ehlers–Danlos syndrome|url=https://ghr.nlm.nih.gov/condition/ehlers-danlos-syndrome#expand-collapse-start|website=Genetics Home Reference|accessdate=8 May 2016}}</ref> 예후는 케이스에 따라 달라집니다. [[히포크라테스]]가 BC 400년에 이 병의 증상에 대해 처음 기술했습니다. <ref>{{cite book|last1=Beighton|first1=Peter H.|last2=Grahame|first2=Rodney|last3=Bird|first3=Howard A.|title=Hypermobility of Joints|date=2011|publisher=Springer|isbn=9781848820852|page=1|url=https://books.google.com/books?id=ludlEZJC5iEC&pg=PA1}}</ref> 증후군의 이름은  두 명의 의사, Edvard Ehles와 Henri-alexandre danlos의 이름에서 기원했습니다. <ref name="Byers2012">{{cite journal|vauthors=Byers PH, Murray ML|title=Heritable collagen disorders: the paradigm of Ehlers–Danlos syndrome|journal=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volume=132|issue=E1|pages=E6–11|year=2012|pmid=23154631|doi=10.1038/skinbio.2012.3}}</ref>

== 징후와 증상 ==
[[파일:Ehlers-Danlos_thumb.jpg|섬네일|개인 EDS 표시하는 과운동 관절]]
EDS 환자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습니다. 그러나 각각의 경우에 공통적으로 콜라겐 합성의 감소를 촉진합니다. EDS이 영향을 미치는 장기에는 관절, 피부,혈관이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목록의 주요 징후와 증상입니다.{{출처}}

=== 근골격계 ===
* 매우 유연한 관절
* 관절의 불완전한 [[염좌|삠]], [[탈구|전위]], 탈구, [[운동에 대한 해부학 용어|확장]]<ref>{{cite journal|author=Lawrence EJ|title=The clinical presentation of Ehlers–Danlos syndrome|journal=Adv Neonatal Care|volume=5|issue=6|pages=301–14|year=2005|pmid=16338669|doi=10.1016/j.adnc.2005.09.006}}</ref>
* 흉부 콘센트 증후군
* [[골관절염|관절염]]<ref name="mayoclinic">{{cite web|title=Ehlers–Danlos Syndrome|url=http://www.mayoclinic.com/health/ehlers-danlos-syndrome/DS00706/DSECTION=symptoms|work=Mayo Clinic|accessdate=25 May 2012}}</ref>
* 만성 퇴행성 관절질환
* 손가락의 스완 목 변형<ref name="pmid9061548">{{cite journal|vauthors=Erçöçen AR, Yenidünya MO, Yilmaz S, Ozbek MR|title=Dynamic swan neck deformity in a patient with Ehlers–Danlos syndrome|journal=J Hand Surg Br|volume=22|issue=1|pages=128–30|year=1997|pmid=9061548|doi=10.1016/S0266-7681(97)80039-3}}</ref>
* 손가락의 Boutonniere 기형
* 힘줄 또는 근육의 끊어짐<ref name="ehlersdanlosnetwork_a">{{cite web|title=Vascular Type-EDS|url=http://www.ehlersdanlosnetwork.org/vascular.html|work=Ehlers–Danlos Syndrome Network C.A.R.E.S. Inc.}}</ref>
* [[척추측만증]] (척추의 곡률), 전만증 (흉부 혹) <ref>{{cite journal|vauthors=Milhorat TH, Bolognese PA, Nishikawa M, McDonnell NB, Francomano CA|title=Syndrome of occipitoatlantoaxial hypermobility, cranial settling, and chiari malformation type I in patients with hereditary disorders of connective tissue|journal=Journal of Neurosurgery. Spine|volume=7|issue=6|pages=601–9|date=December 2007|pmid=18074684|doi=10.3171/SPI-07/12/601}}</ref>
* 심각한 [[근육통]] (근육통)과 관절통<ref>{{cite journal|vauthors=Gedalia A, Press J, Klein M, Buskila D|title=Joint hypermobility and fibromyalgia in schoolchildren|journal=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volume=52|issue=7|pages=494–6|year=1993|pmid=8346976|pmc=1005086|doi=10.1136/ard.52.7.494}}</ref>
* Trendelenburg 의 신호<ref>{{cite web|last=Dommerholt|first=Jan|title=CSF Ehlers Danlos Colloquium, Dr Jan Dommerholt|url=http://vimeo.com/35766706|publisher=Chiari & Syringomyelia Foundation|accessdate=10 June 2013}}</ref>
* [[오스굿-슐래터 병|Osgood–Schlatter 질병]]<ref>{{cite book|last=Vigorita|first=Vincent J|title=Orthopaedic pathology|year=2008|publisher=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location=Philadelphia|isbn=0781796709|pages=5–6|edition=2nd|author2=Mintz, Douglas|author3=Ghelman, Bernard}}</ref>
* 18개월의 유아가 걷지 못하거나 바닥을 기어다닌다. <ref>{{cite web|url=http://bestpractice.bmj.com/best-practice/monograph/570/diagnosis/step-by-step.html|title=Ehlers-Danlos syndrome - Diagnosis - Approach|website=[[BMJ]] Best Practice|date=13 December 2016|author=|accessdate=18 August 2017}}</ref>

=== 피부 ===
* 피부가 쉽게 찢어진다.<br>
* "담배 종이"흉터<ref>{{Cite journal|title=Unusual scars in a young female patient|url=http://pmj.bmj.com/content/81/957/e5|journal=Postgraduate Medical Journal|date=2005-07-01|issn=1469-0756|pages=e5-e5|volume=81|issue=957}}</ref>
* 멍이 자주 생긴다.
* 피부가 겹쳐진다.<br>
* 압점에 Molluscoid pseudotumors,<ref name="ehlersdanlosnetwork">{{cite web|title=Classical Type-EDS|url=http://www.ehlersdanlosnetwork.org/classical.html|work=Ehlers–Danlos Syndrome Network C.A.R.E.S Inc.}}</ref>
* Petechia<ref>{{cite book|last1=Wilkins|first1=Lippincott Williams &|title=Portable Signs and Symptoms|date=2007|publish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isbn=9781582556796|page=465|url=https://books.google.com/books?id=gU4Lfsess6cC&pg=PA465|language=en}}</ref>
* 피하 spheroids
* Livedo reticularis ( 탁해지는 동공, 수정체의 확장)
* Piezogenic papules<ref>{{cite web|url=https://www.dermnetnz.org/topics/piezogenic-papules|title=Piezogenic papules - DermNet New Zealand|website=www.dermnetnz.org}}</ref>

