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옷
보이기
장옷 혹은 장의(長衣)는 여성들이 착용했던 쓰개의 일종으로서 부녀자의 얼굴을 가리려 했던 풍속에서 유래된 의복이다.[1] 비슷한 것이 쓰개치마인데 구분이 조금 어렵다. 혜원 신윤복이 그린 〈 장옷 입은 여인 〉과 〈 처네 쓴 여인 〉에는 얼굴 가리개의 두 종류가 명확하게 대비되어 있다. 윗저고리를 변형한 것처럼 소매가 달리고 동정까지 있는, 두루마기와 비슷한 모양의 가리개가 장옷이고, 단순히 치마를 둘러쓴 것 같은 모양이 일명 쓰개치마라고 생각하면 된다.[2]
장옷은 남자두루마기와 비슷한 모양으로, 바탕은 주로 초록색 명주, 소매 아래에는 흰색 옷감을 써 구분했으며 겨드랑이와 옷고름 및 깃도 옷감을 달리했다. 개화기가 되면서 여성들의 의복 변화 중 처음 일어난 것이 장옷과 쓰개 벗기로서 의복 개량 논의와 함께 처음에는 검정 우산을 쓰거나 양산을 써서 얼굴을 가렸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쉽게 말해 얼굴을 가리는 외투의 기능을 장옷이 했으므로 그리 무겁지 않은 소재로 만들어 얼굴을 가리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며 이는 상하층 구분 없이 모든 여성에게 적용되어 속박의 역할을 하기도 했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