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리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Taeckriji in museum.jpg|thumb|400px]]
《'''택리지'''》(擇里志)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중환]]이 [[1751년]]([[조선 영조|영조]] 27년)<ref name="yoksa"> [http://yoksa.aks.ac.kr/jsp/cc/View.jsp?cc10id=C0000646&keywords=%E6%93%87%E9%87%8C%E5%BF%97%20%ED%83%9D%EB%A6%AC%EC%A7%80 한국역사정보 통합시스템] </ref>에 저술한 인문 지리서이다. 팔역지(八域誌) · 팔역가거지(八域可居地) · 동국산수록(東國山水錄) · 동국총화록(東國總貨錄) · 형가승람(形家勝覽) · 팔도비밀지지(八道秘密地誌) 등 여러 이름으로 전해 오고 있다.<ref name="yoksa" /> 어떤 지리적 요건을 갖춘 곳이 살기에 좋은 곳인지를 실학적 입장에서 저술하였다.
《'''택리지'''》(擇里志)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중환]]이 [[1751년]]([[조선 영조|영조]] 27년)<ref name="yoksa"> [http://yoksa.aks.ac.kr/jsp/cc/View.jsp?cc10id=C0000646&keywords=%E6%93%87%E9%87%8C%E5%BF%97%20%ED%83%9D%EB%A6%AC%EC%A7%80 한국역사정보 통합시스템] </ref>에 저술한 인문 지리서이다. 팔역지(八域誌) · 팔역가거지(八域可居地) · 동국산수록(東國山水錄) · 동국총화록(東國總貨錄) · 형가승람(形家勝覽) · 팔도비밀지지(八道秘密地誌) 등 여러 이름으로 전해 오고 있다.<ref name="yoksa" /> 어떤 지리적 요건을 갖춘 곳이 살기에 좋은 곳인지를 실학적 입장에서 저술하였다.


7번째 줄: 8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 자료 ==
{{글로벌세계대백과}} <!-- 〈실학의 융성〉 -->
* {{글로벌세계대백과}} <!-- 〈실학의 융성〉 -->


[[분류:조선의 책]]
[[분류:조선의 책]]

2013년 8월 24일 (토) 17:00 판

택리지》(擇里志)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중환1751년(영조 27년)[1]에 저술한 인문 지리서이다. 팔역지(八域誌) · 팔역가거지(八域可居地) · 동국산수록(東國山水錄) · 동국총화록(東國總貨錄) · 형가승람(形家勝覽) · 팔도비밀지지(八道秘密地誌) 등 여러 이름으로 전해 오고 있다.[1] 어떤 지리적 요건을 갖춘 곳이 살기에 좋은 곳인지를 실학적 입장에서 저술하였다.

내용

이 책은 사민총론(四民總論), 팔도총론(八道總論), 복거총론(卜居總論 : 地理·生利·人心·山水), 총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팔도총론〉에는 조선 전토를 팔도로 나누어 그 지방의 지역성을 출신 인물과 결부시켜 밝혔고, 〈복거총론〉에는 살 만한 곳을 입지조건을 들어 설명하였다. 전자는 지방지지(地方地誌)에, 후자는 인문 지리적 총설에 해당한다. 전반에서는 특히 사람자연환경과의 관계를 중시한 지인상관론(地人相關論)을 설파했으며, 후자에서는 사람이 살 만한 곳으로 다음과 같은 입지조건을 들고 있다. 첫째 지리적 조건을 들었으며, 둘째 생리(生利)를 들었다. 셋째로는 인심을 들었으며, 넷째로 산수의 경치가 좋은 것을 들었다. 끝에 가서 해거(海居)·강거(江居)·계거(溪居)의 세 곳을 비교하여 말하였다.

주석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