=== 심혈관 ===
* 동맥 파열
* 수술 도중에 혈관이 파열되는 현상<ref name="Camerota14">{{cite journal|vauthors=Camerota F, Castori M, Celletti C, Colotto M, Amato S, Colella A, Curione M, Danese C|title=Heart rate, conduction and ultrasound abnormalities in adults with joint hypermobility syndrome/Ehlers–Danlos syndrome, hypermobility type|journal=Clin. Rheumatol.|volume=33|issue=7|pages=981–7|year=2014|pmid=24752348|doi=10.1007/s10067-014-2618-y|url=https://dx.doi.org/10.1007/s10067-014-2618-y}}</ref>
* 오름 대동맥의 팽창 및 파열<ref>{{cite book|first=R.J|title=The Ehlers–Danlos Syndromes: Management of Genetic Syndromes|year=2001|pages=131–149|last=Wenstrup|display-authors=etal}}</ref>
* 자세 직립성 빈맥 증후군
* [[레이노 현상]]
* [[정맥류]]
* [[심잡음|마음]]
* [[부정맥|중심 전도 이상]]

=== 다른 표현 ===
* Hiatial 탈장
* [[위 식도 역류병|위식도역류]]
* 위장관 운동 장애<ref>{{cite web|first=Laura|last=Brockway|title=Gastrointestinal manifestations of Ehlers–Danlos syndrome (hypermobility type)|date=April 2016|publisher=Ehlers–Danlos Support UK|url=https://www.ehlers-danlos.org/about-eds/medical-information/gastrointestinal/gastro-and-eds/}}</ref>
* Dysautonomia<ref>{{cite web|title=Ehlers–Danlos Syndrome|date=2012|work=Underlying Causes of Dysautonomia|publisher=Dysautonomia International|url=http://www.dysautonomiainternational.org/page.php?ID=150}}</ref>
* Gorlin 의 증상(혀를 코)<ref>{{cite journal|vauthors=Létourneau Y, Pérusse R, Buithieu H|title=Oral manifestations of Ehlers–Danlos syndrome|journal=J Can Dent Assoc|volume=67|issue=6|pages=330–4|year=2001|pmid=11450296|url=http://www.cda-adc.ca/jcda/vol-67/issue-6/330.html}}</ref>
* 항문 탈출증
* 폐 결([[기흉|자발적인 기흉]])
* 신경 압축장애([[수근관 증후군|손목관절 증후군]], [[저림|acroparesthesia]], [[말초신경증|신경병을]]포함하는 작은 섬유 신경병증)<ref>{{cite web|url=http://www.answers.com/topic/ehlers-danlos-syndrome|title=Ehlers–Danlos syndrome: Definition from|publisher=Answers.com|accessdate=2014-02-27}}</ref>
* 국소부위의 무감각
* Arnold–아리 기형 <ref>{{cite journal|vauthors=Castori M, Voermans NC|title=Neurological manifestations of Ehlers-Danlos syndrome(s): A review|journal=Iran J Neurol.|volume=13|issue=4|pages=190-208|year=2014|pmid=25632331|url=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300794/}}</ref>
* [[혈소판|혈소판 응집]]장애<ref>{{MedlinePlusEncyclopedia|001468|Ehlers-Danlos syndrome}}</ref>
* 임신 합병증이 통증을 완화 [[분만|peripartum]] 출혈, [[자궁경부무력증|자궁경부 부전]], 자궁의 찢어짐 <ref>{{cite journal|vauthors=Lind J, Wallenburg HC|title=Pregnancy and the Ehlers–Danlos syndrome: a retrospective study in a Dutch population|journal=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volume=81|issue=4|pages=293–300|date=April 2002|pmid=11952457|doi=10.1034/j.1600-0412.2002.810403.x}}</ref>
* [[수면 무호흡증]]<ref name="pmid23929538">{{cite journal|vauthors=Guilleminault C, Primeau M, Chiu HY, Yuen KM, Leger D, Metlaine A|title=Sleep-disordered breathing in Ehlers–Danlos syndrome: a genetic model of OSA|journal=Chest|volume=144|issue=5|pages=1503–11|year=2013|pmid=23929538|doi=10.1378/chest.13-0174}}</ref>
* 외상에 의해 발생하는 두개골 척추 불안정성, 머리와 목이 진동 및 충격에 취약해짐. 뇌척수액의 정상적인 흐름과 같은 주요한 문제와 관련된 자율신경계의 조절 실패<ref>{{cite web|first=Fraser|last=Henderson|title=Indices of Cranio-vertebral Instability|date=2015|work=Funded Research|publisher=Chiari & Syringomyelia Foundation|url=http://www.csfinfo.org/research/csf-funded-research/csf-ehlers-danlos-syndrome-colloquium/indices-cranio-vertebral-instability/}}</ref>
* [[실리악 스프루|체강 질환]], EDS 때문에 일반적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모두에게 병,피로를 포함하여,고통,위장병 불만 또는 심장 혈관 장애<ref name="GeneReviewsLevy2016">{{cite journal|author=Levy, HP|title=Ehlers–Danlos Syndrome, Hypermobility Type|journal=® [Internet]. Seattle (WA):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1993–2017|volume=|issue=|pages=|date=Mar 31, 2016|pmid=20301456|url=https://www.ncbi.nlm.nih.gov/books/NBK1279/|type=Review}}[[File:Open_Access_logo_PLoS_transparent.svg|링크=Open_access|14x14픽셀|open access publication – free to read]]</ref>
* [[섬유근육통|Fibromyalgia]]
아동학대를 받은 어린이의 증상과 구별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질병이 오진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ref>The Press Enterprise, [https://web.archive.org/web/20090228100719/http://www.pe.com/localnews/inland/stories/PE_News_Local_D_abuse03.3d48364.html Redlands mother stung by untrue suspicions presses for accountability in child abuse inquiries], 2008-04-03</ref>

아동 학대와 마찬가지로 이 질병을 겪는 어린이는 매우 큰 고통을 받습니다..<ref>{{Cite journal|last=Chopra|first=Pradeep|last2=Tinkle|first2=Brad|last3=Hamonet|first3=Claude|last4=Brock|first4=Isabelle|last5=Gompel|first5=Anne|last6=Bulbena|first6=Antonio|last7=Francomano|first7=Clair|date=2017|title=Pain management in the Ehlers–Danlos syndromes|url=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ajmg.c.31554/abstract|journal=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Part C: Seminars in Medical Genetics|language=en|volume=175|issue=1|pages=212–219|doi=10.1002/ajmg.c.31554|issn=1552-4876|via=}}</ref>

== 유전학 ==
[[파일:JCI0112881.f2.jpg|섬네일|콜라겐 fibril 및 EDS. (a)정상적인 콜라겐 섬유의 균일한 크기와 간격입니다. b)극적인 변화에서 fibril 형태와 심각한 영향을 받은 인장 강도 결합 조직입니다. (c)합성 섬유합니다 .TNX-deficient 환자 d)에서 균일한 크기 합성 섬유를 볼 수 있습니다. (e)의 섬유는 더적은 밀도가 가득하고 뿐만 아니라 정렬된 섬유 구조를 가집니다.]]
.

