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 프랑세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카데미 프랑세즈
프랑스 학술원, 아카데미 프랑세즈 소재지
원어 명칭
Académie française
표어À l'immortalité
결성1634년 (첫 결성)
1635년 (칙허장에 의거)[1]
설립자리슐리외 추기경
목적Veiller sur la langue française et accomplir des actes de mécénat.
위치
회원회원 자신들이 선출하는 40명의 회원
공식 언어프랑스어
상급 단체프랑스 학술원
웹사이트academie-francaise.fr

아카데미 프랑세즈(프랑스어: Académie française, 영어: French Academy)는 1634년 공인되어 1635년 리슐리외 추기경이 설립한, 프랑스어를 표준화하고 다듬는 역할을 하는 프랑스의 기관이다. 아카데미 프랑세즈는 회원 자신들이 선출하는 40명의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랑스 학술원의 다섯 한림원 중 첫번째 한림원이다.

"우리 언어에 확실한 규정을 부여하고, 그것을 순수하게, 우아하게, 예술과 학문을 다룰 수 있게 만드는" 것이 바로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설립 취지이자, 1635년 1월 29일 루이 13세칙허장으로 명확해진 목적이다. 이러한 정신으로, 아카데미 프랑세즈는 1694년 초판이 나오고, 제9판이 현재 준비중인 <아카데미 프랑세즈 사전>을 편찬하였다. 아카데미 프랑세즈는 또한 여러 문학상을 수여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명망있는 상으로는 아카데미 프랑세즈 대상이 있다.

아카데미 프랑세즈에는 시인, 소설가, 극작가, 문학 비평가, 철학가, 역사가, 과학자와, 전통에 의거하여, 고위급 장교, 정치인, 고위급 종교인 등 프랑스어를 빛낸 인물들이 회원으로 있다.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이 되는데에 국적이나 자격에 관한 어떠한 제한도 없으며, 오로지 프랑스어를 빛낸 공로만을 따진다.

역사[편집]

문예 집단 모임의 기원[편집]

아카데미의 기원은 모임을 꾸리기 전부터 오텔 드 랑부예에 드나들며 문인들을 자주 만나던 칼뱅주의 신교도인 동시에 루이 13세의 조언가이던 발랑탱 콩라르의 저택, 생마르틴로(路) 135에서 1629년부터 모인 비공식 문예 집단 모임, "콩라르 서클"에서 출발한다. 이 문예 사모임(장앙투안 드 바이프와 조아섕 티보 드 쿠르빌이 1570년 샤를 9세 시절 설립한 음악 · 시 아카데미 역시 초반에는 사모임이었으나 1574년 앙리 3세 시절 왕립 아카데미가 되었다.)은 1582년 피렌체에서 설립되어 1612년 벌써 보카볼라리오Vocabolario(사전)를 편찬한 아카데미아 델라 크루스카를 본보기로, 이 모임을 왕실 소속의 문예 단체로 바꾸어 아카데미 프랑세즈를 설립한다는 장대한 목표를 꿈꾸던, 리슐리외에게 영감을 주었다.[2] 이 모임의 기록은 콩라르가 1634년 3월 13일부터 보존하였다.[3] · [4]

40명의 "임모르텔"[편집]

현 회원[편집]

의석 회원 국적 선출일 입회식
날짜 연설 회답
1 클로드 다장 (불어)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8년 4월 17일 2009년 5월 14일 [*] 플로랑스 들레 : [*]
2 다니 라페리에르 캐나다의 기 캐나다
아이티의 기 아이티
2013년 12월 12일 2015년 5월 28일 [*] 아민 말루프 : [*]
3 장드니 브르댕(불어) 프랑스의 기 프랑스 1989년 6월 15일 1990년 5월 17일

[*]

피에르 무아노 : [*]
4 장뤼크 마리옹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8년 11월 6일 2010년 1월 21일 [*] 클로드 다장 : [*]
5 안드레이 마킨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16년 3월 3일 2016년 12월 15일 [*] 도미니크 페르낭데즈 : [*]
6 마르크 퓌마롤리 프랑스의 기 프랑스 1995년 3월 2일 1996년 1월 25일

[*]

장드니 브르댕 : [*]
7 쥘 오프만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12년 3월 1일 2013년 5월 30일

[*]

이브 풀리캉 : [*]
8 다니엘 롱도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19년 6월 6일
9 파트리크 그랭빌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18년 3월 8일 2019년 2월 21일 [*] 도미니크 보나 : [*]
10 플로랑스 들레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0년 12월 14일 2001년 11월 15일

