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분기 (동역학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8번째 줄: 28번째 줄:
* {{저널 인용|제목=Bifurcation|저널=Scholarpedia|권=2|호=6|쪽=1517|doi=10.4249/scholarpedia.1517|이름=John|성=Guckenheimer|issn=1941-6016|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제목=Bifurcation|저널=Scholarpedia|권=2|호=6|쪽=1517|doi=10.4249/scholarpedia.1517|이름=John|성=Guckenheimer|issn=1941-6016|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제목=Introduction to bifurcation theory|이름=John David|성=Crawford|저널=Reviews of Modern Physics|권=63|쪽=991|날짜=1991-10-01|doi=10.1103/RevModPhys.63.991|url=http://aristote.obspm.fr/CT8/RevModPhys.63.991.pdf|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제목=Introduction to bifurcation theory|이름=John David|성=Crawford|저널=Reviews of Modern Physics|권=63|쪽=991|날짜=1991-10-01|doi=10.1103/RevModPhys.63.991|url=http://aristote.obspm.fr/CT8/RevModPhys.63.991.pdf|언어고리=en}}
* {{서적 인용|제목=Elements of applied bifurcation theory|판=2|이름=Yuri A.|성=Kuznetsov|출판사=Springer|날짜=1994|doi=10.1007/978-1-4757-3978-7|언어고리=en}}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2015년 10월 13일 (화) 09:12 판

분기의 예. 매개변수 가 변화하면서 임계값 에 다다르면 동역학계의 궤적의 모양이 크게 변화한다. 인 경우 평형점이 없지만, 인 경우 두 개의 평형점이 존재한다.

분기 이론(分岐理論, 영어: bifurcation theory)은 어떤 매개변수에 의존하는 동역학계의 궤도 따위가, 매개변수를 변화시키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하는 수학 분야이다.

정의

분기 이론에서 다루는 분기(分岐, 영어: bifurcation)은 국소적 분기(영어: local bifurcation)와 대역적 분기(영어: global bifurcation)가 있다. 전자는 평형점의 존재 또는 부재에 대한 것이고, 후자는 주기적 궤도 따위에 대한 것이다.

국소적 분기

어떤 차원 리만 다양체 위에, 매개변수 에 의존하는 연속 시간 동역학계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각 에서 야코비 행렬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실수 행렬로 간주할 때, 만약 가 실수 성분이 0인 복소수 고윳값을 갖는다면, 동역학계 에서 분기한다고 한다. 이 경우, 두 가지 경우를 구분할 수 있다.

  • 만약 야코비 행렬의 고윳값이 0이라면, 이는 안정 상태 분기(영어: steady-state bifurcation)라고 한다.
  • 만약 야코비 행렬의 고윳값이 0이 아닌 허수라면, 이는 호프 분기(영어: Hopf bifurcation)라고 한다. 이 경우, 대개 어떤 고정점이 극한 주기 궤도(영어: limit cycle)로 변화하게 된다.

이산 시간 동역학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정의를 내릴 수 있다. 이산 시간 동역학계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에 대하여, 야코비 행렬

을 정의할 수 잇다. 이를 실수 행렬로 간주할 때, 만약 가 절댓값이 1인 복소수 고윳값을 갖는다면, 에서 분기한다고 한다.

대역적 분기

대역적 분기(영어: global bifurcation)는 주기적 궤도(영어: periodic orbit)나 극한 주기 궤도(영어: limit cycle), 끌개 등이 한 개 이상의 안정점과 충돌하게 되는 점이다. 이 역시 다양한 경우가 있다.

참고 문헌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