EDS은 다음과 같은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통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Fibrous proteins: COL1A1, COL1A2, COL3A1, COL5A1, COL5A2, and TNXB 
* Enzymes: ADAMTS2, PLOD1, B4GALT7, DSE, and D4ST1/CHST14<br>
[[분류:출처가 필요한 글|Ehlers–Danlos syndromes]]
[[분류:출처가 필요한 글|Ehlers–Danlos syndromes]]
[[분류:날짜 매개변수 없이 출처 틀이 쓰인 글]]
[[분류:날짜 매개변수 없이 출처 틀이 쓰인 글]]
[[분류: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
[[분류: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
[[분류:문장에 출처가 필요한 글]]
[[분류:문장에 출처가 필요한 글]]

EDS은 유전 상속 유형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부분의 형태의 상태는 유전 상속에서 상염색체 지배적인 패턴을 의미하는 단 하나의 복사 유전자로 부터 나옵니다.. 소수 민족는 상속에서 염색체 열성 패턴에 모두 영향을 받습니다. 이는 또한 개인의 de novo, 산발적" [[돌연변이]]다.  상속패턴에 대한 논의를 거친 후에야 EDS의 유형을 정확히 밝힐 수 있다.

== 진단 ==
[[파일:Scapholunate_advanced_collapse_wrist.jpg|섬네일|불안정한 손목의 X-ray]]
증상은 환자기록이나 관찰 진찰으로 확인 가능하다. 콜라겐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를 통해 피부에서 콜라겐 섬유의 여러가지 장애 유형을 파악가능 하다. 그러나 이 검사가 모든 유형의 EDS를 확정 할 수있는 것은 아니다. 한 가족에 영향을받는 개인이 여러 명이면, 연계 연구로 알려진 DNA 정보 기술을 사용하여 산전 진단을 수행 할 수 있기 때문에 EDS에 관한 지식은 실무 경험이 많은 사람에게 있을 수 있습니다.
<ref>{{cite journal|last1=Ross|first1=J.|last2=Grahame|first2=R.|title=Joint hypermobility syndrome|journal=BMJ|volume=342|issue=|pages=c7167|year=2011|pmid=21252103|doi=10.1136/bmj.c7167}}</ref><ref>{{cite journal|last1=Castori|first1=Marco|title=Ehlers–Danlos Syndrome, Hypermobility Type: An Underdiagnosed Hereditary Connective Tissue Disorder with Mucocutaneous, Articular, and Systemic Manifestations|journal=ISRN Dermatology|volume=2012|issue=|pages=751768|year=2012|pmid=23227356|pmc=3512326|doi=10.5402/2012/751768}}</ref>
[[분류:출처가 필요한 글|Ehlers–Danlos syndromes]]
[[분류:날짜 매개변수 없이 출처 틀이 쓰인 글]]
[[분류: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
[[분류:문장에 출처가 필요한 글]]

=== 분류 ===
 2017 년 현재 Ehlers-Danlos 증후군에는 13 가지 유형이 있으며 특징이 크게 겹칩니다.<ref name="GARD2017">{{cite web|title=Ehlers-Danlos syndromes|url=https://rarediseases.info.nih.gov/diseases/6322/ehlers-danlos-syndromes|website=rarediseases.info.nih.gov|accessdate=23 September 2017|language=en|date=20 April 2017}}{{PD-notice}}</ref>

'''과운동성 EDS''' -주로 크고 작은 관절에 영향을 미치는 관절과 운동 능력으로 재발 성 관절 탈구 및 아탈구 (부분 탈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이 유형의 사람들은 근육 및 / 또는 뼈의 멍이 들거나 만성 통증이있는 ​​부드럽고 부드럽고 벨벳 같은 피부를 가집니다.

'''고전 EDS''' -매우 탄력있는 (신축성있는) 부드러운 피부가 연약하고 부서지며 쉽게 상처가 난다. 넓은, 위축성 흉터 (편평하거나 우울한 흉터); 및 협동과 운동성. Molluscoid pseudotumors (팔꿈치와 같은 압력 점에 석회화 한 혈종) 및 spheroids (팔뚝 및 shins에 지방 함유 포낭) 또한 빈번하게 보인다. 저선 수 및 지연 운동 발달이 발생할 수 있음 

'''혈관 EDS''' -
얇고 반투명 한 피부로 매우 부서지기 쉽고 타박상이 쉽게 생깁니다. 동맥과 장과 자궁과 같은 특정 기관도 허약하고 파열되기 쉽습니다. 이 유형의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키가 작습니다. 얇은 두피 머리; 큰 눈, 얇은 코, 귀가없는 귀를 비롯한 특징적인 얼굴 특징이 있습니다. 합동과 운동성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작은 관절 (손가락, 발가락)에 국한됩니다. 다른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클럽 피트; 힘줄 및 / 또는 근육 파열; acrogeria (손과 발 피부의 조기 노화); 조기 개시 정맥류; 기흉 (폐의 붕괴); 잇몸의 후퇴; 및 피부 아래 지방량 감소. 

'''측만성 EDS''' -
출생시 심한 저혈압, 운동 발달 지연, 진행성 척추 측만증 (출생시 현재), 공막 취약성과 관련이있다. 영향을받는 사람들도 쉽게 멍이들 수 있습니다. 파열되기 쉬운 허약 한 동맥; 비정상적으로 작은 각막; 및 osteopenia (낮은 뼈 밀도). 다른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길고 가느 다란 손가락 (arachnodactlyly)이 특징 인 "마르 파 노이드 습관"; 비정상적으로 긴 팔다리; (pectus excavatum) 또는 튀어 나온 가슴 (pectus carinatum)이있다.

