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도케라톱스: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발견의 역사 번역
31번째 줄: 31번째 줄:
== 어원 ==
== 어원 ==
네도케라톱스는 "불충분한 뿔 달린 얼굴" 이란 의미다. "네도"는 러시아어 접두어로 "불충분하다" 는 뜻이다. "케라톱스" 는 각룡류에서 흔히 사용되는 접미사로 "뿔 달린 얼굴" 이란 의미다. 네도케라톱스의 이름은 코뿔이 없는 것에서 유래했다.
네도케라톱스는 "불충분한 뿔 달린 얼굴" 이란 의미다. "네도"는 러시아어 접두어로 "불충분하다" 는 뜻이다. "케라톱스" 는 각룡류에서 흔히 사용되는 접미사로 "뿔 달린 얼굴" 이란 의미다. 네도케라톱스의 이름은 코뿔이 없는 것에서 유래했다.

== 발견의 역사 ==
[[File:Nedoceratops.png|thumb|left|여러 각도에서 본 두개골]]
네도케라톱스를 보고한 논문은 원래 [[오트니엘 찰스 마쉬]]의 역작인 각룡류 전문논문(monograph)의 한 부분이었다. 불행히도 마쉬는 1899년, 논문이 완성되기 전에 죽었고 존 벨 해처가 트리케라톱스 부분을 완성했다. 하지만 해처도 1904년 42세의 나이에 [[발진티푸스]]로 죽어 논문은 여전히 완성되지 못한 상태였다. 리차드 스완 럴이 1905 년에 마침내 전문논문을 완성하면서 그 중 하나의 두개골에 대한 기술을 별도로 분리하여 디케라톱스 해처리(''Diceratops hatcheri'')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ref name=farke/><ref>{{cite journal |꺾쇠표없음=예|last1= Hatcher |first1= John Bell |year=1904 |title= Two new Ceratopsia from the Laramie of Converse County, Wyoming |journal= American Journal of Science | series=Series 4,| volume=4 |pages= 413–419 |url= http://books.google.com/books?id=FnAuAAAAIAAJ&pg=PA21#v=onepage&q&f=false |doi=10.2475/ajs.s4-20.120.413}}</ref><ref>{{cite journal |꺾쇠표없음=예|last1= Lull |first1= Richard Swann |year=1905 |title= Restoration of the horned dinosaur Diceratops |journal= American Journal of Science |series=Series 4,| volume=4 |pages=420–422 |url= http://books.google.com/books?id=FnAuAAAAIAAJ&pg=PA28#v=onepage&f=false |doi=10.2475/ajs.s4-20.120.420}}</ref> 디케라톱스는 "두 개의 뿔이 달린 얼굴" 이란 의미다.

디케라톱스 논문이 해처에 의해 쓰여졌고 럴은 이름을 붙이고 해처의 사후 논문을 출판하는 작업만 했기 때문에 럴은 디케라톱스가 독립적인 속이라는 것에 대한 확신이 없었고, 아마 질병 등의 이유로 뿔이 두 개만 있었던 것이라고 생각했다. 1933년 럴은 디케라톱스에 대해 다시 생각을 해본 후 [[트리케라톱스]]의 아속으로 분류했다. 따라서 디케라톱스는 트리케라톱스 (디케라톱스) 해처리 ''Triceratops'' (''diceratops'') ''hatcheri'' 가 되면서 ''T. obtusus'' 도 포함하게 되었다. 이들의 차이점은 개체가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차이로 간주하였다.<ref name=farke/>

디케라톱스라는 이름이 [[벌목]] 곤충에 의해 이미 사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Foerster, 1868) 안드레이 세르게이비치 우크라인스키가 2007년에 네도케라톱스라는 현재의 이름을 붙였다.<ref name=Ukrainsky07>Ukrainsky, A.S. (2007). [http://www.zin.ru/Animalia/Coleoptera/rus/ukr_zr07.htm "A new replacement name for ''Diceratops'' Lull, 1905 (Reptilia: Ornithischia: Ceratopsidae)."] ''Zoosystematica Rossica'', '''16'''(2), 20 December 2007: 292.</ref> 우크라인스키가 이미 새로운 이름을 붙였다는 것을 모른 채 옥타비오 마테우스가 2008년에 디케라투스 (''Diceratus'')라는 이름을 새로 붙였다.<ref name=OM08>{{cite journal |꺾쇠표없음=예|last=Mateus |first=Octávio |year=2008 |title=Two ornithischian dinosaurs renamed: ''Microceratops'' Bohlin 1953 and ''Diceratops'' Lull 1905 |journal=Journal of Paleontology |volume=82 |issue=2 |pages=423 |doi=10.1666/07-069.1}}</ref><ref name=Ukrainsky09>Ukrainsky, A.S. (2009). "Sinonimiya rodov ''Nedoceratops'' Ukrainsky, 2007 i ''Diceratus'' Mateus, 2008 (Reptilia: Ornithischia: Ceratopidae)." ''Paleontologicheskii zhurnal'', '''2009'''(1): 108. Translated as: Ukrainsky, A.S. (2009). [http://www.springerlink.com/content/k0u4421677v6t171/fulltext.pdf "Synonymy of the genera ''Nedoceratops'' Ukrainsky, 2007 and ''Diceratus'' Mateus, 2008 (Reptilia: Ornithischia: Ceratopidae)."] ''Paleontological Journal'', '''2009''' 43(1):116.</ref> 디케라투스는 현재 네도케라톱스의 동물이명으로 간주된다.<ref name=farke>{{cite doi|10.1371/journal.pone.0016196}}</ref>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5년 5월 5일 (화) 01:13 판

