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은노루오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숙은노루오줌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목: 범의귀목
과: 범의귀과
속: 노루오줌속
종: 숙은노루오줌
학명
Astilbe koreana
(Kom.) Nakai

학명이명

Astilbe grandis

숙은노루오줌(Astilbe koreana)은 범의귀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이름[편집]

전체적으로 노루오줌과 비슷한데, 노루오줌은 꽃줄기 끝이 곧바로 선 형태인 반면 숙은노루오줌은 꽃줄기 끝이 약간 고개를 숙인 모습을 하고 있기 때문에 ‘숙은’이라는 말이 이름에 붙었다. 노루오줌이 붉은 꽃을 피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1]

생김새[편집]

산에 나는 다년초로 키는 60cm이다. 갈색의 긴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2-3회 3출 겹잎이다. 꽃은 6-7월에 연한 붉은색으로 핀다. 길이 26cm의 원추화서로 옆으로 처지고 갈색 털이 많다. 꽃받침은 5갈래, 길이 2mm이며, 털이 없다. 꽃잎은 선형이고, 수술은 10개, 암술대 2개이다.[2]

실제로 관찰된 것은 아니지만 숙은노루오줌은 꽃잎의 폭이 좁아서 바늘 모양인 것은 바람의 소통을 좋게 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므로, 수분을 할 때 곤충보다는 바람의 도움을 받는 풍매화일 가능성이 많다. 풍매화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꽃이 작고 향기가 없으며 꿀을 만들지 않고 꽃잎이 작거나 없는 것인데 숙은노루오줌은 이러한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1]

쓰임새[편집]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꽃과 잎, 줄기 건조한 것을 소승마(小昇麻) 또는 구활(求活)이라 하고 열을 내리고 기침을 멎게 하는데 사용하며 뿌리는 적승마(赤昇麻)라 하고 진통작용과 혈액순환 개선에 사용한다. 알려진 성분으로 베르게닌(bergenin)과 아스틸빈(astilbin)이 있다.[1]

각주[편집]

  1. 권순경 (2017년 2월 28일). “권순경 교수의 '야생화 이야기' <73> 숙은노루오줌(Astilbe koreana)”. 《약업신문》. 2017년 10월 1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환경부 자연생태 라이브러리 동영상관”. 2016년 9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0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