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타케다의 자장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타케다의 자장가(일본어: 竹田 (たけだ)子守唄 (こもりうた) 타케다노 코모리우타[*])는 일본 교토부의 민요 및 이를 바탕으로 한 대중음악 가곡이다. 붉은 새를 비롯한 포크, 록 가수들이 많이 연주했다.

그 유래는 피차별부락에서 전승되던 노래로, 제목은 "자장가"라고 되어 있지만 실체는 아동노동요에 가깝다. 가사도 부락민 출신으로 식모가 되어 주인댁 아기를 돌보느라 학교에 가지도 놀지도 못하는 10세 전후의 소녀의 심정을 한탄한 것이다.[1]

노래의 유래와 확산의 곡절

[편집]

1964년 12월[2][3] 또는 1965년 1월, 동경에술좌가 공연한 노연(労演)주최 무대 작품으로 스미이 스에의 『다리 없는 강』을 공연했다. 이 때 오노에 카츠히코가 오오이즈미 카즈토(多泉和人)라는 필명으로 음악을 맡아 주제에 맞는 곡을 사용하려 했다.[4] 그러나 오노에는 자신이 부락차별문제를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했고, 하여 일전에 다른 일로 방문한 적이 있던 교토시 후시미구 타케다지구(피차별부락 중 하나)에 소재한 부락해방동맹 합창단 “맨발의 아이”(はだしの子)를 찾아가 한 합창단원의 모친에게 구전받은 노래를 편곡해 사용한 것이 이 곡이다.[5][6] 오노에가 노래를 채록한 곳이 우연히 타케다지구였기에 「타케다의 자장가」로 알려졌으나, 원래 제목도[7] 악보도 없는 노래였다. 편곡 후반에 「런던데리의 노래」 같은 풍부한 음의 확산을 가한 4분의 2박자를 썼는데, 곡을 발표한 후 관서지방의 여러 연구자가 “이 노래는 내가 채보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에 오노에는 자신에게 노래를 들려준 여성은 그 후 다른 사람 앞에 나선 적이 없으며, 그녀가 들려준 원곡은 발표한 것보다 템포가 빠른 16분음표라고 부정했다.[8]

이것이 합창단의 레파토리가 되면서 포크음악 가수들에게 퍼져나갔고, 그 중 한 사람이 붉은 새고토 에츠지로였다.[9] 고토는 관서포크계의 정례콘서트 “오사카 노음예회(大阪労音例会)”에서 오오츠카 타카히코타카다 쿄코가 듀엣으로 가창하는 것을 들으면서 이 노래를 처음 알고 감명을 받았다.[10] 고토는 당시 푸츠에밀(フーツエミール)이라는 악단의 리더였는데, 레퍼토리가 영어곡 뿐인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고, 이 곡을 접한 것을 계기로 푸츠에밀을 해산하고[10] 붉은새를 결성하기에 이르렀다.[11] 붉은새 결성 당시에는 가진 곡이 "Go with Me to That Land"밖에 없었으나, 고토가 「타케다의 자장가」에 진심으로 힘을 주면서 데뷔작으로 싱글레코드를 발매, 결성 7개월 후인 1969년 11월에는 제3회 야마하 라이트 뮤직 콘테스트에서 그랑프리를 장식했다.[11]

포크가수들에게 확산되기 전에 이 노래를 가창하던 합창단 “보리(麦)”에서는 이 노래가 피차별부락의 노래라고 소개했지만, 포크계에 확산될 당시에는 이런 곡절이 알려지지 않았다.[12] 이 노래를 널리 퍼뜨린 붉은새도 처음에는 노래의 유래와 의미를 이해하지 못했고, 제목의 지명도 오이타현 타케다시라고 착각했다.[13] 붉은 새가 이 노래를 부를 때마다 “타케다”가 어디인지 물어도 알지 못해 얼버무려 왔기에, 고토는 고교동창 하시모토 마사키와 함께 1971년 4월부터 노래의 발상지를 찾기 시작했다. 가사에 “눈(雪)”이 있기에 오이타현 타케다시가 기각되고, “잘도 울어”에서 “잘도”를 “よう”로 말하는 것을 보고 관서 방언으로 추측해 교토시 후시미구나 효고현 히카미군 이치시마정 타케다 등지로 추측했다.[14]

