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자비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 자비눌
Joe Zawinul
조 자비눌 (2007년)
기본 정보
본명요제프 에리히 자비눌
(Josef Erich Zawinul)
출생1932년 7월 7일
오스트리아
사망2007년 9월 11일(2007-09-11)(75세)
오스트리아
성별남성
국적오스트리아
직업음악가
장르재즈, 재즈 퓨전, 월드 뮤직
활동 시기1949년 ~ 2007년
악기키보드
레이블컬럼비아, ESC
관련 활동캐넌볼 애덜리, 냇 애덜리, 마일스 데이비스, 웨더 리포트, 자비눌 신디케이트

조 자비눌(Joe Zawinul, 1932년 7월 7일 ~ 2007년 9월 11일)은 오스트리아재즈 키보디스트이자 작곡가이다.[1] 색소폰 연주자 캐넌볼 애덜리와 함께 처음으로 유명해진 자비눌은 마일스 데이비스와 함께 연주하기 시작했고 재즈와 록을 결합한 음악 장르인 재즈 퓨전의 창시자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는 웨더 리포트자비눌 신디케이트 그룹을 공동 설립했다. 그는 일렉트릭 피아노신시사이저의 사용을 개척했고, 《다운 비트》 매거진의 독자들에 의해 "최고의 일렉트릭 키보디스트"로 28번이나 선정되었다.[2]

생애[편집]

초기 생애 및 경력[편집]

자비눌은 오스트리아에서 자랐다. 아코디언은 그의 첫 악기였다. 그가 6살이나 7살이었을 때, 그는 빈 음악원에서 클라리넷, 바이올린, 피아노를 공부했다.[3] 1950년대에 그는 폴리도르의 스텝 피아니스트였다. 그는 한스 콜러, 프리드리히 굴다, 칼 드류, 패티 조지와 함께 재즈 음악가로 일했다.[4] 1959년 버클리 음대에 입학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으나, 일주일 후 메이너드 퍼거슨으로부터 취업 제의를 받고 학교를 떠나 투어에 나섰다.[3] 그리고 나서 그는 디나 워싱턴과 동행했다.[5] 그는 1960년대의 대부분을 캐넌볼 애덜리와 함께 보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Mercy, Mercy, Mercy〉와 〈Walk Tall〉을 썼고 〈Country Preacher〉를 작곡하고 일렉트릭 피아노를 연주했다. 10년의 말기에 그는 마일스 데이비스와 함께 《In a Silent Way》를 녹음했다. 데이비스는 재즈와 록을 결합한 재즈 퓨전의 장르를 확립하고 있었다.[1]

웨더 리포트[편집]

1970년 자비눌은 웨인 쇼터와 함께 웨더 리포트를 결성했다.[4] 그들의 첫 2년은 마일스 데이비스가 보다 록 지향적인 형식으로 하고 있는 것과 유사한 비교적 개방적이고 집단적인 즉흥 연주 형식을 강조했다. 하지만 자비눌은 그들의 세 번째 음반인 《Sweetnighter》로 변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베이스 기타와 와와 페달 같은 펑크 요소들이 밴드의 사운드에 도입되기 시작했다. 네 번째 음반인 《Mysterious Traveler》와 함께, 음악 형식은 클래식 음악과 유사하게 구성되었고, 재즈 하모니와 1970년대 그루브의 결합은 밴드를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적인 시기로 옮기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 밴드의 가장 큰 상업적 성공은 자비눌의 1977년 음반 《Heavy Weather》의 작곡 〈Birdland〉에서 나왔으며, 이 곡은 《빌보드》 팝 음반 차트에서 30위에 정점을 찍었다. 〈Birdland〉는 1970년대 가장 인지도가 높은 재즈곡 중 하나로, 맨해튼 트랜스포트, 퀸시 존스, 메이너드 퍼거슨, 버디 리치 등이 녹음했다. 그 노래는 그에게 3개의 그래미 어워드를 안겨주었다.

웨더 리포트는 1980년대 중반까지 활동했으며, 자비눌과 쇼터는 여러 명의 인원 이동을 통해 유일한 상시 멤버로 남아있었다. 쇼터와 자비눌은 《Sportin' Life》를 녹음한 후 다른 길을 갔으나 CBS 레코드와의 계약을 이행하기 위해 한 장의 음반을 더 해야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This Is This!》는 따라서 밴드의 마지막 음반이 되었다.

1991년, 자비눌은 버클리 음대에서 명예 음악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 행사에서 맷 게리슨, 토스텐 드 윈켈, 아베 라보니엘 주니어, 멜빈 버틀러로 구성된 그룹과 함께 공연했다.[6]

사망[편집]

자비눌은 2007년 8월 7일[7], 5주간의 유럽 투어를 마친 후, 병이 들어 고향인 빈에 입원했다. 그는 2007년 9월 11일 피부암(메르켈 세포 암종)의 희귀한 형태로 한 달 후에 사망하였다.[8][9] 그는 피에르할레 시머링에서 화장되었고 그의 유골은 비엔나 중앙 묘지에 묻혔다.

각주[편집]

  1. Richard S. Ginell. “Joe Zawinul”. 《AllMusic》. 2018년 2월 7일에 확인함. 
  2. [1] 보관됨 11 2월 2010 - 웨이백 머신
  3. Walters, John L. (2007년 9월 13일). “Obituary: Joe Zawinul”. 《The Guardian》. 2019년 1월 23일에 확인함. 
  4. Kernfeld, Barry (2002). Kernfeld, Barry, 편집. 《The New Grove Dictionary of Jazz》 3 2판. New York: Grove's Dictionaries. 1015–1016쪽. ISBN 1-56159-284-6. 
  5. 〈Zawinul, Joe〉.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v. 28》 2판. Detroit: Gale. 2008. 389.391쪽. ISBN 9780787622213. 
  6. “Joe Zawinul, 75, influential jazz keyboardist”. 《Archive.boston.com》. 2017년 12월 28일에 확인함. 
  7. Curt Bianchi (2007년 8월 7일). “Joe Zawinul Hospitalized in Vienna”. 《Zawinulonline.org》. 2016년 1월 11일에 확인함. 
  8. McDonald, Ray (2007년 9월 12일). “Keyboardist Joe Zawinul Dies”. 《VOA News》 (Voice of America). 2009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2일에 확인함. 
  9. Schudel, Matt (2007년 9월 12일). “Joe Zawinul, 75; Keyboardist Was a Pioneer of Jazz Fusion”. 《The Washington Post》. 2010년 5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