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애 분노와 자기애 손상
자기애 분노 (自己愛憤怒, Narcissistic rage)는 자기애자의 자존심 혹은 자기 가치감에 위협이라고 인식되는 자기애 손상 (Narcissistic injury)에 대한 반응으로서 생기는 격렬한 분노이다. 자기애적 분노라고도 불린다. 자기애 손상은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의해서 1920년대에 이용된 용어이다[1]. 자기애적 분노라는 용어는 하인츠 코헛(Heinz Kohut)에 의해서 1972년에 만들어졌다.
자기애적 분노는, 무관심으로부터 비교적 경도의 초조함 및 당혹이라는 예로부터, 폭력적 공격을 포함한 격렬한 감정 폭발에 이르기까지의 연속체상에 생긴다[2]. 자기애적 분노는 인격 장애에 한정하지 않고, 조현병이나 편집적 망상, 또 주요 우울 장애에서도 똑같이 볼 수 있는 경우가 있다[2].
'자아중심적인 인간은, 자신의 이익이나 쾌락을 우선하므로, 그 과정에서 다른 사람을 상처 입힐 가능성이 높다'[3]. 자기중심적인 인간에게는, 다른 사람을 너무 신경쓴 나머지 공격적으로 되는 자기애자와 다른 사람의 평가가 정말로 전혀 신경이 쓰이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욕망을 타인에게 강요할 수 있는 사이코 패스의 2개의 타입이 있다. 자기애 분노는, 전자가 가지는 분노[3]. 자기애자는, 주관적 평가보다 조금이라도 낮은 평가나 푸대접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은 바로 그때 분노를 폭발시켜, 공격 행동에 결합된다[4].
공격 행동은, '다른 사람에게 위해를 주려는 의도적 행동'[5]. 공격 행동에는 2개의 포인트가 있어, '행위자 본인에게 상대를 해치려는 의도가 있을까 없을까, 피해자 본인에게 뜻에 반해 해쳐졌다고 하는 의식이 있을까 없을까'[6] '제삼자가 봐 공격하고 있다고 보일지'[7]라는 점과 위해를 주려 하고 있다[7]는 점이다 (미수인가, 완수할 수 있었는가는 관계없다)[7]. '다른 사람을 상처 입히는 행위'여도, 예를 들어 외과 수술, 격투기, 자상 행위, 새디스트-매저키스트의 관계, 무엇인가의 사고의 경우는, 각각, 상처를 더하는 측의 목적이 '피해자'의 치료로 '피해자'의 목적도 같을, 싫어하고 있는 것을 무리하게 링에 인상 당한 것은 아닌, 행위자와 피해자가 동일 인물, 행위를 받는 인물이 사태를 피하려고 없는, 가해자의 의도한 행동으로네의 것으로, 사회심리학에서 말하는 '공격 행동'이 아니다[7].
치료
[편집]아담 필립스(Adam Phillips)에 따르면, 부모가 아이를 배척한 경험과 같은 자기애성 상처를 환자가 재경험하여, 삶의 진실이라고 여겨온 상처의 막강한 힘을 차츰 소멸시켜가는 과정을 받아들이고 다시 배우는 연습이 치료라고 하였다.
각주
[편집]- ↑ Salman Akhtar, Comprehensive Dictionary of Psychoanalysis (London 2009) p. 182
- ↑ 가 나 Carl P. Malmquist (2006). 《Homicide: A Psychiatric Perspectiv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181□182쪽. ISBN 1-58562-204-4.
- ↑ 가 나 '왜 사람은 다른 사람이 신경이 쓰이는 것인가'영방전지편저금자 서점 2008년 9월 30일 ISBN 978-4-7608-3028-2 p. 111
- ↑ 영방전지(2008) pp111, 112
- ↑ 영방전지(2008) p. 109
- ↑ 영방전지 (2008) pp. 109,110
- ↑ 가 나 다 라 영방전지(2008) p. 110
같이 보기
[편집]- 모랄 해러스먼트(moral harassment)
- 오토 컨버그
- 자기애
- 자기애적 방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자기애성 인격 장애
- 하인츠 코헛
- 학대
- 히키코모리
- 자기애적 분노(Narcissistic Rage)
외부 링크
[편집]- Panos Aloupis, "Narcissistic Injury" (영어)
- Agnes Oppenheimer, "Narcissistic Rage" (영어)
- Narcissism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