'''Arthrochalasia EDS''' -심한 관절과 운동성 및 선천성 고관절 탈구를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멍이 들기 쉬운 허약하고 탄력있는 피부, 저혈압; 척추 측만증 (후만증 및 측만증); 경증 골감소증이 있다.

'''Dermatosparaxis EDS''' -심한 상처와 흉터로 이어지는 매우 약한 피부와 관련이 있습니다. 처진 피부, 특히 얼굴에 여분의 피부가 있습니다. 탈장 및 얇은 각막, 조기 진보적 인 각막이 특징 인 가려운 각막 증후군 (BCS), 푸른 sclerae를 관찰 할 수 있다.

'''유사클래식-EDS'''
벨벳같은 피부 질감과 위축성 흉터, 재발 성 탈구의 유무 (흔히 어깨와 발목)를 동반하거나 갖지 않는 범용 조기과 운동 (GJH), 쉽게 상처를 입은 피부 또는 자발적 출혈 (피부 아래에서 출혈로 인한 색소 침착)이 발견됩니다.

'''Spondylodysplastic EDS''' (spEDS)은  어린 시절의 진행성 근력 저하 (심한 선천성에서부터 가벼운 나중에 발병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사지 굴곡이 특징입니다.

'''Musculocontractural EDS''' (mcEDS)
선천성 다발 구축, 특징적으로 내전 - 굴곡 구축 및 / 또는 탈곡 등반 (만곡 족), 출생시 또는 초기 유아에서 명백한 특징적인 두개 안면 특징, 피부 과민성, 쉬운 괴사 성, 위축성 흉터가있는 피부 취약성과 같은 피부, 손바닥 주름 증가가 특징입니다. 

'''Myopathic EDS- '''선천적 다발 구축, 특징적으로 내전 - 굴곡 구축 및 / 또는 탈곡 등반, 출생시 또는 출발 유아에서 명백한 특징, 외피 성, 무기력, 조형성, 흉골 성 , 손바닥 주름 증가가 특징적입니다.

'''Periodontal EDS''' (pEDS)는 조기 발병의 심하고 난치성 인 치주염 (소아기 또는 청소년기), 부착 된 치은의 결핍이 특징적입니다. 임상 기준을 충족하는 1 급 친척의 가족력이 존재합니다.

'''심장 판막 EDS''' (cvEDS)을 특징으로 심각한 진보적인 심장 밸브 모양 문제에(대동맥 밸브,mitral valve),피부 문제(hyperextensibility 을,위축성 흉터,얇은 스킨,쉽게 멍),합동 과대 운동(일반 또는 제한 작은 관절).





13번째 줄: 130번째 줄:
[[분류:문장에 출처가 필요한 글]]
[[분류:문장에 출처가 필요한 글]]


== 관리 ==
 Ehlers-Danlos 증후군에 대한 치료법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치료는 고식적입니다. 심혈관 시스템, 물리 요법, 작업 요법 및 정형 외과 도구 (예 : 휠체어, 브레이싱, 주조)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관절을 안정시키고 부상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형 외과 용기구는 이동성을위한 다른 옵션이 없을 때까지는 개인이 전적으로 그들에게 의존하지 않을 것을 권고하지만, 특히 장거리의 경우에는 더 이상의 관절 손상 예방에 도움이됩니다. 관절이 잠기거나 과도 연장되는 활동을 피해야합니다.{{출처}}

 의사는 관절을 안정시키기 위해 주조를 처방 할 수 있습니다. 의사는 환자를 교정 치료 (보조기)에 대한 속임수 처방으로 안내 할 수 있습니다. 의사는 근육 강화를 돕고 관절을 적절하게 사용하고 보존하는 방법을 사람들에게 가르치기 위해 신체 및 / 또는 작업 치료사와 상담 할 수도 있습니다.<ref name="Rombaut11">{{cite journal|vauthors=Rombaut L, Malfait F, De Wandele I, Cools A, Thijs Y, De Paepe A, Calders P|title=Medication, Surgery, and Physiotherapy Among Patients With the Hypermobility Type of Ehlers–Danlos Syndrome|journal=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volume=92|issue=7|pages=1106–12|date=July 2011|pmid=21636074|doi=10.1016/j.apmr.2011.01.016}}</ref><ref name="wristpr">{{cite journal|vauthors=Woerdeman LA, Ritt MJ, Meijer B, Maas M|title=Wrist problems in patients with Ehlers–Danlos syndrome|journal=European Journal of Plastic Surgery|volume=23|issue=4|pages=208–210|year=2000|doi=10.1007/s002380050252}}</ref>

여러 유형의 물리 치료가 있습니다. 수중 요법은 근육 발달과 조정을 촉진합니다. 수동 요법으로 관절은 운동 및 / 또는 조작의 범위 내에서 부드럽게 동원 될 것입니다. 보수 치료가 도움이되지 않는다면, 관절의 수술 적 교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통증을 줄이거 나 심장, 소화 기관 또는 기타 관련 질병을 관리하는 약물을 처방 할 수 있습니다. 타박상을 줄이고 상처 치유를 개선하기 위해 일부 환자들은 아스 코르 빈산 (비타민 C)에 반응했습니다. EDS 환자에서 발생하기 쉬운 합병증의 양 때문에 의료인이 특별한주의를 기울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혈관 내 EDS에서 흉부 또는 복통의 징후는 외상 상황으로 간주됩니다.{{출처}}

일반적으로 의학적 중재는 증상 치료로 제한됩니다. 임신하기 전에 EDS 환자는 유전 상담을 받아야하며 임신이 나타나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위험을 스스로 파악해야합니다. EDS를받는 어린이는 접촉 스포츠 및 기타 신체적 스트레스를주는 활동을 피해야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도록 장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합니다. 아이들은 조인트의 조기 퇴행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느슨한 조인트로 인해 유지할 수있는 비정상적인 위치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조기에 교육해야합니다. 환자는 질병의 단점을 극복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정서적 지원과 행동 및 심리 치료가 유용 할 수 있습니다. 지원 그룹은 주요 생활 습관 변화 및 건강 악화를 다루는 환자에게 대단히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EDS에 관해 가족, 교사 및 친구들에게 알려서 자녀를 받아들이고 지원할 수 있도록해야합니다.{{출처}}

=== 수술 ===
 Ehlers-Danlos 증후군 환자에서 외과 적 개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거의 모든 관절의 불안정성이 발생할 수 있지만 손목, 손가락, 어깨, 무릎, 엉덩이 및 발목이 가장 흔한 상지 및 하반부에서 가장 자주 나타납니다..

