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의 티베트 원정
청나라의 티베트 원정[1]은, 청 왕조가 티베트에서 준가르 칸국의 세력을 추방하고 현지에 중국 보호령을 세우기 위해 행한 군사 원정이다. 이때 청의 군대가 라싸(ལྷ་ས་གྲོང་ཁྱེར།)를 점령했으며, 그것은 1912년 청 왕조가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던 청나라의 티베트 지배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역사
[편집]코슈트의 왕공 구시 칸은 위창의 왕공을 쓰러뜨리고 1642년에 티베트 고원에 코슈트 칸국을 세웠다. 겔룩파 티베트 불교의 주된 후원자로서 그는 같은 해에 간덴 포드랑으로 알려진 정권을 세운[2] 제5대 달라이 라마를 티베트에서 가장 높은 정신적, 정치적 권위자로 추대하였다. 체왕 랍탄의 준가르 칸국은 1717년에 티베트를 침공하고 코슈트 칸국의 마지막 통치자였던 라 브장 칸의 달라이 라마 지위를 참칭한 예셰갸초를 해임하고 라 브장 칸과 그의 가족 전체를 죽였다. 그들은 또한 1718년에 청나라의 강희제가 전통적인 무역로를 개척하기 위해 보낸 소규모 부대를 살윈 강 전투에서 격파한다.[3] 이에 맞서 강희제가 보낸 원정대는 위창의 폴라나스와 서부 티베트의 지배자 캉체나스(겐지니라고도 함)가 지휘하는 티베트 군대와 함께[4][5] 1720년에 티베트에서 준가르를 추방하는 데 일조하였다.
그러나 코슈트와 준가르를 티베트에서 몰아낸 청은 새로이 제7대 달라이 라마로 당시 명망이 높던 켈장 갸초를 세우고 3,000명의 수비대를 라싸에 남겨 두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청은 그들 스스로를 티베트의 지배자로 간주하게 되었고[6] 티베트는 만주족의 보호령이 되었다.[7] 청은 5대 달라이 라마 통치 이후 라사에 존재하고 있던 현지인 정부를 없애고 1721년 카샤그로 알려진 티베트 의회를 만들었다. 이 의회는 라싸에 주둔하고 있던 청의 수비대 사령관의 긴밀한 감독 아래 티베트를 통치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특히 청의 이익과 관련된 문제에서 으레 카샤그의 결정을 방해하곤 하였다.[8] Khangchenné는 청의 지배 아래서 카샤그를 이끄는 최초의 통치자가 될 것이었다. 이것은 1912년 청 왕조가 무너질 때까지 지속된 청의 티베트 지배기의 시작이었다.
라싸뿐 아니라 바탕(འབའ་ཐང་), Dartsendo, 자리(ལྷ་རི་རྫོང་།), 창두(ཆབ་མདོ་གྲོང་ཁྱེར།) 및 리탕(ལི་ཐང་རྫོང་།)과 같은 여러 장소에, 청의 준가르 원정 기간 동안 청의 군사들이 배치되었고[9] 녹영과 팔기 모두 준가르와의 전쟁 당시 티베트 지역에서 싸운 청군의 일부였다.[10] 사천 지역의 사령관 악종기(악비의 후손)가 라싸에 처음 입성한 것은 사천로의 2000명의 녹영군과 1,000명의 팔기가 라싸를 점령했을 때였다고 한다.[11] 마크 C. 엘리엇(Mark C. Elliott)에 따르면, 1728년 이후 청 왕조는 티베트에 주둔하는 병력으로써 팔기군이 아닌 녹영을 배치하였다.[12] 에벌린 로스키(Evelyn S. Rawski)에 따르면 녹영과 팔기가 공동으로 티벳에서 청 왕조의 주둔 수비대를 구성하고 있었다.[13] 사빈 다빙하우스(Sabine Dabringhaus)에 따르면, 1,300명이 넘는 녹영 소속 한족 군인들이 청 왕조에 의해 티베트에 배치되었으며, 이는 3,000명의 강력한 티베트 군대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14]
같이 보기
[편집]- 청나라의 티베트 지배
- 내륙 아시아에서의 청나라
- 청나라-준가르 전쟁
- 몽골의 티베트 정복
- 살윈 강 전투
- 중국의 티베트 원정 (1910년)
- 영국의 티베트 원정대
각주
[편집]- ↑ China Marches West: The Qing Conquest of Central Eurasia, by Peter C Perdue, p623
- ↑ René Grousset, The empire of the Steppes, New Brunswick 1970, p. 522
- ↑ Mullin 2001, p. 288
- ↑ Mullin 2001, p. 290
- ↑ Smith, Warren W., Jr., Tibetan Nation: A History Of Tibetan Nationalism And Sino-Tibetan Relations, Westview Press, 1997, ISBN 978-0-8133-3280-2 p. 125
- ↑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by Spencer C. Tucker, p726
- ↑ A time-line of Tibet
- ↑ China's Tibet Policy, by Dawa Norbu, p76
- ↑ Xiuyu Wang (2011년 11월 28일). 《China's Last Imperial Frontier: Late Qing Expansion in Sichuan's Tibetan Borderlands》. Lexington Books. 30–쪽. ISBN 978-0-7391-6810-3.
- ↑ Yingcong Dai (2009). 《The Sichuan Frontier and Tibet: Imperial Strategy in the Early Qing》.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81–쪽. ISBN 978-0-295-98952-5.
- ↑ Yingcong Dai (2009). 《The Sichuan Frontier and Tibet: Imperial Strategy in the Early Qing》.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81–82쪽. ISBN 978-0-295-98952-5.
- ↑ Mark C. Elliott (2001).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412–쪽. ISBN 978-0-8047-4684-7.
- ↑ Evelyn S. Rawski (1998년 11월 15일). 《The Last Emperors: A Social History of Qing Imperial Institu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1–쪽. ISBN 978-0-520-92679-0.
- ↑ 《The Centre and the Provinces: Agents and Interactions》. BRILL. 2014년 4월 17일. 123–쪽. ISBN 978-90-04-272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