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호흡
인공호흡 | |
---|---|
다른 이름 | 인공환기 Artificial ventilation Artificial respiration |
진료과 | pulmonary |
인공호흡(人工呼吸, Artificial ventilation, Artificial respiration) 또는 인공환기(人工換氣)는 인간의 호흡을 보조하거나 호흡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이다.[1][2] 호흡을 전혀 하지 않거나 호흡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에게 적용된다. 직접 숨을 불어넣거나 다양한 수기를 이용한 수동적인 방법으로 인공호흡을 시행할 수 있으며,[3] 또는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여 폐 안팎으로 공기를 강제로 이동시키는 기계환기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전신 마취를 한 상태거나 혼수 상태인 경우 자발적인 호흡이 중단되기 때문에 기계환기를 이용하게 된다.
종류
[편집]수동 환기
[편집]호흡 과정은 폐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일어나게 된다. 폐를 인공적으로 팽창시키고 수축시키는 과정을 기계의 도움없이 수동으로 시행하는 방법을 수동 환기라고 한다. 과거에는 Silvester method, Schaefer method, Holger-Nielsen method 등 환자의 가슴이나 팔을 특정한 자세나 방법으로 움직여 환자의 호흡을 돕는 방법이 시행되었으나, 현재는 환자의 폐에 입을 통하여 직접 공기를 불어 넣는 구강 대 구강 소생술(mouth-to-mouth resuscitation)이 주로 사용된다. 구강 대 구강 소생술은 다른 수동 환기 방법에 비해 더욱 효과적인 인공호흡법으로 증명되었다.[4][5] 구강 대 구강 소생술 이외에도 입-보호기구 인공호흡, 입-코 인공호흡, 입-창 인공호흡 등이 시행될 수 있다.[6]
구강 대 구강 소생술은 심폐소생술의 일부로 응급처치에 필수적인 기술이다.[7][8] 의료 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심폐소생술 과정에서 구강 대 구강 소생술을 시행할 경우 그 효과가 떨어질 수 있어 최근에는 가슴압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환자가 충분히 호흡을 하지 않는 경우 턱 들어올리기(head tilt-chin lift) 등으로 기도를 유지한 후 구강 대 구강 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다.
기계 환기
[편집]기계환기는 자발적 호흡을 기계적으로 보조하거나 대체하는 방법이다.[9] 인공호흡기를 이용하거나 백마스크나 전문 기도기(기관튜브, 콤비튜브, 후두마스크 기도기 등)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기계환기를 진행할 수 있다. 기계환기를 위해 구강 또는 피부를 통해 침투하는 기구를 신체에 적용하는 경우 "침습적" 기계환기라고 한다 (예: 기관내 삽관, 기관절개술 등).[10] 기계환기는 호흡 할 때의 가압 방식에 따라 크게 양압과 음압환기로 나눌 수 있다.
기관내 삽관이 단기적인 기계환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장기간의 기계환기를 위하여 기관절개술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응급 상황인 경우 윤상갑상연골절개술을 통하여 기계환기를 위한 호흡로를 확보할 수 있다.[1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Whittenberger, James L. (1955년 7월). “Artificial Respiration”. 《Physiological Reviews》 35 (3): 611-628. doi:10.1152/physrev.1955.35.3.611.
- ↑ Tortora, Gerard J; Derrickson, Bryan (2006). 《Principles of Anatomy and Physiology》. John Wiley & Sons Inc.
- ↑ “Artificial Respira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년 6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Artificial Respiration”. Microsoft Encarta Online Encyclopedia 2007. 2009년 10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Trubuhovich, Ronald V (2019년 1월 31일). “Resuscitation and the Origins of Intensive Care/Critical Care Medicine” (PDF). 《The University of Auckland》. 2020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2일에 확인함.
-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심폐소생협회 (2015). “2015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PDF). 《대한심폐소생협회》. 2020년 2월 2일에 확인함.
- ↑ “Decisions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odel information leafler”. British Medical Association. July 2002. 2007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Overview of CPR”.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 2007년 6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What Is a Ventilator? - NHLBI, NIH”. 《www.nhlbi.nih.gov》. 2016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Health Sciences Authority. “GN-13: Guidance on the Risk Classification of General Medical Devices, Revision 1.1” (PDF). 2014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Carley SD, Gwinnutt C, Butler J, Sammy I, Driscoll P (March 2002). “Rapid sequence induc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strategy for failure”. 《Emergency Medicine Journal》 19 (2): 109–113. doi:10.1136/emj.19.2.109. PMC 1725832. PMID 11904254. 2007년 5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e-Medicine - 기계환기 설명 (영어)
- International Ventilator Users Network (IVUN) - 가정용 기계환기 설명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