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레이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말레이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설립일 1974년
해산일 2021년 3월 21일
관할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소재지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55000, 타만우탄트 프르시아란 매지 4번지
4, Persiaran Madge, Taman U Thant, 55000 Kuala Lumpur, Wilayah Persekutuan Kuala Lumpur
상급기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주말레이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문화어: 말레이시아 주재 조선 대사관, 말레이어: Kedutaan Republik Demokratik Rakyat Korea di Malaysia)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설치했던 대사관이다. 1974년에 개관했으나 2021년 3월 21일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말레이시아 간의 외교 관계가 단절됨에 따라 폐쇄되었다.

역사[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73년 6월 30일에 말레이시아와의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며[1] 1974년에 주말레이시아 대사관을 개설했다.[2] 1975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태국과 수교하면서 태국 관련 업무도 한동안 주말레이시아 대사관에서 겸임했으나 1991년에 주태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이 개설되면서 폐지되었다.[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개발도상국들과의 연대를 강화하기 위하여 말레이시아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2017년 2월 13일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지도자인 김정은의 이복형인 김정남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적자들의 공작으로 인하여 신경독VX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말레이시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외교 관계가 악화되었다.[4] 2017년 3월 4일에는 말레이시아 정부가 강철 주말레이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를 기피 인물로 지정하고 추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5] 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2017년 3월 5일에 모하맛 니잔 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말레이시아 대사를 추방시키는 한편 대사관 직원들과 가족들을 인질로 잡고 출국을 금지하면서 맞대응했다.[6] 또한 2017년 9월 28일에는 말레이시아 정부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와 관련된 한반도의 정세 불안을 이유로 자국민들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방문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 이처럼 말레이시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모두 후임 대사의 파견을 거부하면서 양국 간의 외교 공관은 사실상 폐쇄되었다.[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8년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말레이시아와의 외교 관계 정상화를 추진했다. 하지만 2020년에 아시아에서 일어난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이러한 계획은 흐지부지되었다. 설상가상으로 말레이시아 당국은 2019년 5월 14일에 미국 정부의 요청을 받고 싱가포르 등에서 활동하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출신의 사업가인 문철명을 불법 자금 세탁, 사치품 수출을 통해 유엔과 미국의 대북한 제재를 위반한 혐의로 체포했다.[8] 2019년 12월 13일에는 말레이시아 고등법원이 문철명을 미국으로 송환하는 결정을 승인했으며[8] 2021년 3월 17일에는 말레이시아 연방법원이 이러한 결정을 최종 확정했다.[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은 2021년 3월 19일에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공식 성명을 통해 "말레이시아 정부가 미국의 대조선(북한) 적대 정책에 동조하여 무고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민을 범죄자로 매도하고 강압적으로 미국에 인도하는 용납할 수 없는 범죄 행위를 자행했다."며 말레이시아와의 외교 관계 단절을 선언했다.[10] 말레이시아 외무부는 공식 성명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의 결정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시한다고 밝히면서 주말레이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측에 48시간 이내에 철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또한 평양에 있던 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말레이시아 대사관도 48시간 이내에 철수한다는 명령을 내렸다.[11] 2021년 3월 21일에는 주말레이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에서 근무했던 외교관들이 철수했다.[12][1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alaysia - Histor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alaysia》. 2011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6일에 확인함. 
  2. “DPRK Diplomatic Relations”. 《The National Committee on North Korea》. 2014년 1월 24일에 확인함. 
  3. “북한(北韓), 태국(泰國)에 상주대사관 개설”. 연합뉴스. 1991년 4월 9일. 
  4. “Malaysia expels North Korea ambassador over Kim murder”. 《Agence France-Presse》. New Vision. 2017년 3월 5일. 2019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5일에 확인함. 
  5. “말레이 강철 대사 추방.. 다음단계는 단교?”. 한국일보. 2017년 3월 5일. 
  6. “北, 말레이 대사 '맞추방' 결정…양국 극한 외교대립”. 연합뉴스. 2017년 3월 6일. 
  7. “북한 인질외교에 '질린' 말레이 "평양에 대사 파견 않겠다"(종합)”. 연합뉴스. 2017년 10월 13일. 
  8. “말레이 법원, 북한인 사업가 문철명씨 미국 인도 승인”. 연합뉴스. 2019년 12월 13일. 
  9. “[탐정손수호]겨우 17억에 국교 단절? 北 문철명 누구길래?”. 노컷뉴스. 2021년 3월 25일. 
  10. “북한, '제재위반' 주민 美송환 반발…"말레이와 외교관계 단절"(종합)”. 연합뉴스. 2021년 3월 25일. 
  11. “MALAYSIA DEEPLY REGRETS THE DPRK'S DECISION TO SEVER TIES 19 MARCH 2021”. 《Malaysi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1년 3월 19일. 2021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9일에 확인함. 
  12. “N. Korean diplomats leaving Malaysia after ties are severed”. AP. 2021년 3월 21일. 
  13. “주말레이시아 북한 대사관 인공기 내려…철수 시한 다가와”. 연합뉴스. 2021년 3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