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케팔로사우루스: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8번째 줄: 38번째 줄:


== 계통과 분류 ==
== 계통과 분류 ==
[[후두류]](파키케팔로사우리아)라는 이름이 파키케팔로사우루스로부터 유래했다. 후두류는 [[초식성]] [[조반류]] 공룡의 한 분지군으로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서 살았다. 이들은 이족보행을 했지만 [[조각류]]보다는 [[각룡류]]와 더 가까운 관계였다.<ref name="Pisanietal">{{cite journal| 꺾쇠표없음=예|last = Pisani| first = Davide| coauthors = Yates, Adam M., Langer, Max C. and Benton, Michael J.| title = A genus-level supertree of the Dinosauria| journal =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volume = 269| issue = 1494| pages = 915–921| publisher = | location = | year = 2002| doi =10.1098/rspb.2001.1942| id = | pmid = 12028774| pmc = 1690971}}</ref>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후두류 중 가장 유명한 (가장 잘 보존된 종류는 아니지만) 공룡이다. 후두류에는 [[스테노펠릭스]], [[완나노사우루스]], [[고요케팔레]], [[스테고케라스]], [[호말로케팔레]], [[틸로케팔레]], [[스파에로톨루스]] 그리고 [[프레노케팔레]] 등이 포함된다. 파키케팔로사우루스족 (tribe Pachycephalosaurini) 안에서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드라코렉스]] 및 [[스티기몰르크]]와 가장 가까운 관계이지만 이들은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어린 형태일 수도 있다.<ref name=ES07/><ref name=HG09>{{cite journal |꺾쇠표없음=예|last=Horner |first=J. R. |author2=Goodwin, M. B. |year=2009 |title=Extreme Cranial Ontogeny in the Upper Cretaceous Dinosaur Pachycephalosaurus |journal=PLoS ONE |pmid=19859556 |volume=4 |pmc=2762616 |issue=10 |doi=10.1371/journal.pone.0007626 |pages=e7626 |bibcode=2009PLoSO...4.7626H |editor1-last=Sereno |editor1-first=Paul}}</ref>
[[File:Pachycephalosaurus skull.JPG|thumb|두개골 캐스트]]
아래는 에반스 외의 2013 년 논문 실린 분지도를 조금 수정한 것이다.<ref name=Acrotholus>{{Cite doi|10.1038/ncomms2749}}</ref>

{{분지군| style=font-size:85%;line-height:85%
|label1=&nbsp;후두류&nbsp;
|1={{분지군
|1=[[완나노사우루스]](''Wannanosaurus yansiensis'')
|label2=&nbsp;[[파키케팔로사우루스과]]&nbsp;
|2={{분지군
|1={{분지군
|1=[[콜레피오케팔레]](''Colepiocephale lambei'')
|2=[[한수에시아]](''Hanssuesia sternbergi'')
|3=[[스테고케라스]](''Stegoceras novomexicanum'')
|4=[[스테고케라스]](''Stegoceras validum'')}}
|2={{분지군
|1=[[고요케팔레]](''Goyocephale lattimorei'')
|2={{분지군
|1=[[호말로케팔레]](''Homalocephale calathocercos'')
|2={{분지군
|1=[[틸로케팔레]](''Tylocephale gilmorei'')
|2={{분지군
|1=[[프레노케팔레]](''"Prenocephale" brevis'')
|2={{분지군
|1=[[암토케팔레]](''Amtocephale gobiensis'')
|2={{분지군
|1={{분지군
|1=[[아크로톨루스]](''Acrotholus audeti'')
|2=[[프레노케팔레]](''Prenocephale prenes'')}}
|2={{분지군
|1={{분지군
|1=[[알라스카케팔레]](''Alaskacephale gangloffi'')
|2='''파키케팔로사우루스 위오밍엔시스'''(''Pachycephalosaurus wyomingensis'')}}
|2={{분지군
|1=[[스파에로톨루스]](''Sphaerotholus buchholtzae'')
|2=[[스파에로톨루스]](''Sphaerotholus goodwini'') }} }} }} }} }} }} }} }} }} }} }}


