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시아거미도마뱀붙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르시아거미도마뱀붙이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
강: 파충류
목: 뱀목
하목: 도마뱀붙이하목
과: 도마뱀붙이과
속: 페르시아거미도마뱀붙이속
종: 페르시아거미도마뱀붙이
학명
Agamura persica
듀메릴(:en:Duméril), 1856

학명이명
  • Gymnodactylus persicus
  • Agamura cruralis
페르시아거미도마뱀붙이의 분포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출처 필요]

페르시아거미도마뱀붙이(Agamura persica)는 페르시아 스파이더 게코(Persian spider gecko)라고 부르며, 낮에는 무척 덥고 밤에는 무척 추운 이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의 반사막 지역에 서식한다.[1][2][3]

다리와 꼬리가 길고 가늘어서 거미처럼 보이며, 바위로 뒤덮인 서식지에서 기어오를 수 있다. 발가락은 가늘고 구부러져있으며 발톱이 있는데, 이러한 특징을 가진 도마뱀붙이류를 휜가락도마뱀붙이류(angular-toed gecko)라고 부른다. 본래 페르시아거미도마뱀붙이속에 속했던 다른 두 종 Agamura femoralis (Smith, 1933), Agamura misonnei (De Witte, 1973)은 각각 앤더슨(Anderson, 1999), 칸(Khan, 2003)이 거미도마뱀붙이속(en:Rhinogekko)으로 보냈다.[4]

형태[편집]

암컷은 주둥이에서 항문까지 (SVL) 42- 77 mm, 꼬리는 34 - 59 mm 이고, 수컷은 주둥이에서 항문까지 35 - 65 mm, 꼬리는 27 - 59 mm이다.[2]

페르시아거미는 몸의 윗부분은 밝은 회색 바탕에 노란색 반점이 나있으며, 폭이 사이의 길이와 비슷한 검은색 줄무늬가 여러 개 나있고, 배는 얼룩덜룩한 회색이다.[2][5] 지역에 따라 다소의 색상과 형태적 변화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두 아종으로 분류된다.

아종[편집]

  • Agamura persica ssp. persica는 종의 분포 영역의 동부 지역 (이란 동부, 아프가니스탄)에서 발견되며, "하나는 뒷목(en:nape), 하나는 어깨 사이, 하나는 골반뼈에 나있는 세 개의 검은 가로 줄무늬"로 구분할 수 있다.[2]
  • Agamura persica ssp. cruralis는 서부 지역 (이란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발견되며, "하나는 뒷목, 셋은 몸통, 하나는 골반뼈, 꼬리에는 9 - 10 개의 검은 가로 줄무늬"로 구분할 수 있다.[2]

습성[편집]

페르시아거미는 모래로 뒤덮인 반사막에 가까운 바위와 돌멩이가 널린 지면, 언덕의 경사지나 척박한 평원에 서식한다. 주로 야행성이지만 공기 17.5 °C, 표면 15.5 °C 정도의 온도가 되면 낮에 햇빛을 쬐며, 표면 온도가 44 °C 에 이를 때에도 활동할 수 있다. 페르시아거미의 잘 발달된 (하지만 움직일 수 없는) 윗"눈꺼풀"[2]은 "햇빛가리개"의 역할을 수행하여 주행성 생활에 최적화되어 있다.[1]

페르시아거미는 18 - 24 개월이면 번식이 가능한 크기로 자란다. 번식기는 3- 5월이며, 7월에 산란하고, 9월에 부화한다.[2][1]

성숙[편집]

수컷은 반음경이 달려있으며, 옆에서도 부풀어오른 모습이 보인다. 수컷은 2 - 4 개의 항문전공(preanal pore)이 달려있지만, 사육번식된 개체의 경우 0 - 4 개이다. 암컷은 반음경도 항문전공도 존재하지 않는다. 아성체는 반음경이 없지만, 수컷 아성체는 부화한 후 3 - 4 개월이면 항문까지 대략 7 - 8 cm 에 달하는데, 보통 이맘때쯤에 반음경이 불룩하게 보이기 시작하고, 늦으면 4 - 6 개월 후에 시작될 수도 있다.

사진[편집]

참고 자료[편집]

  • Agamura persica. The Reptile Database.
  • Khan, M.S. 2003. Anmerkungen zur Morphologie, Verbreitung und den Habitatpräferenzen einiger pakistanischer Geckos. Sauria 25 (3): 35-47 [erratum in 25 (4): 27]
  • Khan, M. S. (2005). An Overview of the Angular-toed Geckos of Pakistan (Squamata: Gekkonidae). Gekko, 4.2. 20-30.

각주[편집]

  1. Szczerbak, N.N. & Golubev, M.L. (1986). Gecko Fauna of the USSR and Contiguous Regions. Kiev: Naukova Dumka.
  2. Anderson, Steven C. (1999). The Lizards of Iran. Ithaca, New York: Society for the Study of Amphibians and Reptiles.
  3. Meyer, Michael (2004). Agamura persica - der Spinnengecko aus dem Mittleren Osten. Draco, 18(5), 59-63.
  4. Bauer, A. M., et al. (2013). A preliminary phylogeny of the Palearctic naked-toed geckos (Reptilia: Squamata: Gekkonidae) with taxonomic implications. Zootaxa 3599(4), 301-24.
  5. Khan, M. S. (2006). Amphibians and Reptiles of Pakistan. Malabar, Florida: Krieger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