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노니아 속주
보이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5월) |
판노니아 속주 Provincia Pannonia | |
---|---|
로마 제국의 속주 | |
8년–433년 | |
주도 | 카눈툼,[1] 시르미움,[2] 사바리아,[3] 아퀸툼,[4] 포에토비오[5] 또는 빈도보나[6] |
데모님 | 판노니아인 |
역사적 시대 | 고대 |
• 설치 | 8년 |
• 해체 | 433년 |
슬로베니아의 역사 Zgodovina Slovenije |
---|
판노니아(라틴어: Pannonia)는 로마 제국의 속주 가운데 하나로 다뉴브강을 경계로 서쪽으로는 노리쿰과, 남쪽으로는 달마티아와 경계를 이루고 있었다. 대체로 오늘날의 헝가리, 오스트리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 등을 아우르는 지역에 있었다. 중앙유럽 일부 및 유고슬라비아 북부 일부에 해당하는 곳이다.
역사
[편집]기원전 35년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가 처음으로 이 지역에 진출하여 개척하기 시작했는데 그 전에는 대체로 인도유럽인 혈통의 켈트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기원전 14년 로마 제국은 시르미움을 정복하여 이 지역을 완전히 정복하였는데 끝났다. 이후 기원후 6년 판노니아의 여러 부족들은 달마티아인들과 함께 로마 제국에 반란을 일으켰는데 티베리우스와 게르마니쿠스에 의해 3년에 걸쳐 진압되었다. 티베리우스는 반란을 진압한 후 판노니아를 별도의 속주로 삼고 3개 군단을 주둔하게 했다.
102년에서 107년경 트라야누스 황제는 이 지역을 다시 동서로 분할하여 ‘판노니아 수페리오르’와 ‘판노니아 인페리오르’로 나누었다. 3세기에 이르면서 이 지역 출신의 황제가 여러 명이 배출되었고 전통적으로 로마 군단의 병력을 제공하는 속주로 변모하였다. 그러나 로마 제국이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야만족의 침입을 받았고 395년에 로마군이 이 지역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반달족이 거주하면서 판노니아는 그 명맥이 끊어졌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Haywood, Anthony; Sieg, Caroline (2010). 《Vienna, Anthony Haywood, Caroline (CON) Sieg, Lonely Planet Vienna, 2010, page 21.》. ISBN 9781741790023.
- ↑ Goodrich, Samuel Griswold (1835). “The third book of history: containing ancient history in connection with ancient geography, Samuel Griswold Goodrich, Jenks, Palmer, 1835, page 111.”.
- ↑ Lengyel, Alfonz; Radan, George T.; Barkóczi, László (1980). 《The Archaeology of Roman Pannonia, Alfonz Lengyel, George T. Radan,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980, page 247.》. ISBN 9789630518864.
- ↑ Laszlovszky, J¢Zsef; Szab¢, P'ter (January 2003). 《People and nature in historical perspective, Péter Szabó,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3, page 144.》. ISBN 9789639241862.
- ↑ “Historical outlook: a journal for readers, students and teachers of history, Том 9, American Historical Association, National Board for Historical Service,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McKinley Publishing Company, 1918, page 194.”. 1918.
- ↑ Pierce, Edward M. (1869). “THE COTTAGE CYCLOPEDIA OF HISTORY AND BIOGRAPHY, ED.M.PIERCE, 1869, page 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