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달을(를) 삭제함, 분류:달의 위상을(를) 추가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그믐'''({{llang|en|the end of the month}})은 음달의 마지막 날인 '''음력 30일'''을 뜻한다.
'''그믐'''({{llang|en|the end of the month}})은 음달의 마지막 날인 '''음력 30일'''을 뜻한다.
'''그믐달'''({{llang|en|old(dark) moon}})은 초승달의 반대로써 가장 작아진 달을 말한다. 그믐달은 '''음력 27일~28일'''을 대개 그믐달이라고 말하는데, 하현달처럼 하루를 넘기지만 한밤중을 더 지나 새벽녘에 되서야 나오므로 일찍 일어나야만 볼 수 있는 달이므로 관측이 힘들뿐 아니라 그렇게 잠시 새벽에 동쪽하늘에 보였다가 해가 뜨면 곧 여명 속으로 사라져 보이지 않으므로 관측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 그래서 아직까지도 그믐달의 관측기록이 되어있지 않는 대신 그믐달은 이론적으로선 오후에 진다고 되어있다. 그리고 음력 28일 이후인 음력 29일부터는 달이 보이지 않는 시기가 되는데 바로 이 때부터 그믐이 시작되는 것이고 음력 30일까지 이어지다가, 다시 음력 1일로 돌아가서 '''신월'''이 된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음력 12월 30일]]의 그믐을 '''섣달그믐'''이라고 하여 [[설날]]을 맞이하기 위한 세시풍속이 있다. 또 '[[그믐달 (소설)|그믐달]]' 이라는 소설도 있다.
'''그믐달'''({{llang|en|old(dark) moon}})은 초승달의 반대로써 가장 작아진 달을 말한다. 그믐달은 '''음력 27일~28일'''을 대개 그믐달이라고 말하는데, 하현달처럼 하루를 넘기지만 한밤중을 더 지나 새벽녘에 되서야 나오므로 일찍 일어나야만 볼 수 있는 달이므로 관측이 힘들뿐 아니라 그렇게 잠시 새벽에 동쪽하늘에 보였다가 해가 뜨면 곧 여명 속으로 사라져 보이지 않으므로 관측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 그래서 아직까지도 그믐달의 관측기록이 되어있지 않는 대신 그믐달은 이론적으로선 오후에 진다고 되어있다. 그리고 음력 28일 이후인 음력 29일부터는 달이 보이지 않는 시기가 되는데 바로 이 때부터 그믐이 시작되는 것이고 음력 30일까지 이어지다가, 다시 음력 1일로 돌아가서 '''신월'''이 된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음력 12월 30일]]의 그믐을 '''섣달그믐'''이라고 하여 [[설날]]을 맞이하기 위한 세시풍속이 있다. 또 '[[그믐달 (소설)|그믐달]]' 이라는 소설도 있다.




== 함께 보기 ==
== 함께 보기 ==
* [[달]]
* [[달]]
* [[달의 위상]]
* [[달의 위상]]

== 바깥 고리 ==
* [http://svs.gsfc.nasa.gov/cgi-bin/details.cgi?aid=4236 2015년 날짜별 달의 변화] (단, 시각은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 기준임)


[[분류:달의 위상]]
[[분류:달의 위상]]

2015년 3월 7일 (토) 15:09 판

그믐(영어: the end of the month)은 음달의 마지막 날인 음력 30일을 뜻한다. 그믐달(영어: old(dark) moon)은 초승달의 반대로써 가장 작아진 달을 말한다. 그믐달은 음력 27일~28일을 대개 그믐달이라고 말하는데, 하현달처럼 하루를 넘기지만 한밤중을 더 지나 새벽녘에 되서야 나오므로 일찍 일어나야만 볼 수 있는 달이므로 관측이 힘들뿐 아니라 그렇게 잠시 새벽에 동쪽하늘에 보였다가 해가 뜨면 곧 여명 속으로 사라져 보이지 않으므로 관측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 그래서 아직까지도 그믐달의 관측기록이 되어있지 않는 대신 그믐달은 이론적으로선 오후에 진다고 되어있다. 그리고 음력 28일 이후인 음력 29일부터는 달이 보이지 않는 시기가 되는데 바로 이 때부터 그믐이 시작되는 것이고 음력 30일까지 이어지다가, 다시 음력 1일로 돌아가서 신월이 된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음력 12월 30일의 그믐을 섣달그믐이라고 하여 설날을 맞이하기 위한 세시풍속이 있다. 또 '그믐달' 이라는 소설도 있다.

함께 보기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