 일반적인 수술 절차는 관절 debridement, 힘줄 교체, capsulorraphy 및 arthroplasty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수술 후 안정화 정도, 통증 감소 및 환자 만족도는 향상 될 수 있지만 수술 결과가 최적의 결과를 보장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환자 및 외과 의사는 결과에 만족하지 못한다고보고합니다. 질병에 의한 외과 적 합병증의 추가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보수 치료가 수술보다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일치합니다. EDS로 인해 세 가지 기본적인 수술 문제가 발생합니다. 조직의 강도가 감소되어 조직이 수술에 적합하지 않게됩니다. 혈관의 취약성은 수술 중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상처 치유는 종종 지연되거나 불완전합니다. 외과 의사의 개입을 고려한다면, EDS와 관절과 운동성 문제가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데있어 광범위한 지식과 경험을 갖춘 외과 의사의 진료를받는 것이 현명 할 것입니다.{{출처}}

연구에 따르면 Ehlers-Danlos 증후군 환자에서 국소 마취제, 동맥 카테터 및 중심 정맥 카테터가 혈종 형성 위험이 높습니다. Ehlers-Danlos 증후군 환자는 또한 국소 마취에 대한 저항성을 보입니다. Xylocaine과 Bupivacaine에 대한 내성은 흔하지 않으며 Carbocaine은 EDS 특허에서 더 잘 작동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EDS 환자의 마취에 대한 특별 권고 사항은 고아 마취 (anphan anesthesia.eu)로 준비되며 EDS 환자의 마취에 대한 모든 측면을 다룹니다. EDS 환자의 마취 및 수술에 대한 자세한 권장 사항은 환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해야합니다.<ref>{{저널 인용|제목=Recommendations for anesthesia and perioperative management in patients with Ehlers–Danlos syndrome(s)|저널=Orphanet Journal of Rare Diseases|성=Wiesmann|이름=Thomas|성2=Castori|이름2=Marco|url=https://ojrd.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13023-014-0109-5|연도=2014|권=9|쪽=109|doi=10.1186/s13023-014-0109-5|pmc=4223622|pmid=25053156|성3=Malfait|이름3=Fransiska|성4=Wulf|이름4=Hinnerk}}</ref>

Ehlers-Danlos 환자의 수술은 조심스럽게 조직을 다루고 나중에 고정화해야합니다.{{출처}}

== References ==
{{Reflist}}
[[분류:선천성 질환]]
[[분류:선천성 질환]]

2017년 10월 24일 (화) 00:30 판

Ehlers–Danlos syndromes
파일:Ehlers-Danlos syndrome4.jpgEhlers-Danlos syndrome4.jpg
Individual with EDS displaying skin hyperelasticityIndividual with EDS displaying skin hyperelasticity
진료과Medical genetics
증상Overly flexible joints, stretchy skin, abnormal scar formation[1]
합병증Aortic dissection, joint dislocations, osteoarthritis[1]
통상적 발병 시기Birth or early childhood[2]
기간Long term[3]
병인Genetic[1]
진단 방식Genetic testing, skin biopsy[3]
유사 질병Marfan syndrome, cutis laxa syndrome, familial joint hypermobility syndrome[3]
치료Supportive[4]
예후Depends on the type[3]
빈도1 in 5,000[1]

엘러스–Danlos 증후군 (EDS)그룹의 유전적 결합조직 장애입니다.느슨한 관절,신축성 있는 피부 및 비정상적인 흉터 형성이 증상에 포함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출생 직후나 어린 시절에 발견됩니다.  합병증에는 대동맥 파열, 관절 탈구, 척추측만증, 만성 고통또는 조기 관절염등이 있습니다.

하나에서 십여 개 이상의 다른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EDS를 일으킵니다. 그 결과 콜라겐 구조에 결함이 옵니다.  진단을 확정할 수 있게 유전자 테스트 나 피부검사를 실시합니다.. 증상이 비슷해서 오진 될 수있는 병으로는 hypochondriasis, 우울증, 만성 피로 증후군이 있습니다.

알려진 치료방법이 없습니다.[4] 자연 치료가 유일한 치료 방법입니다.  물리 치료 및 보강을 통해 도움이 될 수 있는 근육과 관절을 강화해야 합니다. [3]  이 질병은 혈관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짧은 수명이 관찰 됩니다.

전세계적으로 5000명당 1명이 이 병에 걸립니다.[1] 예후는 케이스에 따라 달라집니다. 히포크라테스가 BC 400년에 이 병의 증상에 대해 처음 기술했습니다. [5] 증후군의 이름은  두 명의 의사, Edvard Ehles와 Henri-alexandre danlos의 이름에서 기원했습니다. [6]

징후와 증상

개인 EDS 표시하는 과운동 관절

EDS 환자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습니다. 그러나 각각의 경우에 공통적으로 콜라겐 합성의 감소를 촉진합니다. EDS이 영향을 미치는 장기에는 관절, 피부,혈관이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목록의 주요 징후와 증상입니다.[출처 필요]

근골격계

피부

  • 피부가 쉽게 찢어진다.
  • "담배 종이"흉터[16]
  • 멍이 자주 생긴다.
  • 피부가 겹쳐진다.
  • 압점에 Molluscoid pseudotumors,[17]
  • Petechia[18]
  • 피하 spheroids
  • Livedo reticularis ( 탁해지는 동공, 수정체의 확장)
  • Piezogenic papules[19]

심혈관

다른 표현

아동학대를 받은 어린이의 증상과 구별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질병이 오진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32]

아동 학대와 마찬가지로 이 질병을 겪는 어린이는 매우 큰 고통을 받습니다..[33]

유전학

콜라겐 fibril 및 EDS. (a)정상적인 콜라겐 섬유의 균일한 크기와 간격입니다. b)극적인 변화에서 fibril 형태와 심각한 영향을 받은 인장 강도 결합 조직입니다. (c)합성 섬유합니다 .TNX-deficient 환자 d)에서 균일한 크기 합성 섬유를 볼 수 있습니다. (e)의 섬유는 더적은 밀도가 가득하고 뿐만 아니라 정렬된 섬유 구조를 가집니다.

.