[*]

엑토르 비양시요티 : [*]
11 가브리엘 드브로이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1년 3월 22일 2002년 2월 7일

[*]

모리스 드뤼옹 : [*]
12 공석
13 마우리치오 세라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2020년 1월 9일
14 엘렌 카레르 당코스 프랑스의 기 프랑스 1990년 12월 13일 1991년 11월 28일

[*]

미셸 데옹 : [*]
15 프레데리크 비투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1년 12월 13일 2003년 3월 27일

[*]

미셸 데옹 : [*]
16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3년 12월 11일 2004년 12월 16일

[*]

장마리 루아르 : [*]
17 에리크 오르세나 프랑스의 기 프랑스 1998년 5월 28일 1999년 6월 17일

[*]

베르트랑 푸아로델베슈 : [*]
18 공석
19 장루 다바디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8년 4월 10일 2009년 3월 12일

[*]

프레데리크 비투 : [*]
20 앙젤로 리날디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1년 6월 21일 2002년 11월 21일

[*]

장프랑수아 드니오 : [*]
21 알랭 핑켈크로트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14년 4월 10일 2016년 1월 28일 [*] 피에르 노라 : [*]
22 르네 드 오발디아 프랑스의 기 프랑스 1999년 6월 24일 2000년 6월 15일

[*]

베르트랑 푸아로델베슈 : [*]
23 피에르 로장베르 프랑스의 기 프랑스 1995년 12월 7일 1996년 11월 14일

[*]

조세 카바니스 : [*]
24 공석
25 다미니크 페르낭데즈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7년 3월 8일 2007년 12월 13일 [*] 피에르장 레미 : [*]
26 장마리 루아르 프랑스의 기 프랑스 1997년 12월 18일 1998년 11월 12일

[*]

엘렌 카레르 당코스 : [*]
27 피에르 노라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1년 6월 7일 2002년 6월 6일

[*]

르네 레몽 : [*]
28 장크리스토프 뤼팽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8년 6월 19일 2009년 11월 12일 [*] 이브 풀리캉 : [*]
29 아민 말루프 프랑스의 기 프랑스
레바논의 기 레바논
2011년 6월 23일 2012년 6월 14일 [*] 장크리스토프 뤼팽 : [*]
30 다니엘 살나브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11년 4월 7일 2012년 3월 29일 [*] 도미니크 페르낭데즈 : [*]
31 마이클 에드워즈 (시인) 프랑스의 기 프랑스
영국의 기 영국
2013년 2월 21일 2014년 5월 22일 [*] 프레데리크 비투 : [*]
32 공석
33 도미니크 보나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13년 4월 18일 2014년 10월 23일

[*]

장크리스토프 뤼팽 : [*]
34 프랑수아 쳉 중국의 기 중국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2년 6월 13일 2003년 6월 19일

[*]

피에르장 레미 : [*]
35 이브 풀리캉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1년 11월 29일 2003년 1월 30일

[*]

미셸 모르트 : [*]
36 바르바라 카생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18년 5월 3일 2019년 10월 17일 [*] 장뤼크 마리옹 : [*]
37 미셸 징크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17년 12월 14일 2018년 10월 18일 [*] 마이클 에드워즈 : [*]
38 마르크 랑브롱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14년 6월 26일 2016년 4월 14일 [*] 에리크 오르세나 : [*]
39 장 클레르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8년 5월 22일 2009년 6월 18일

[*]

마르크 퓌마롤리 : [*]
40 그자비에 다르코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13년 6월 13일 2015년 2월 12일 [*] 장루 다바디 : [*]

각주[편집]

  1. Les grandes dates, sur le site de l'Académie.
  2. Einar Ingvald Haugen, Anwar S. Dil (1972). 《The Ecology of Language》 (영어). Stanford University Press. 169쪽. .
  3. Paul Pellisson-Fontanier; Pierre Joseph Thoulier d'Olivet; Charles-Louis Livet (1858). 《Histoire de l'Académie française》 1.  .
  4. Sur le site de l'Académie française, parmi les « grandes dates », on peut lire : Le garde des Sceaux, Pierre SÉGUIER, duc de Villemoze, scella les lettres patentes justifiant la constitution de l’Académie le 4 décembre 1634, huit ans jour pour jour avant le décès du Cardinal et 1634 : Naissance de l’« Académie française ». Richelieu en sera le protecteur et Valentin Conrart le premier secrétaire perpétuel.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