== 화석 발견과 연구의 역사 ==
== 화석 발견과 연구의 역사 ==

2015년 2월 2일 (월) 05:37 판

파키케팔로사우루스
화석 범위:
백악기 후기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파충강
상목: 공룡상목
목: 조반목
(미분류): 신조반류
아목: 각각아목
하목: 후두하목
과: 파키케팔로사우루스과
속: 파키케팔로사우루스속
종: 파키케팔로사우루스 와이오밍겐시스
학명
Pachycephalosaurus wyomingensis
Gilmore, 1931

학명이명
  • Tylosteus ornatus Leidy, 1872 [nomen rejectum]
  • Stygimoloch spinifer? Galton & Sues, 1983
  • Dracorex hogwartsia? Bakker et al., 2006

파키케팔로사우루스(Pachycephalosaurus[nb 1])는 후두하목 파키케팔로사우루스과의 한 속이다. 모식종인 파키케팔로사우루스 와이오밍엔시스(Pachycephalosaurus wyomingensis)가 유일하게 알려진 종이다.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마스트리히트절) 에 현재의 북아메리카에 살았다.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화석은 몬태나, 사우스 다코타, 그리고 와이오밍 등지에서 발견된다.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이족보행을 하는 초식성 또는 잡식성 동물이었으며 원래는 매우 두꺼운 천장을 가진 두개골 하나로부터 보고되었으나 최근에 좀 더 완전한 화석들이 발견되었다.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백악기-제3기 멸종 직전에 살았던 마지막 비조류 공룡들 중 하나다. 북아메리카 서부에서 발견된 또 다른 공룡인 틸로스테우스(Tylosteus) 는 파키케팔로사우루스와 동물이명인 것으로 간주된다. 긴 뒷다리와 짧은 앞다리를 지닌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파키케팔로사우루스과에서 가장 큰 몸집을 가지고 있다.

파키케팔로사우루스 및 가까운 속들의 두개골에 있는 두꺼운 돔은 후두류 공룡들이 종내 싸움에서 두개골을 이용했으리라는 가설의 바탕이 되었다. 이 가설은 최근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특징

파키케팔로사우루스 위오밍엔시스의 성체(초록색)과 성장단계로 생각되는 것들, 그리고 인간의 크기 비교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두개골만이 화석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 외의 해부학적 특징은 잘 알려져있지 않다.[1]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뼈로 된 커다란 돔을 두개골 위쪽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돔의 두께는 최대 25 센티미터에 달하며 조그마한 뇌를 훌륭하게 보호할 수 있었을 것이다. 돔의 뒤쪽 측면 가장자리에는 뼈로 된 혹들이 있고, 주둥이 쪽에는 위쪽으로 뻗은 돌기들이 있다. 돌기들은 아주 뾰족하다기보다는 비교적 뭉툭했을 것이다.[2]

두개골은 짧은 편이었으며 크고 둥근 안와는 앞쪽을 향하고 있어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시력은 좋은 편이었고 아마도 양안시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작은 주둥이의 끝에는 뾰족한 부리가 있었다. 이빨은 작았고, 치관은 잎 모양이었다. 머리는 "S" 자 혹은 "U" 자 형태의 목으로 지탱되었다.[2]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아마도 이족보행을 했을 것이며 파키케팔로사우루스과의 공룡들 중 가장 큰 편이었다. 몸길이는 4.5 미터, 몸무게는 450kg 정도였을 것으로 보인다.[3] 파키케팔로사우루스과의 다른 공룡들을 보건대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짧고 두꺼운 목, 짧은 앞다리, 큰 몸집, 긴 뒷다리, 그리고 골질화된 힘줄 때문에 꼿꼿이 뻗은 무거운 꼬리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4]