탐색이 시작된 지 2개월만에 한 여성에게서 가사의 “재소(在所)”가 교토에서 미해방부락을 가리킨다는 제보를 받았다. 하시모토는 이 제보에 “큰 쐐기가 박힌 것처럼 언동이 멈췄다”고 회고했다. 이후 1970년 출판된 『교토의 민요』(음악지우사)에 이 노래가 교토시 후시미구 타케다의 노래라고 명기된 것을 확인하고 확신하게 되었다.[15] 하시모토의 탐사 결과를 알게 된 고토는 원곡에서 발굴한 “구세의 무밥, 길상의 나물밥, 그리고 타케다의 비빔밥”이라는 가사를 넣어 부르기로 하고, 1971년 9월 마이니치방송의 심야프로에서 처음으로 가창했다. 이후 1971년 12월 발매된 앨범 『스튜디오 라이브』에서 “쿠세의 무밥…”가사를 넣은 버전을 처음으로 수록했다.[16]

1971년 2월 5일 싱글컷으로 발매, A면에 「타케다의 자장가」, B면에 「날개를 주소서」를 수록해 이후 3년간 밀리언셀러가 되었다. 하지만 가사의 내용으로부터 이것이 피차별부락과 관련된 악곡임을 알아차린 방송국에서 자율규제를 가했다.[17][18][19] 당시 인기가 높았던 붉은새도 구체적인 이유를 듣지 못하고 방송국으로부터 “가창곡에서 빼달라”는 요청을 여러 차례 받았다.[20] 음반회사들도 동요하면서 채보자가 편곡 저작권을 주장한 문제를 핑계로 녹음을 피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오랫동안 사실상 방송금지곡이 되어 들을 기회가 감소했다.[21]

가사

[편집]

널리 알려진 버전

[편집]
가사 발음 해석

守りもいやがる 盆から先にゃ
雪もちらつくし 子も泣くし

盆がきたとて なにうれしかろ
帷子はなし 帯はなし

この子よう泣く 守りをばいじる
守りも一日 やせるやら

はよもいきたや この在所越えて
むこうに見えるは 親のうち

모리모 이야가루 본카라 사키냐
유키모 치라츠쿠시 코모 나쿠시

본가 키타토테 나니우레 시카로
카타비라와 나시 오비와 나시

코노코 요오나쿠 모리오 바이지루
모리모 이치니치 야세루 야라

하요모 이키타야 코노자이쇼 코에테
무코오니 미에루와 오야노 우치

애보기도 옛날에는 백중날엔 쉬었는데 (이제는 그것도 없다)
(백중날이 지나가면 가을이 지나가니까), 눈이 내리고, 추워지니 애가 운다.

백중날이 돌아와도, 무엇이 기쁠까.
예쁘게 차려입을 오비도 없는데.

이 애는 잘도 울어, 식모를 괴롭힌다.
(주인댁 내외에게 야단맞을까 걱정되어) 식모는 하루하루 여위어 간다.

빨리 (식모살이를) 마치고 떠나고 싶다. 저쪽 너머 재소에
보이는 것이 우리 부모님 집인데 (갈 수가 없다).