EDS은 다음과 같은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통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Fibrous proteins: COL1A1, COL1A2, COL3A1, COL5A1, COL5A2, and TNXB 
  • Enzymes: ADAMTS2, PLOD1, B4GALT7, DSE, and D4ST1/CHST14

EDS은 유전 상속 유형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부분의 형태의 상태는 유전 상속에서 상염색체 지배적인 패턴을 의미하는 단 하나의 복사 유전자로 부터 나옵니다.. 소수 민족는 상속에서 염색체 열성 패턴에 모두 영향을 받습니다. 이는 또한 개인의 de novo, 산발적" 돌연변이다.  상속패턴에 대한 논의를 거친 후에야 EDS의 유형을 정확히 밝힐 수 있다.

진단

불안정한 손목의 X-ray

증상은 환자기록이나 관찰 진찰으로 확인 가능하다. 콜라겐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를 통해 피부에서 콜라겐 섬유의 여러가지 장애 유형을 파악가능 하다. 그러나 이 검사가 모든 유형의 EDS를 확정 할 수있는 것은 아니다. 한 가족에 영향을받는 개인이 여러 명이면, 연계 연구로 알려진 DNA 정보 기술을 사용하여 산전 진단을 수행 할 수 있기 때문에 EDS에 관한 지식은 실무 경험이 많은 사람에게 있을 수 있습니다. [34][35]

분류

 2017 년 현재 Ehlers-Danlos 증후군에는 13 가지 유형이 있으며 특징이 크게 겹칩니다.[36]

과운동성 EDS -주로 크고 작은 관절에 영향을 미치는 관절과 운동 능력으로 재발 성 관절 탈구 및 아탈구 (부분 탈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이 유형의 사람들은 근육 및 / 또는 뼈의 멍이 들거나 만성 통증이있는 ​​부드럽고 부드럽고 벨벳 같은 피부를 가집니다.

고전 EDS -매우 탄력있는 (신축성있는) 부드러운 피부가 연약하고 부서지며 쉽게 상처가 난다. 넓은, 위축성 흉터 (편평하거나 우울한 흉터); 및 협동과 운동성. Molluscoid pseudotumors (팔꿈치와 같은 압력 점에 석회화 한 혈종) 및 spheroids (팔뚝 및 shins에 지방 함유 포낭) 또한 빈번하게 보인다. 저선 수 및 지연 운동 발달이 발생할 수 있음 

혈관 EDS - 얇고 반투명 한 피부로 매우 부서지기 쉽고 타박상이 쉽게 생깁니다. 동맥과 장과 자궁과 같은 특정 기관도 허약하고 파열되기 쉽습니다. 이 유형의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키가 작습니다. 얇은 두피 머리; 큰 눈, 얇은 코, 귀가없는 귀를 비롯한 특징적인 얼굴 특징이 있습니다. 합동과 운동성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작은 관절 (손가락, 발가락)에 국한됩니다. 다른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클럽 피트; 힘줄 및 / 또는 근육 파열; acrogeria (손과 발 피부의 조기 노화); 조기 개시 정맥류; 기흉 (폐의 붕괴); 잇몸의 후퇴; 및 피부 아래 지방량 감소. 

측만성 EDS - 출생시 심한 저혈압, 운동 발달 지연, 진행성 척추 측만증 (출생시 현재), 공막 취약성과 관련이있다. 영향을받는 사람들도 쉽게 멍이들 수 있습니다. 파열되기 쉬운 허약 한 동맥; 비정상적으로 작은 각막; 및 osteopenia (낮은 뼈 밀도). 다른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길고 가느 다란 손가락 (arachnodactlyly)이 특징 인 "마르 파 노이드 습관"; 비정상적으로 긴 팔다리; (pectus excavatum) 또는 튀어 나온 가슴 (pectus carinatum)이있다.

Arthrochalasia EDS -심한 관절과 운동성 및 선천성 고관절 탈구를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멍이 들기 쉬운 허약하고 탄력있는 피부, 저혈압; 척추 측만증 (후만증 및 측만증); 경증 골감소증이 있다.

Dermatosparaxis EDS -심한 상처와 흉터로 이어지는 매우 약한 피부와 관련이 있습니다. 처진 피부, 특히 얼굴에 여분의 피부가 있습니다. 탈장 및 얇은 각막, 조기 진보적 인 각막이 특징 인 가려운 각막 증후군 (BCS), 푸른 sclerae를 관찰 할 수 있다.

유사클래식-EDS 벨벳같은 피부 질감과 위축성 흉터, 재발 성 탈구의 유무 (흔히 어깨와 발목)를 동반하거나 갖지 않는 범용 조기과 운동 (GJH), 쉽게 상처를 입은 피부 또는 자발적 출혈 (피부 아래에서 출혈로 인한 색소 침착)이 발견됩니다.

Spondylodysplastic EDS (spEDS)은  어린 시절의 진행성 근력 저하 (심한 선천성에서부터 가벼운 나중에 발병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사지 굴곡이 특징입니다.

Musculocontractural EDS (mcEDS) 선천성 다발 구축, 특징적으로 내전 - 굴곡 구축 및 / 또는 탈곡 등반 (만곡 족), 출생시 또는 초기 유아에서 명백한 특징적인 두개 안면 특징, 피부 과민성, 쉬운 괴사 성, 위축성 흉터가있는 피부 취약성과 같은 피부, 손바닥 주름 증가가 특징입니다. 

Myopathic EDS- 선천적 다발 구축, 특징적으로 내전 - 굴곡 구축 및 / 또는 탈곡 등반, 출생시 또는 출발 유아에서 명백한 특징, 외피 성, 무기력, 조형성, 흉골 성 , 손바닥 주름 증가가 특징적입니다.

Periodontal EDS (pEDS)는 조기 발병의 심하고 난치성 인 치주염 (소아기 또는 청소년기), 부착 된 치은의 결핍이 특징적입니다. 임상 기준을 충족하는 1 급 친척의 가족력이 존재합니다.

심장 판막 EDS (cvEDS)을 특징으로 심각한 진보적인 심장 밸브 모양 문제에(대동맥 밸브,mitral valve),피부 문제(hyperextensibility 을,위축성 흉터,얇은 스킨,쉽게 멍),합동 과대 운동(일반 또는 제한 작은 관절).