계통과 분류

후두류(파키케팔로사우리아)라는 이름이 파키케팔로사우루스로부터 유래했다. 후두류는 초식성 조반류 공룡의 한 분지군으로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서 살았다. 이들은 이족보행을 했지만 조각류보다는 각룡류와 더 가까운 관계였다.[5]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후두류 중 가장 유명한 (가장 잘 보존된 종류는 아니지만) 공룡이다. 후두류에는 스테노펠릭스, 완나노사우루스, 고요케팔레, 스테고케라스, 호말로케팔레, 틸로케팔레, 스파에로톨루스 그리고 프레노케팔레 등이 포함된다. 파키케팔로사우루스족 (tribe Pachycephalosaurini) 안에서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드라코렉스스티기몰르크와 가장 가까운 관계이지만 이들은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어린 형태일 수도 있다.[6][7]

두개골 캐스트

아래는 에반스 외의 2013 년 논문 실린 분지도를 조금 수정한 것이다.[8]

 후두류 

완나노사우루스(Wannanosaurus yansiensis)

 파키케팔로사우루스과 

콜레피오케팔레(Colepiocephale lambei)

한수에시아(Hanssuesia sternbergi)

스테고케라스(Stegoceras novomexicanum)

스테고케라스(Stegoceras validum)

고요케팔레(Goyocephale lattimorei)

호말로케팔레(Homalocephale calathocercos)

틸로케팔레(Tylocephale gilmorei)

프레노케팔레("Prenocephale" brevis)

암토케팔레(Amtocephale gobiensis)

아크로톨루스(Acrotholus audeti)

프레노케팔레(Prenocephale prenes)

알라스카케팔레(Alaskacephale gangloffi)

파키케팔로사우루스 위오밍엔시스(Pachycephalosaurus wyomingensis)

스파에로톨루스(Sphaerotholus buchholtzae)

스파에로톨루스(Sphaerotholus goodwini)

화석 발견과 연구의 역사

순고생물학적 내용

내용주
  1. "두껍다"는 의미의 고대그리스어 파키스 pachys-/παχυς-, "머리"라는 의미의 케팔레 kephale/κεφαλη, 그리고 도마뱀이라는 의미의 사우로스 sauros/σαυρος 에서 유래한 "두꺼운 머리를 가진 도마뱀" 이란 의미
참조주
  1. Sullivan, Robert M. (2006). “A taxonomic review of the Pachycephalosauridae (Dinosauria:Ornithischia)” (PDF). 《Late Cretaceous vertebrates from the Western Interior.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Bulletin》 35: 347–366.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2. Carpenter, Kenneth (1997년 12월 1일). “Agonistic behavior in pachycephalosaurs (Ornithischia: Dinosauria): a new look at head-butting behavior” (pdf). 《Contributions to Geology》 32 (1): 19–25. 
  3. Paul, Gregory S. (2010).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4쪽. ISBN 978-0-691-13720-9. 
  4. Organ, Christopher O.; Adams, Jason (2005). “The histology of ossified tendon in dinosaurs” (PDF).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5 (3): 602–613. doi:10.1671/0272-4634(2005)025[0602:THOOTI]2.0.CO;2. 2008년 6월 10일에 확인함. 
  5. Pisani, Davide; Yates, Adam M., Langer, Max C. and Benton, Michael J. (2002). “A genus-level supertree of the Dinosauria”.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269 (1494): 915–921. doi:10.1098/rspb.2001.1942. PMC 1690971. PMID 12028774. 
  6.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ES07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7. Horner, J. R.; Goodwin, M. B. (2009). Sereno, Paul, 편집. “Extreme Cranial Ontogeny in the Upper Cretaceous Dinosaur Pachycephalosaurus”. 《PLoS ONE》 4 (10): e7626. Bibcode:2009PLoSO...4.7626H. doi:10.1371/journal.pone.0007626. PMC 2762616. PMID 19859556. 
  8. doi 10.1038/ncomms2749
    현재 이 인용은 내용이 불완전합니다. 영어판의 문서에서 복사하여 완성할 수 있습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