원곡 버전

[편집]
가사[22] 발음 해석

この子よう泣く 守りをばいじる
守りも一日 やせるやら
どしたいこりゃ きこえたか

ねんねしてくれ 背中の上で
守りも楽なし 子も楽な
どうしたいこりゃ きこえたか

ねんねしてくれ おやすみなされ
親の御飯が すむまでは
どうしたいこりゃ きこえたか

ないてくれよな 背中の上で
守りがどんなと 思われる
どうしたいこりゃ きこえたか

この子ようなく 守りしょというたか
泣かぬ子でさえ 守りやいやや
どうしたいこりゃ きこえたか

寺の坊さん 根性が悪い
守り子いなして 門しめる
どうしたいこりゃ きこえたか

守りが憎いとて 破れ傘きせて
かわいがる子に 雨やかかる
どうしたいこりゃ きこえたか

来いよ来いよと こま物売りに
来たら見もする 買いもする
どうしたいこりゃ きこえたか

久世の大根めし 吉祥の菜めし
またも竹田の もんば飯
どうしたいこりゃ きこえたか

足が冷たい 足袋買うておくれ
お父さん帰ったら 買うてはかす
どうしたいこりゃ きこえたか

カラス鳴く声 わしゃ気にかかる
お父さん病気で 寝てござる
どうしたいこりゃ きこえたか

盆が来たかて 正月が来たて
難儀な親もちゃ うれしない
どうしたいこりゃ きこえたか

見ても見飽きぬ お月とお日と
立てた鏡と わが親と
どうしたいこりゃ きこえたか

早よもいにたい あの在所こえて
向こうに見えるは 親のうち
どうしたいこりゃ きこえたか

코노코 요오나쿠 모리오 바이지루
모리모 이치니치 야세루야라
도시타이 코랴 키코에타카

넨네시케쿠레 세나카노 우에데
모리모 라쿠나시 코모 라쿠나
도오시타이 코랴 키코에타카

넨네시테쿠레 오야스미나사레
오야노 고한가 스무마데와
도오시타이 코랴 키코에타카

나이테쿠레요나 세나카노 우에데
모리가 돈나토 오모와레루
도오시타이 코랴 키코에타카

코노코 오오나쿠 모리쇼토이우타카
나카누 코데사에 모리야 이야야
도오시타이 코랴 키코에타카

테라노 보우상 콘조오가 와루이
모리코 이나시테 몬 시메루
도오시타이 코랴 키코에타카

모리가 니쿠이토테 야부레 카사 키세테
카와이가루 코니 아메야 카카루
도오시타이 코랴 키코에타카

코이요 코이요토 코마 모노우리니
키타라 미모스루 카이모스루
도오시타이 코랴 키코에타카

쿠세노 다이콘메시 킫쵸노 나메시
마타모 타케다노 몬바메시
도오시타이 코랴 키코에타카

아시가 츠메타이 타비 코오테오쿠레
오토오상 카엗타라 코오테 하카스
도오시타이 코랴 키코에타카

카라스 나쿠 코에 와샤게니 카카루
오토오상 뵤오키데 네테고자루
도오시타이 코랴 키코에타카

본가 키타카테 쇼오가츠카 기타테
난기나 오야모챠 우레시나이
도오시타이 코랴 키코에타카

미테모 미아키누 오츠키토 오히토
타테타 카가미토 와가 오야토
도오시타이 코랴 키코에타카

하요모 이니타이 아노 자이쇼 코에테
무코오니 미에루와 오야노 우치
도오시타이 코랴 키코에타카

각주

[편집]
  1. 森 2003, 196쪽.
  2. 右田 1978, 225쪽.
  3. 人権と部落問題 2010, 27쪽.
  4. 藤田 2003, 7、9쪽.
  5. 藤田 2003, 12쪽.
  6. 藤田正 (2000년 5월 10일). “竹田の子守唄 被差別部落の伝承歌とヒット・ソングの間”. 《部落解放 469号》 (解放出版社): p.99. 
  7. 森 2003, 200–201쪽.
  8. 藤田 2003, 15–16쪽.
  9. 森 2003, 184쪽.
  10. 藤田 2003, 19–20쪽.
  11. 藤田 2003, 21쪽.
  12. 藤田 2003, 29쪽.
  13. 森 2003, 178쪽.
  14. 藤田 2003, 30–31쪽.
  15. 藤田 2003, 32–33쪽.
  16. 藤田 2003, 37쪽.
  17. “放送「封印」の背景探る なぜ消えた?名曲「竹田の子守唄」”. 《朝日新聞・大阪朝刊》. 2003년 3월 4일. 25면.  - 聞蔵iiビジュアルにて閲覧
  18. 森 2003, 187–188쪽
  19. 森 2003, 190쪽.
  20. “二つの「竹田の子守唄」とメッセージ・ソング(4)”. Beats21. 2001년 3월 28일. 2019년 9월 15일에 확인함. 
  21. 藤田正 (1999년 5월 10일). “東京音楽通信 普通に聴けるようになった「竹田の子守唄」”. 《部落解放 453号》 (解放出版社): pp.54–55. 
  22. 森達也『放送禁止歌』光文社知恵の森文庫、2003年 198-199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