관리

 Ehlers-Danlos 증후군에 대한 치료법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치료는 고식적입니다. 심혈관 시스템, 물리 요법, 작업 요법 및 정형 외과 도구 (예 : 휠체어, 브레이싱, 주조)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관절을 안정시키고 부상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형 외과 용기구는 이동성을위한 다른 옵션이 없을 때까지는 개인이 전적으로 그들에게 의존하지 않을 것을 권고하지만, 특히 장거리의 경우에는 더 이상의 관절 손상 예방에 도움이됩니다. 관절이 잠기거나 과도 연장되는 활동을 피해야합니다.[출처 필요]

 의사는 관절을 안정시키기 위해 주조를 처방 할 수 있습니다. 의사는 환자를 교정 치료 (보조기)에 대한 속임수 처방으로 안내 할 수 있습니다. 의사는 근육 강화를 돕고 관절을 적절하게 사용하고 보존하는 방법을 사람들에게 가르치기 위해 신체 및 / 또는 작업 치료사와 상담 할 수도 있습니다.[37][38]

여러 유형의 물리 치료가 있습니다. 수중 요법은 근육 발달과 조정을 촉진합니다. 수동 요법으로 관절은 운동 및 / 또는 조작의 범위 내에서 부드럽게 동원 될 것입니다. 보수 치료가 도움이되지 않는다면, 관절의 수술 적 교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통증을 줄이거 나 심장, 소화 기관 또는 기타 관련 질병을 관리하는 약물을 처방 할 수 있습니다. 타박상을 줄이고 상처 치유를 개선하기 위해 일부 환자들은 아스 코르 빈산 (비타민 C)에 반응했습니다. EDS 환자에서 발생하기 쉬운 합병증의 양 때문에 의료인이 특별한주의를 기울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혈관 내 EDS에서 흉부 또는 복통의 징후는 외상 상황으로 간주됩니다.[출처 필요]

일반적으로 의학적 중재는 증상 치료로 제한됩니다. 임신하기 전에 EDS 환자는 유전 상담을 받아야하며 임신이 나타나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위험을 스스로 파악해야합니다. EDS를받는 어린이는 접촉 스포츠 및 기타 신체적 스트레스를주는 활동을 피해야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도록 장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합니다. 아이들은 조인트의 조기 퇴행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느슨한 조인트로 인해 유지할 수있는 비정상적인 위치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조기에 교육해야합니다. 환자는 질병의 단점을 극복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정서적 지원과 행동 및 심리 치료가 유용 할 수 있습니다. 지원 그룹은 주요 생활 습관 변화 및 건강 악화를 다루는 환자에게 대단히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EDS에 관해 가족, 교사 및 친구들에게 알려서 자녀를 받아들이고 지원할 수 있도록해야합니다.[출처 필요]

수술

 Ehlers-Danlos 증후군 환자에서 외과 적 개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거의 모든 관절의 불안정성이 발생할 수 있지만 손목, 손가락, 어깨, 무릎, 엉덩이 및 발목이 가장 흔한 상지 및 하반부에서 가장 자주 나타납니다..

 일반적인 수술 절차는 관절 debridement, 힘줄 교체, capsulorraphy 및 arthroplasty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수술 후 안정화 정도, 통증 감소 및 환자 만족도는 향상 될 수 있지만 수술 결과가 최적의 결과를 보장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환자 및 외과 의사는 결과에 만족하지 못한다고보고합니다. 질병에 의한 외과 적 합병증의 추가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보수 치료가 수술보다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일치합니다. EDS로 인해 세 가지 기본적인 수술 문제가 발생합니다. 조직의 강도가 감소되어 조직이 수술에 적합하지 않게됩니다. 혈관의 취약성은 수술 중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상처 치유는 종종 지연되거나 불완전합니다. 외과 의사의 개입을 고려한다면, EDS와 관절과 운동성 문제가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데있어 광범위한 지식과 경험을 갖춘 외과 의사의 진료를받는 것이 현명 할 것입니다.[출처 필요]

연구에 따르면 Ehlers-Danlos 증후군 환자에서 국소 마취제, 동맥 카테터 및 중심 정맥 카테터가 혈종 형성 위험이 높습니다. Ehlers-Danlos 증후군 환자는 또한 국소 마취에 대한 저항성을 보입니다. Xylocaine과 Bupivacaine에 대한 내성은 흔하지 않으며 Carbocaine은 EDS 특허에서 더 잘 작동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EDS 환자의 마취에 대한 특별 권고 사항은 고아 마취 (anphan anesthesia.eu)로 준비되며 EDS 환자의 마취에 대한 모든 측면을 다룹니다. EDS 환자의 마취 및 수술에 대한 자세한 권장 사항은 환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해야합니다.[39]

Ehlers-Danlos 환자의 수술은 조심스럽게 조직을 다루고 나중에 고정화해야합니다.[출처 필요]

