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사회: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정의: 서구적,편형적 해석은 우리와 너무 동떨어진 해석이죠
5번째 줄: 5번째 줄:
포스트모던적인 의미에서 시민사회에 대해서 수많은 정의를 내릴 수 있다.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의 시민 사회 센터에서는 시민 사회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포스트모던적인 의미에서 시민사회에 대해서 수많은 정의를 내릴 수 있다.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의 시민 사회 센터에서는 시민 사회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인용문|"시민 사회는 공유된 이해, 목적, 가치를 둘러싼 강제되지 않은 [[집합 행동]]의 장을 이른다. 이론적으로 시민 사회의 제도적 형태는 국가, 가족, 시장과 구별되지만, 실질적으로 국가, 시민 사회, 가족, 시장의 경계는 복잡하고 모호하며 합의가 필요할 때가 많다. 보통 시민 사회는 다양한 공간, 행위자, 제도적 형태를 포괄하며, 형식성과 자율성, 권력 면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인다. 시민 사회에는 등록 자선 단체, 비정부 개발 기구, 공동체 모임, 여성 단체, 직능 단체, 노동 조합, 자조 집단, 사회운동 집단 등과 같은 조직을 아우른다.".<ref> {{cite web|url=http://www.lse.ac.uk/collections/CCS/what_is_civil_society.htm |title=What is civil society? |publisher=Centre for Civil Society, London School of Economics |accessdate=2006-10-30 |date=2004-03-01}}</ref>}}
{{인용문|"시민 사회는 공유된 이해, 목적, 가치를 둘러싼 강제되지 않은 [[집합 행동]]의 장을 이른다. 이론적으로 시민 사회의 제도적 형태는 국가, 가족, 시장과 구별되지만, 실질적으로 국가, 시민 사회, 가족, 시장의 경계는 복잡하고 모호하며 합의가 필요할 때가 많다. 보통 시민 사회는 다양한 공간, 행위자, 제도적 형태를 포괄하며, 형식성과 자율성, 권력 면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인다. 시민 사회에는 등록 자선 단체, 비정부 개발 기구, 공동체 모임, 여성 단체, 직능 단체, 노동 조합, 자조 집단, 사회운동 집단 등과 같은 조직을 아우른다.".<ref> {{cite web|url=http://www.lse.ac.uk/collections/CCS/what_is_civil_society.htm |title=What is civil society? |publisher=Centre for Civil Society, London School of Economics |accessdate=2006-10-30 |date=2004-03-01}}.그러나 이는 민주주의가 사회전반적으로 발달한 서구에서나 합당한 해석이고 한국처럼 어느곳 하나 민주화가 제대로 안된 상태에서는 이렇게 해석하는 것은 문제가 많다.자본과 권력으로부터 독립해서 사회적 약자와 공공의 이익을 대변,활동하는 모든 시민단체는 시민사회로 규정할 수있는 것이다. </ref>}}


== 주석 ==
== 주석 ==

2011년 10월 15일 (토) 11:59 판

시민사회(市民社會, civil society)는 비정부적이고 자발적인 공공 및 사회적 조직과 단체의 총체를 일컫는 말로서, 사회에서 국가시장과 구별되는 독립적 영역이다. 단,시민사회와 국가, 시장의 경계는 상당히 모호하고 유동적인 점도 있으나 이론상으로는 분리 가능하다. [1]

정의

포스트모던적인 의미에서 시민사회에 대해서 수많은 정의를 내릴 수 있다.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의 시민 사회 센터에서는 시민 사회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시민 사회는 공유된 이해, 목적, 가치를 둘러싼 강제되지 않은 집합 행동의 장을 이른다. 이론적으로 시민 사회의 제도적 형태는 국가, 가족, 시장과 구별되지만, 실질적으로 국가, 시민 사회, 가족, 시장의 경계는 복잡하고 모호하며 합의가 필요할 때가 많다. 보통 시민 사회는 다양한 공간, 행위자, 제도적 형태를 포괄하며, 형식성과 자율성, 권력 면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인다. 시민 사회에는 등록 자선 단체, 비정부 개발 기구, 공동체 모임, 여성 단체, 직능 단체, 노동 조합, 자조 집단, 사회운동 집단 등과 같은 조직을 아우른다.".[2]

주석

  1. 흔히 시민운동단체로 불리는 참여연대,환경운동연합,인권운동사랑방 등의 단체가 시민사회의 전형이다.한국에선 전통적으로 공公과 사의 개념은 있어도 민주주의적 경험이 축적되지 않은 관계로 국가·자본과 개인 사이의 제3의 공(共)적 영역인 시민사회의 위상을 알지 못했고 자리잡을 기회를 갖지 못했다.원래 시민사회는 '모든' 시민과 민중이 정치와 경제의 주체로서 이에 참여하고 견제하고 비판하는 것이지만,이것이 일시에 가능한 것은 아니니까 시민사회(단체)를 통해 시민의 의사를 대변하는 것이다.물론 정당이 있고 언론이 있지만 이들이 시민의 의사를 반영해 주지도 않을뿐더러 의사를 왜곡하고 공익을 해치기도 하기에 시민이 직접 조직적으로 나서는 것이 한국적 맥락에서의 시민사회(단체)다. 시민사회의 힘이 강화되면 국가와 자본,언론을 견제하고 통제할 수 있다.주권재민을 실현하는 진정한 시민권력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2. “What is civil society?”. Centre for Civil Society, London School of Economics. 2004년 3월 1일. 2006년 10월 30일에 확인함. .그러나 이는 민주주의가 사회전반적으로 발달한 서구에서나 합당한 해석이고 한국처럼 어느곳 하나 민주화가 제대로 안된 상태에서는 이렇게 해석하는 것은 문제가 많다.자본과 권력으로부터 독립해서 사회적 약자와 공공의 이익을 대변,활동하는 모든 시민단체는 시민사회로 규정할 수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