네도케라톱스
화석 범위:
백악기 후기 67–66백만년 전
네도케라톱스 해처리(Nedoceratops hatcheri)의 두개골
네도케라톱스 해처리(Nedoceratops hatcheri)의 두개골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파충강
아강: 이궁아강
하강: 지배파충하강
상목: 공룡상목
목: 조반목
(미분류): 신조반류
아목: 각각아목
하목: 각룡하목
과: 케라톱스과
아과: 카스모사우루스아과
속: 네도케라톱스
모식종
네도케라톱스 해처리 (Nedoceratops hatcheri)
Ukrainsky, 2007
'
  • N. hatcheri (Lull vide Hatcher, 1905) (모식종)

네도케라톱스 (Nedoceratops, "불충분한 뿔 달린 얼굴" 이란 의미) 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의 랜스 층에서 발견된 초식성 케라톱스과 공룡의 한 이다. 와이오밍 주에서 발견된 두개골 하나만이 알려져 있다. 네도케라톱스는 고생물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 어떤 저자들은 네도케라톱스를 유효한 분류군이라고 보지만 다른 학자들은 트리케라톱스의 성장 단계를 나타내는 동물이명이라고 생각한다.

어원

네도케라톱스는 "불충분한 뿔 달린 얼굴" 이란 의미다. "네도"는 러시아어 접두어로 "불충분하다" 는 뜻이다. "케라톱스" 는 각룡류에서 흔히 사용되는 접미사로 "뿔 달린 얼굴" 이란 의미다. 네도케라톱스의 이름은 코뿔이 없는 것에서 유래했다.

== 발견의 역사 ==
여러 각도에서 본 두개골

네도케라톱스를 보고한 논문은 원래 오트니엘 찰스 마쉬의 역작인 각룡류 전문논문(monograph)의 한 부분이었다. 불행히도 마쉬는 1899년, 논문이 완성되기 전에 죽었고 존 벨 해처가 트리케라톱스 부분을 완성했다. 하지만 해처도 1904년 42세의 나이에 발진티푸스로 죽어 논문은 여전히 완성되지 못한 상태였다. 리차드 스완 럴이 1905 년에 마침내 전문논문을 완성하면서 그 중 하나의 두개골에 대한 기술을 별도로 분리하여 디케라톱스 해처리(Diceratops hatcheri)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1][2][3] 디케라톱스는 "두 개의 뿔이 달린 얼굴" 이란 의미다.

디케라톱스 논문이 해처에 의해 쓰여졌고 럴은 이름을 붙이고 해처의 사후 논문을 출판하는 작업만 했기 때문에 럴은 디케라톱스가 독립적인 속이라는 것에 대한 확신이 없었고, 아마 질병 등의 이유로 뿔이 두 개만 있었던 것이라고 생각했다. 1933년 럴은 디케라톱스에 대해 다시 생각을 해본 후 트리케라톱스의 아속으로 분류했다. 따라서 디케라톱스는 트리케라톱스 (디케라톱스) 해처리 Triceratops (diceratops) hatcheri 가 되면서 T. obtusus 도 포함하게 되었다. 이들의 차이점은 개체가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차이로 간주하였다.[1]

디케라톱스라는 이름이 벌목 곤충에 의해 이미 사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Foerster, 1868) 안드레이 세르게이비치 우크라인스키가 2007년에 네도케라톱스라는 현재의 이름을 붙였다.[4] 우크라인스키가 이미 새로운 이름을 붙였다는 것을 모른 채 옥타비오 마테우스가 2008년에 디케라투스 (Diceratus)라는 이름을 새로 붙였다.[5][6] 디케라투스는 현재 네도케라톱스의 동물이명으로 간주된다.[1]

같이 보기

참고문헌

  1. doi 10.1371/journal.pone.0016196
    현재 이 인용은 내용이 불완전합니다. 영어판의 문서에서 복사하여 완성할 수 있습니다.
  2. Hatcher, John Bell (1904). “Two new Ceratopsia from the Laramie of Converse County, Wyoming”. 《American Journal of Science》. Series 4, 4: 413–419. doi:10.2475/ajs.s4-20.120.413. 
  3. Lull, Richard Swann (1905). “Restoration of the horned dinosaur Diceratops”. 《American Journal of Science》. Series 4, 4: 420–422. doi:10.2475/ajs.s4-20.120.420. 
  4. Ukrainsky, A.S. (2007). "A new replacement name for Diceratops Lull, 1905 (Reptilia: Ornithischia: Ceratopsidae)." Zoosystematica Rossica, 16(2), 20 December 2007: 292.
  5. Mateus, Octávio (2008). “Two ornithischian dinosaurs renamed: Microceratops Bohlin 1953 and Diceratops Lull 1905”. 《Journal of Paleontology》 82 (2): 423. doi:10.1666/07-069.1. 
  6. Ukrainsky, A.S. (2009). "Sinonimiya rodov Nedoceratops Ukrainsky, 2007 i Diceratus Mateus, 2008 (Reptilia: Ornithischia: Ceratopidae)." Paleontologicheskii zhurnal, 2009(1): 108. Translated as: Ukrainsky, A.S. (2009). "Synonymy of the genera Nedoceratops Ukrainsky, 2007 and Diceratus Mateus, 2008 (Reptilia: Ornithischia: Ceratopidae)." Paleontological Journal, 2009 43(1):116.

더 읽기

바깥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