References

  1. “Ehlers–Danlos syndrome”. 《Genetics Home Reference》. 2016년 5월 8일에 확인함. 
  2. Anderson, Bryan E. (2012). 《The Netter Collection of Medical Illustrations - Integumentary System E-Book》 (영어) 2판. Elsevier Health Sciences. 235쪽. ISBN 1455726648. 
  3. Lawrence, Elizabeth J. (2005).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Ehlers–Danlos syndrome”. 《Advances in Neonatal Care》 5 (6): 301–14. doi:10.1016/j.adnc.2005.09.006. PMID 16338669. 
  4. Ferri, Fred F. (2016). 《Ferri's Netter Patient Advisor》 (영어). Elsevier Health Sciences. 939쪽. ISBN 9780323393249. 
  5. Beighton, Peter H.; Grahame, Rodney; Bird, Howard A. (2011). 《Hypermobility of Joints》. Springer. 1쪽. ISBN 9781848820852. 
  6. Byers PH, Murray ML (2012). “Heritable collagen disorders: the paradigm of Ehlers–Danlos syndrom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32 (E1): E6–11. doi:10.1038/skinbio.2012.3. PMID 23154631. 
  7. Lawrence EJ (2005).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Ehlers–Danlos syndrome”. 《Adv Neonatal Care》 5 (6): 301–14. doi:10.1016/j.adnc.2005.09.006. PMID 16338669. 
  8. “Ehlers–Danlos Syndrome”. 《Mayo Clinic》. 2012년 5월 25일에 확인함. 
  9. Erçöçen AR, Yenidünya MO, Yilmaz S, Ozbek MR (1997). “Dynamic swan neck deformity in a patient with Ehlers–Danlos syndrome”. 《J Hand Surg Br》 22 (1): 128–30. doi:10.1016/S0266-7681(97)80039-3. PMID 9061548. 
  10. “Vascular Type-EDS”. 《Ehlers–Danlos Syndrome Network C.A.R.E.S. Inc.》. 
  11. Milhorat TH, Bolognese PA, Nishikawa M, McDonnell NB, Francomano CA (December 2007). “Syndrome of occipitoatlantoaxial hypermobility, cranial settling, and chiari malformation type I in patients with hereditary disorders of connective tissue”. 《Journal of Neurosurgery. Spine》 7 (6): 601–9. doi:10.3171/SPI-07/12/601. PMID 18074684. 
  12. Gedalia A, Press J, Klein M, Buskila D (1993). “Joint hypermobility and fibromyalgia in schoolchildren”.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52 (7): 494–6. doi:10.1136/ard.52.7.494. PMC 1005086. PMID 8346976. 
  13. Dommerholt, Jan. “CSF Ehlers Danlos Colloquium, Dr Jan Dommerholt”. Chiari & Syringomyelia Foundation. 2013년 6월 10일에 확인함. 
  14. Vigorita, Vincent J; Mintz, Douglas; Ghelman, Bernard (2008). 《Orthopaedic pathology》 2판.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5–6쪽. ISBN 0781796709. 
  15. “Ehlers-Danlos syndrome - Diagnosis - Approach”. 《BMJ Best Practice》. 2016년 12월 13일. 2017년 8월 18일에 확인함. 
  16. “Unusual scars in a young female patient”.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81 (957): e5–e5. 2005년 7월 1일. ISSN 1469-0756. 
  17. “Classical Type-EDS”. 《Ehlers–Danlos Syndrome Network C.A.R.E.S Inc.》. 
  18. Wilkins, Lippincott Williams & (2007). 《Portable Signs and Symptoms》 (영어).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65쪽. ISBN 9781582556796. 
  19. “Piezogenic papules - DermNet New Zealand”. 《www.dermnetnz.org》. 
  20. Camerota F, Castori M, Celletti C, Colotto M, Amato S, Colella A, Curione M, Danese C (2014). “Heart rate, conduction and ultrasound abnormalities in adults with joint hypermobility syndrome/Ehlers–Danlos syndrome, hypermobility type”. 《Clin. Rheumatol.》 33 (7): 981–7. doi:10.1007/s10067-014-2618-y. PMID 24752348. 
  21. Wenstrup, R.J; 외. (2001). 《The Ehlers–Danlos Syndromes: Management of Genetic Syndromes》. 131–149쪽. 
  22. Brockway, Laura (April 2016). “Gastrointestinal manifestations of Ehlers–Danlos syndrome (hypermobility type)”. Ehlers–Danlos Support UK. 
  23. “Ehlers–Danlos Syndrome”. 《Underlying Causes of Dysautonomia》. Dysautonomia International. 2012. 
  24. Létourneau Y, Pérusse R, Buithieu H (2001). “Oral manifestations of Ehlers–Danlos syndrome”. 《J Can Dent Assoc》 67 (6): 330–4. PMID 11450296. 
  25. “Ehlers–Danlos syndrome: Definition from”. Answers.com. 2014년 2월 27일에 확인함. 
  26. Castori M, Voermans NC (2014). “Neurological manifestations of Ehlers-Danlos syndrome(s): A review”. 《Iran J Neurol.》 13 (4): 190–208. PMID 25632331. 
  27. (영어) Ehlers-Danlos syndrome - 메드라인플러스
  28. Lind J, Wallenburg HC (April 2002). “Pregnancy and the Ehlers–Danlos syndrome: a retrospective study in a Dutch population”.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81 (4): 293–300. doi:10.1034/j.1600-0412.2002.810403.x. PMID 11952457. 
  29. Guilleminault C, Primeau M, Chiu HY, Yuen KM, Leger D, Metlaine A (2013).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Ehlers–Danlos syndrome: a genetic model of OSA”. 《Chest》 144 (5): 1503–11. doi:10.1378/chest.13-0174. PMID 23929538. 
  30. Henderson, Fraser (2015). “Indices of Cranio-vertebral Instability”. 《Funded Research》. Chiari & Syringomyelia Foundation. 
  31. Levy, HP (2016년 3월 31일). “Ehlers–Danlos Syndrome, Hypermobility Type”. 《® [Internet]. Seattle (WA):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1993–2017》 (Review). PMID 20301456. open access publication – free to read
  32. The Press Enterprise, Redlands mother stung by untrue suspicions presses for accountability in child abuse inquiries, 2008-04-03
  33. Chopra, Pradeep; Tinkle, Brad; Hamonet, Claude; Brock, Isabelle; Gompel, Anne; Bulbena, Antonio; Francomano, Clair (2017). “Pain management in the Ehlers–Danlos syndromes”.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Part C: Seminars in Medical Genetics》 (영어) 175 (1): 212–219. doi:10.1002/ajmg.c.31554. ISSN 1552-4876. 
  34. Ross, J.; Grahame, R. (2011). “Joint hypermobility syndrome”. 《BMJ》 342: c7167. doi:10.1136/bmj.c7167. PMID 21252103. 
  35. Castori, Marco (2012). “Ehlers–Danlos Syndrome, Hypermobility Type: An Underdiagnosed Hereditary Connective Tissue Disorder with Mucocutaneous, Articular, and Systemic Manifestations”. 《ISRN Dermatology》 2012: 751768. doi:10.5402/2012/751768. PMC 3512326. PMID 23227356. 
  36. “Ehlers-Danlos syndromes”. 《rarediseases.info.nih.gov》 (영어). 2017년 4월 20일. 2017년 9월 23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37. Rombaut L, Malfait F, De Wandele I, Cools A, Thijs Y, De Paepe A, Calders P (July 2011). “Medication, Surgery, and Physiotherapy Among Patients With the Hypermobility Type of Ehlers–Danlos Syndrom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2 (7): 1106–12. doi:10.1016/j.apmr.2011.01.016. PMID 21636074. 
  38. Woerdeman LA, Ritt MJ, Meijer B, Maas M (2000). “Wrist problems in patients with Ehlers–Danlos syndrome”. 《European Journal of Plastic Surgery》 23 (4): 208–210. doi:10.1007/s002380050252. 
  39. Wiesmann, Thomas; Castori, Marco; Malfait, Fransiska; Wulf, Hinnerk (2014). “Recommendations for anesthesia and perioperative management in patients with Ehlers–Danlos syndrome(s)”. 《Orphanet Journal of Rare Diseases》 9: 109. doi:10.1186/s13023-014-0109-5. PMC 4223622. PMID 25053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